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 파면 결정이 내려진 4일 대전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TV 생중계를 시청하고 있다. 김성태 객원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4일, 국민의힘의 잠재적인 대선주자들은 공식 반응을 최소화했다. 일부 측근 사이에는 60일 안으로 다가온 대선의 향방을 두고 수면 아래에서 긴박한 논의가 오가기도 했다. 하지만 탄핵에 반대했던 보수 지지층의 분노를 의식한 듯 주자들은 이날 조기 대선 언급을 자제했다. 정치권에서는 이들이 내부 수습 기간을 거쳐 다음 주쯤 본격적인 대선 채비에 나설 것으로 본다.

이재명 대표 대세론으로 가득한 더불어민주당과 달리, 국민의힘은 확실한 원톱 주자 없이 혼전 양상이다. 4일 발표된 한국갤럽의 전화면접 조사에서 이 대표 지지율은 34%였고,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9%,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5%, 홍준표 대구시장 4%, 오세훈 서울시장 2% 순이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당내 주자 중 누가 최종 후보가 돼도 이상하지 않다”고 했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뉴스1
탄핵에 반대했던 김문수(주자 순서는 가나다순) 장관은 탄핵심판 선고 뒤 “국민이 선출한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서 다시 파면된 것이 안타깝다. 아픔을 이겨내고 위대한 대한민국으로 발전하도록 힘을 모으자”고 썼다. 김 장관과 가까운 여권 인사는 “김 장관은 복잡하게 꼼수 두지 않는 성격이고, 향후 거취에 대한 고민에 들어갔다”며 “조만간 입장을 정리하지 않겠나”라고 했다. 정치권에서는 김 장관 여론조사상 지지율이 보수 주자 중 가장 높고, 탄핵 반대층에서 우호적인 여론이 강한 점을 들어 조만간 세력화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오세훈 서울시장. 연합뉴스
오세훈 시장은 이날 탄핵심판 선고 직후 입장문을 내지 않고, 집회 등 충돌 상황에 대비한 서울 시내 현장 관리에 집중했다. 오 시장은 오후 서울시 재난안전상황실에서 “주말까지 긴장을 늦추지 말고 상황을 예의주시해달라”고 관계자들에게 지시했다. 오 시장 측은 “오 시장은 혹시 모를 충돌 사태에 대비해 주말까지 평일 체제로 업무를 볼 예정이고, 이 기간 정치적 언급은 최소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국민의힘 내에서는 당 상황이 정리되면 오 시장이 서울시 출신과 자신을 지지하는 의원을 중심으로 대선 진용을 구축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연합뉴스
한동훈 전 대표는 이날 오후 “지지자와 당원 동지의 고통·실망·불안을 함께 나누겠다”며 “고통스럽더라도 서로를 비난하지 말고 함께 가자”는 입장을 냈다. 한 전 대표는 대표 시절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과정에서 일부 당 의원과 적잖은 갈등을 겪었다. 이 때문에 한 전 대표 측은 “출마 선언 등 본격적인 채비는 신중히 속도 조절하고 당원과 지지층을 다독이는 시간을 충분히 가질 것”이라고 했다. 정치권에선 한 전 대표 측이 조만간 친한계 인사를 주축으로 캠프를 꾸리고, ‘위드후니’ 등 팬덤의 지지를 발판 삼아 경선에 대비할 것으로 본다.

홍준표 대구시장. 뉴스1
홍준표 시장은 4일 오후 자신의 정치 플랫폼인 ‘청년의 꿈’에서 대선 출마를 권유하는 지지자의 글에 “30년 준비한 걸 모두 쏟아내겠다”는 답글을 달았다. “웃을 상황은 아니지만 여유롭게 가겠다”, “라스트 댄스”라는 글도 썼다. 앞서 홍 시장은 탄핵에 반대했지만, 탄핵 인용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정치권에선 홍 시장이 다음 주 시장직을 사퇴하는 등 본격적인 대선 모드에 돌입할 것으로 본다. 홍 시장은 3일 자신의 정국 구상을 담은 저서 『제7공화국 선진대국 시대를 연다』를 탈고했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김기현·나경원·안철수 의원 등 당 중진과 유승민 전 의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등도 대선에 출사표를 낼 가능성이 거론된다.

현행 국민의힘 대선 경선 룰은 최종 경선에서 당원투표 50%, 국민 여론조사 50%를 반영하는 방식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빠듯한 대선 스케줄을 고려하면 약 3주 내에 경선이 판가름날 것”이라며 “주자들이 경선 때는 당심(黨心)에 호소하고, 본선 때는 반(反)이재명을 기치로 중도 확장을 노릴 것”이라고 관측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903 반성 없는 윤석열, 내일 첫 ‘내란 형사재판’…국헌 문란 쟁점 랭크뉴스 2025.04.13
47902 배민, 14일 포장 수수료 부과 시작…‘포장 종료’ 고민 업주들 “‘수수료’는 금지단어, 공지도 못 해” 랭크뉴스 2025.04.13
47901 붕괴 17시간 전 이미 파손된 기둥···‘광명 신안산선 사고’ 의문 세 가지 랭크뉴스 2025.04.13
47900 “의·정갈등 반드시 4월 중에 해결돼야, 6월까지 가면 늦어”···정부·국회 만나는 의협 랭크뉴스 2025.04.13
47899 '한덕수 대망론'에 경종… 오세훈 대선 출마 전날 돌연 접은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13
47898 김동연, 김경수 대선 도전에 “경쟁자이자 동반자… 함께해 뜻깊다” 랭크뉴스 2025.04.13
47897 오세훈 이어 유승민도 불출마···‘반탄’ 중심으로 가는 국힘 경선 랭크뉴스 2025.04.13
47896 [르포] 국내 최대 고랭지 채소 주산지 안반데기 폭설…농가 허탈 랭크뉴스 2025.04.13
47895 吳 대선 불출마·劉 경선 불참…'빅4' 한자리 놓고 安·羅 각축전 랭크뉴스 2025.04.13
47894 국민의힘 주자들 일제히 "한덕수, 대통령 대행 집중할 때" 랭크뉴스 2025.04.13
47893 윤석열 14일 피고인석 앉는다… 비공개 출석에 촬영도 불허 랭크뉴스 2025.04.13
47892 한덕수 ‘재판관 월권 지명’에 헌재도 속도전…이번주 내 가처분 결정 가능성 랭크뉴스 2025.04.13
47891 우크라 북동부에 러 탄도미사일…최소 21명 사망 랭크뉴스 2025.04.13
47890 애오개역 앞 차도에 싱크홀…돌풍에 아파트 외장재 날아가(종합) 랭크뉴스 2025.04.13
47889 ‘동동구리무'서 시작한 K뷰티, 이젠 로레알·록시땅서 ‘러브콜’ 랭크뉴스 2025.04.13
47888 트럼프가 아무리 압박해도 “미국에서 아이폰 못 만들지~”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3
47887 광명 공사장 붕괴에 전국 곳곳 싱크홀... 지반 침하 사고, 해빙기 영향일까 랭크뉴스 2025.04.13
47886 中서 ‘트럼프 변기솔’ 인기…“관세전쟁으로 반미감정 확산” 랭크뉴스 2025.04.13
47885 김경수 대선출마…"행정수도 세종으로 이전·'빛의 연정' 구성"(종합) 랭크뉴스 2025.04.13
47884 현대제철, 임단협 잠정협의안 가결… 노사 협의 7개월 만에 마무리 수순 랭크뉴스 202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