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일 미국 증시서 시총 450조 원 증발
아이폰 90% 조립하는 중국에
'공급망 다변화' 인도·베트남까지 관세
미국 월가서 "손실 막으려면 아이폰 43% 인상해야" 추산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2024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애플 본사에서 열린 이벤트에서 아이폰 16을 든 채 사진촬영에 응하고 있다. 쿠퍼티노=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의 거대 기술기업(빅 테크)
애플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때문에 가장 큰 위기에 직면한 기업으로 꼽히고
있다. 주력 상품인 아이폰의 제조 공급망이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에 치우쳐 있고 미국이 최대 시장인 입장에서 공급망 재편으로 대응하려 해도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4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3일(현지시간) 나스닥 시장에서 애플 주가는 전일 대비 9.25% 하락했다. 시가총액 기준으론 약 3,110억 달러(450조 원)가 하루 만에 날아갔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로 큰 손실을 입을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미국 월가 로젠블래트증권은 이날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애플이 상호관세로 인한 비용을 소비자에게 완전히 전가하기 위해서는 아이폰 가격을 43% 올려야 한다고 추산
한 내용을 공개했다. 이를
현재 가장 비싼 '아이폰 16 프로 맥스'에 적용
하면
현재 가격인 1,599달러(약 230만 원)를 2,300달러(약 330만 원)까지 인상하게 되는 셈
이다.

애플이 상호관세에 가장 큰 충격을 받는 것은 아이폰의 조립이 대부분 중국에서 이뤄지기 때문
이다. 애플 공급망 전문가로 유명한 궈밍치 대만 TF인터내셔널증권 연구원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를 통해 "
아이폰은 85∼90%가 중국에서 조립되고 나머지는 인도와 베트남에서 만든다
"고 밝혔다.
애플은 인도에서 아이폰의 생산 비중을 25%까지 늘린다는 공급망 다변화 계획을 짰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엔 중국뿐 아니라 인도와 베트남까지 표적이
됐다.

그런 해외에서 만든 제품을 팔아야 하는 미국은 애플의 주력 시장 중 하나다. 2025회계연도 1분기(2024년 10∼12월)
애플 실적을 보면 전체 매출에서 미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42%
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때도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긴 했지만 애플의 일부 제품에는 관세 면제·유예 등의 혜택을 줬다. 하지만 로젠블래트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이번 상호관세는 선택적 면제가 나오리라는 확신이 어렵다고 밝혔다.

'세계의 소비시장' 미국, 관세 여파로 소비 심리 위축 우려

시민들이 2025년 1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그로브 쇼핑센터 내 애플스토어를 방문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애플뿐 아니라 미국의 다양한 전자기기 제조사가 관세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아시아권에 공장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 역시 관세 충격이 가장 큰 기업으로 애플을 지목했지만 델 테크놀로지스·HP·고프로·로지텍·가민 등도 관세의 영향을 받는 기업으로 꼽았다
.

로이터통신은
삼성전자의 경우 반사이익을 볼 수도 있다고 평가
했지만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주요 생산 기지 중 하나가 베트남이기에 안심하기는 어려운 상황
이다. 세계의 최종 소비 시장인 미국의 경기가 침체로 접어들면 소비자 심리를 위축시켜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 교체 주기가 길어질 것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애플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필수 부품 등을 공급받는 국내 전자부품업계의 '큰손'인 만큼 아이폰 판매량의 위축은 아이폰에 부품을 공급하는 국내 전자 부품사에도 좋은 소식이 아니다
.

전자업계 관계자는 미국 시장에 제품을 공급하는 기업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로 공급망 다변화를 점진적으로 진행해 왔다면서 "이번에도 관세 부과 상황에 맞춰 대책을 찾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그는 "이번 관세는 무차별적으로 떨어진 상태라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나긴 쉽지 않다"고 걱정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058 ‘관세폭탄’에 기업 속 타들어가는데…한 대행-트럼프 통화는 언제쯤? 랭크뉴스 2025.04.07
45057 홍준표 “4년 중임제 개헌하자, 2030년 대통령부터” 랭크뉴스 2025.04.07
45056 89세 자산가, 재혼 두달 뒤 사망…56억 인출한 부인 무혐의 왜 랭크뉴스 2025.04.07
45055 이재명 쌍방울 대북송금 재판 23일 재개... 법관 기피신청 4개월 만 랭크뉴스 2025.04.07
45054 2m 철벽에 숨은 트럼프…그가 "굿샷" 외칠때, 시민들 관세 비명 랭크뉴스 2025.04.07
45053 李, 권력구조 개편은 대선 이후로…'동시 개헌·대선' 제안 거절 랭크뉴스 2025.04.07
45052 “尹, 창당 제안 거절 중… 파면 의연히 받아들여” 랭크뉴스 2025.04.07
45051 [단독]금융당국, “美관세에 차산업 마진율 최대 5%P↓” 랭크뉴스 2025.04.07
45050 ‘트럼프 관세 쇼크’에 리플 17% 급락...비트코인도 7만6천달러선 랭크뉴스 2025.04.07
45049 3월 구직급여 69만3천명 받았다…코로나19 이후 최다 랭크뉴스 2025.04.07
45048 하동 옥종면 산불 1단계 발령…군, 마을주민에 대피 안내(종합) 랭크뉴스 2025.04.07
45047 비명계 대권주자들, ‘개헌’ 한목소리…“내란종식, 개헌으로 완성해야” 랭크뉴스 2025.04.07
45046 연중무휴 24시간 편의점의 비극…일본 ‘6개월 매일 근무’ 점장 자살, 산재 인정 랭크뉴스 2025.04.07
45045 6월 3일 제21대 대선... 공식 선거운동 5월 12일부터 랭크뉴스 2025.04.07
45044 건진법사, 尹 파면 질문에 "일반인한테 그런 거 묻는 것 아니다" 랭크뉴스 2025.04.07
45043 비명계 대권주자들, ‘개헌’·‘완전국민경선’ 환영 입장 내놔 랭크뉴스 2025.04.07
45042 "'국민 후보'만이 이재명 이겨"…유승민, '완전국민경선' 제안 랭크뉴스 2025.04.07
45041 ‘대통령 보궐선거 비용 4,949억여 원 추계’…박찬대 “윤 정부·국민의힘 책임져야” 랭크뉴스 2025.04.07
45040 ‘낙상 마렵다’···중환자실 신생아 조롱한 20대 간호사 경찰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07
45039 [속보] 하동 옥종면 산불 대응 1단계…마을 주민에 대피 문자 랭크뉴스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