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일 미국 증시서 시총 450조 원 증발
아이폰 90% 조립하는 중국에
'공급망 다변화' 인도·베트남까지 관세
미국 월가서 "손실 막으려면 아이폰 43% 인상해야" 추산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2024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애플 본사에서 열린 이벤트에서 아이폰 16을 든 채 사진촬영에 응하고 있다. 쿠퍼티노=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의 거대 기술기업(빅 테크)
애플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때문에 가장 큰 위기에 직면한 기업으로 꼽히고
있다. 주력 상품인 아이폰의 제조 공급망이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에 치우쳐 있고 미국이 최대 시장인 입장에서 공급망 재편으로 대응하려 해도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4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3일(현지시간) 나스닥 시장에서 애플 주가는 전일 대비 9.25% 하락했다. 시가총액 기준으론 약 3,110억 달러(450조 원)가 하루 만에 날아갔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로 큰 손실을 입을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미국 월가 로젠블래트증권은 이날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애플이 상호관세로 인한 비용을 소비자에게 완전히 전가하기 위해서는 아이폰 가격을 43% 올려야 한다고 추산
한 내용을 공개했다. 이를
현재 가장 비싼 '아이폰 16 프로 맥스'에 적용
하면
현재 가격인 1,599달러(약 230만 원)를 2,300달러(약 330만 원)까지 인상하게 되는 셈
이다.

애플이 상호관세에 가장 큰 충격을 받는 것은 아이폰의 조립이 대부분 중국에서 이뤄지기 때문
이다. 애플 공급망 전문가로 유명한 궈밍치 대만 TF인터내셔널증권 연구원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를 통해 "
아이폰은 85∼90%가 중국에서 조립되고 나머지는 인도와 베트남에서 만든다
"고 밝혔다.
애플은 인도에서 아이폰의 생산 비중을 25%까지 늘린다는 공급망 다변화 계획을 짰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엔 중국뿐 아니라 인도와 베트남까지 표적이
됐다.

그런 해외에서 만든 제품을 팔아야 하는 미국은 애플의 주력 시장 중 하나다. 2025회계연도 1분기(2024년 10∼12월)
애플 실적을 보면 전체 매출에서 미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42%
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때도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긴 했지만 애플의 일부 제품에는 관세 면제·유예 등의 혜택을 줬다. 하지만 로젠블래트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이번 상호관세는 선택적 면제가 나오리라는 확신이 어렵다고 밝혔다.

'세계의 소비시장' 미국, 관세 여파로 소비 심리 위축 우려

시민들이 2025년 1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그로브 쇼핑센터 내 애플스토어를 방문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애플뿐 아니라 미국의 다양한 전자기기 제조사가 관세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아시아권에 공장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 역시 관세 충격이 가장 큰 기업으로 애플을 지목했지만 델 테크놀로지스·HP·고프로·로지텍·가민 등도 관세의 영향을 받는 기업으로 꼽았다
.

로이터통신은
삼성전자의 경우 반사이익을 볼 수도 있다고 평가
했지만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주요 생산 기지 중 하나가 베트남이기에 안심하기는 어려운 상황
이다. 세계의 최종 소비 시장인 미국의 경기가 침체로 접어들면 소비자 심리를 위축시켜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 교체 주기가 길어질 것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애플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필수 부품 등을 공급받는 국내 전자부품업계의 '큰손'인 만큼 아이폰 판매량의 위축은 아이폰에 부품을 공급하는 국내 전자 부품사에도 좋은 소식이 아니다
.

전자업계 관계자는 미국 시장에 제품을 공급하는 기업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로 공급망 다변화를 점진적으로 진행해 왔다면서 "이번에도 관세 부과 상황에 맞춰 대책을 찾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그는 "이번 관세는 무차별적으로 떨어진 상태라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나긴 쉽지 않다"고 걱정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55 국힘 ‘황우여 선관위’ 출범…‘단합’이 윤석열 징계 논의 미루기? 랭크뉴스 2025.04.07
45254 [속보] 백악관 "트럼프, 中제외한 모든나라 90일 관세 중단 고려" 랭크뉴스 2025.04.07
45253 아시아 이어 유럽·미국도…관세전쟁에 세계 증시 동반 폭락 랭크뉴스 2025.04.07
45252 [속보] 백악관 "트럼프, 中제외 모든나라에 관세 90일 일시중단 고려중" 랭크뉴스 2025.04.07
45251 "트럼프의 '공격' 경고에 이라크 민병대 '무장 해제' 검토" 랭크뉴스 2025.04.07
45250 산부인과 의사 손에 수상한 비닐봉지…산모의 '이것'이었다 랭크뉴스 2025.04.07
45249 美 S&P지수, 4%대 하락 출발… 5000선 무너져 랭크뉴스 2025.04.07
45248 이시바, 트럼프와 25분간 통화···“관세 제외 요청” 랭크뉴스 2025.04.07
45247 트럼프 관세 여파 3거래일째… 뉴욕증시 또 급락 출발 랭크뉴스 2025.04.07
45246 '관세 충격'에 코스피·코스닥 대폭락‥8개월 만에 '사이드카' 발동 랭크뉴스 2025.04.07
45245 전세계 증시 '와르르'‥트럼프 "때로는 약을 먹어야 해" 랭크뉴스 2025.04.07
45244 트럼프, 관세 ‘부메랑’ 우려에 “인플레 없다”…연준엔 금리인하 압박 랭크뉴스 2025.04.07
45243 대한항공 조종사들, 호주 호텔서 주먹질…'尹 탄핵' 놓고 싸움 랭크뉴스 2025.04.07
45242 5년 생존율 암보다 낮은 '이 병'··· 짬뽕 국물을 조심하라? 랭크뉴스 2025.04.07
45241 트럼프 “유가·금리·식품값 내려가···인플레이션 없다” 랭크뉴스 2025.04.07
45240 “시간 빠듯”... 安·洪 등 국민의힘 주자들, 대선 출마 선언 예고 랭크뉴스 2025.04.07
45239 트럼프발 ‘R의 공포’ 급습…증시, 폭싹 주저앉았다 랭크뉴스 2025.04.07
45238 "저희 고등학생인데요"…수상한 중국인 2명, 휴대전화 확인해 보니 랭크뉴스 2025.04.07
45237 [속보] 미국도 트럼프 발 블랙 먼데이…S&P500 4.19↓ 나스닥 4.63%↓ 랭크뉴스 2025.04.07
45236 ‘개헌’ 거리 둔 민주, 힘 실은 국힘…다른 셈법에 대선변수 안 될 듯 랭크뉴스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