메뉴 건너뛰기

美상호관세에 中도 보복관세…무역전쟁 격랑에 침체 우려 고조
나스닥 약세장 진입…사라진 '연준 풋' 기대에 이틀째 '패닉 장세'


뉴욕 증권거래소의 트레이더
[뉴욕 AF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상호관세에 이은 중국 정부의 맞대응 보복 관세 발표로 글로벌 경제가 격랑에 빠져들면서 4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팬데믹 충격이 닥친 2020년 이후 최악의 하루를 보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31.07포인트(-5.50%) 급락한 38,314.8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322.44포인트(-5.97%) 떨어진 5,074.08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962.82포인트(-5.82%) 하락한 15,587.79에 각각 마감했다.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 2000 지수는 4.37% 하락했다.

S&P 500 지수는 팬데믹 확산 공포가 덮친 2020년 3월 16일(-12%) 이후 5년 만에 일간 기준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나스닥 지수는 지난해 12월 16일 고점 이후 20% 넘게 하락하며 기술적 약세장에 진입했다. 지난 3∼4일 이틀간 낙폭만 11%를 넘어섰다.

다우지수는 지난 12월 4일 고점 대비 15% 빠지며 조정 구간에 들어섰다.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로 정책 불확실성과 경기침체 위험이 커지면서 미 증시는 이틀 연속 폭락 장세가 이어지며 팬데믹 확산 초기 패닉 장세 이후 최악의 한 주를 보냈다.

주간으로는 다우지수가 7.9%, S&P 500 지수가 9.1% 떨어졌고, 나스닥 지수는 10% 하락했다. 3대 지수 모두 주간 기준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하락률을 기록했다.

중국 정부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에 대응해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34%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면서 무역전쟁이 격화일로에 접어들며 경기침체 공포, 이른바 'R의 공포'를 더욱 키웠다.

JP모건체이스의 브루스 카스만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전날 투자자 노트에서 "올해 세계 경제 침체 확률이 40%에서 60%로 높아졌다"고 봤다.

'연준 풋'(풋옵션에 빗댄 연준의 시장대응책) 신호를 기대했던 투자자들은 "아직 정책 변환을 얘기하기엔 이르다"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느긋한 발언에 실망하며 투매를 이어갔다.

트럼프 대통령도 중국의 맞대응 조치를 비난하며 "내 정책은 절대 변하지 않는다"고 말해 '트럼프 풋'에 대한 기대감도 낮췄다.

이날 발표된 3월 고용지표가 시장 기대를 크게 웃돌았지만, 투자자들의 시선이 상호관세로 인해 향후 미국 경제에 초래될 인플레이션과 침체 가능성에 집중되면서 시장 불안을 잠재우는 데 도움이 되지 못했다.

최근 뉴욕증시 조정이 '거품 논란'이 일었던 기술주를 중심으로 이뤄졌다면 이날 급락 장세는 경기순환주나 경기방어주 등 업종을 가리지 않고 전방위적으로 이어졌다.

시총 1위 애플과 인공지능(AI) 칩 대장주 엔비디아는 이날 각각 7.3% 급락했고,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테슬라는 10.5% 폭락했다.

페이스북 모회사인 메타플랫폼(-5.0%)과 같이 중국에 대한 공급망 및 매출 의존도가 낮은 기업도 무역전쟁이 촉발한 경기침체 공포를 빗겨나가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2년간 이어졌던 미국 증시 강세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로 종언을 고했다고 보고 있다.

앤젤레스 인베스트먼트의 마이클 로젠 최고투자책임자(CIO)는 "트럼프가 관세와 무역 정책을 쉽게 포기할 것이라 보이지 않는다"며 "주가 하락은 미국 경제와 세계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만을 미칠 나쁘고 일관성 없는 무역 정책에 대한 (시장의) 반응"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486 인천공항 여객터미널 쓰레기통서 실탄 4발 발견… 경찰 수사 중 랭크뉴스 2025.04.06
44485 탄핵 불확실성 걷혔지만...'내우외환' 韓경제, 60일 어떻게 버틸까 랭크뉴스 2025.04.06
44484 ‘전원일치 파면’ 결정한 윤석열의 ‘말말말’ 랭크뉴스 2025.04.06
44483 파주 냉동식품업체 주차장서 차량 화재…6대 피해 랭크뉴스 2025.04.06
44482 메타, 자사 최신 AI 모델 라마4 공개…"멀티모달 동급 최강" 랭크뉴스 2025.04.06
44481 거래량은 줄어도 가격은 상승세…여전히 뜨거운 강남·서초·용산[집슐랭] 랭크뉴스 2025.04.06
44480 공사장서 다친 사무직 직원 보험금 감액지급…법원 "전부 줘야" 랭크뉴스 2025.04.06
44479 홍준표 “마지막 꿈 향해…즐거운 마음으로 상경” 랭크뉴스 2025.04.06
44478 지역 심혈관 전문의 ‘고령화’…강원 도시 ‘60세 이상’ 100% 랭크뉴스 2025.04.06
44477 ‘尹파면에 격분’ 곤봉으로 경찰버스 부순 20대…구속기로 랭크뉴스 2025.04.06
44476 트럼프 관세 글로벌 완성차 업계 ‘강타’…버티는 현대차 “美시장서 두 달간 가격 인상 없다” 랭크뉴스 2025.04.06
44475 “일본한테도 밀렸다”...韓 경제 성장률 ‘쇼크’ 랭크뉴스 2025.04.06
44474 병역의무자 해외여행 허가제... 문턱 낮췄지만 유승준 유사 사례는 막아야 [문지방] 랭크뉴스 2025.04.06
44473 이재명은 ‘윤석열과 반대로, 헌재가 촉구한 대로’ 하면 성공한다 랭크뉴스 2025.04.06
44472 국민연금으로 풍족한 노후...'월 550' 받는 부부 비결은? 랭크뉴스 2025.04.06
44471 계엄 2시간 만에 끝난 이유... "시민 저항·군경 소극적 임무 덕분" 랭크뉴스 2025.04.06
44470 “국가 리셋”···‘친한’ 김종혁이 밝힌, 한동훈이 국힘 차기 대선주자 돼야 하는 10가지 이유 랭크뉴스 2025.04.06
44469 “미국 관세에 대미수출 13% 넘게 감소…손실 규모 10조원↑ 랭크뉴스 2025.04.06
44468 [르포] 美 관세 직격탄 한국GM 부평공장… “철수하면 수만명 타격” 랭크뉴스 2025.04.06
44467 현대차·기아, 국내 전기차 첫 출시 후 14년 만에 누적 판매 50만대 돌파 랭크뉴스 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