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 파면 결정이 내려진 4일 대전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TV 생중계를 시청하고 있다. 김성태 객원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4일, 국민의힘의 잠재적인 대선주자들은 공식 반응을 최소화했다. 일부 측근 사이에는 60일 안으로 다가온 대선의 향방을 두고 수면 아래에서 긴박한 논의가 오가기도 했다. 하지만 탄핵에 반대했던 보수 지지층의 분노를 의식한 듯 주자들은 이날 조기 대선 언급을 자제했다. 정치권에서는 이들이 내부 수습 기간을 거쳐 다음 주쯤 본격적인 대선 채비에 나설 것으로 본다.

이재명 대표 대세론으로 가득한 더불어민주당과 달리, 국민의힘은 확실한 원톱 주자 없이 혼전 양상이다. 4일 발표된 한국갤럽의 전화면접 조사에서 이 대표 지지율은 34%였고,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9%,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5%, 홍준표 대구시장 4%, 오세훈 서울시장 2% 순이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당내 주자 중 누가 최종 후보가 돼도 이상하지 않다”고 했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뉴스1
탄핵에 반대했던 김문수(주자 순서는 가나다순) 장관은 탄핵심판 선고 뒤 “국민이 선출한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서 다시 파면된 것이 안타깝다. 아픔을 이겨내고 위대한 대한민국으로 발전하도록 힘을 모으자”고 썼다. 김 장관과 가까운 여권 인사는 “김 장관은 복잡하게 꼼수 두지 않는 성격이고, 향후 거취에 대한 고민에 들어갔다”며 “조만간 입장을 정리하지 않겠나”라고 했다. 정치권에서는 김 장관 여론조사상 지지율이 보수 주자 중 가장 높고, 탄핵 반대층에서 우호적인 여론이 강한 점을 들어 조만간 세력화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오세훈 서울시장. 연합뉴스
오세훈 시장은 이날 탄핵심판 선고 직후 입장문을 내지 않고, 집회 등 충돌 상황에 대비한 서울 시내 현장 관리에 집중했다. 오 시장은 오후 서울시 재난안전상황실에서 “주말까지 긴장을 늦추지 말고 상황을 예의주시해달라”고 관계자들에게 지시했다. 오 시장 측은 “오 시장은 혹시 모를 충돌 사태에 대비해 주말까지 평일 체제로 업무를 볼 예정이고, 이 기간 정치적 언급은 최소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국민의힘 내에서는 당 상황이 정리되면 오 시장이 서울시 출신과 자신을 지지하는 의원을 중심으로 대선 진용을 구축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연합뉴스
한동훈 전 대표는 이날 오후 “지지자와 당원 동지의 고통·실망·불안을 함께 나누겠다”며 “고통스럽더라도 서로를 비난하지 말고 함께 가자”는 입장을 냈다. 한 전 대표는 대표 시절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과정에서 일부 당 의원과 적잖은 갈등을 겪었다. 이 때문에 한 전 대표 측은 “출마 선언 등 본격적인 채비는 신중히 속도 조절하고 당원과 지지층을 다독이는 시간을 충분히 가질 것”이라고 했다. 정치권에선 한 전 대표 측이 조만간 친한계 인사를 주축으로 캠프를 꾸리고, ‘위드후니’ 등 팬덤의 지지를 발판 삼아 경선에 대비할 것으로 본다.

홍준표 대구시장. 뉴스1
홍준표 시장은 4일 오후 자신의 정치 플랫폼인 ‘청년의 꿈’에서 대선 출마를 권유하는 지지자의 글에 “30년 준비한 걸 모두 쏟아내겠다”는 답글을 달았다. “웃을 상황은 아니지만 여유롭게 가겠다”, “라스트 댄스”라는 글도 썼다. 앞서 홍 시장은 탄핵에 반대했지만, 탄핵 인용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정치권에선 홍 시장이 다음 주 시장직을 사퇴하는 등 본격적인 대선 모드에 돌입할 것으로 본다. 홍 시장은 3일 자신의 정국 구상을 담은 저서 『제7공화국 선진대국 시대를 연다』를 탈고했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김기현·나경원·안철수 의원 등 당 중진과 유승민 전 의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등도 대선에 출사표를 낼 가능성이 거론된다.

현행 국민의힘 대선 경선 룰은 최종 경선에서 당원투표 50%, 국민 여론조사 50%를 반영하는 방식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빠듯한 대선 스케줄을 고려하면 약 3주 내에 경선이 판가름날 것”이라며 “주자들이 경선 때는 당심(黨心)에 호소하고, 본선 때는 반(反)이재명을 기치로 중도 확장을 노릴 것”이라고 관측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52 '민간인' 尹부부, 주말 중 관저 비울까…아크로비스타 복귀도 '고민' 랭크뉴스 2025.04.05
44151 조두순, 하교시간에 거주지 무단이탈…보호관찰관 제지로 귀가 랭크뉴스 2025.04.05
44150 파푸아뉴기니 서 6.9 지진…쓰나미경보 해제 랭크뉴스 2025.04.05
44149 미국 틱톡 금지법 또 다시 연기… "중국, '상호관세' 이유로 합의 철회" 랭크뉴스 2025.04.05
44148 홍준표 “윤석열 탄핵은 이제 과거”…대선출마 선언 예고 랭크뉴스 2025.04.05
44147 이번 주말 석촌호수∙양재천 활짝…서울 '벚꽃 명소' 어디 랭크뉴스 2025.04.05
44146 자고 일어났더니 다 '지브리 프사'…그런데 내 초상권은 괜찮을까? 랭크뉴스 2025.04.05
44145 조기 대선으로 방학 연기... 서울 초중고, 학사일정 조정한다 랭크뉴스 2025.04.05
44144 "그들에게 서운함 있나?" 묻자..'엷은 웃음' 지은 사령관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05
44143 윤석열 파면 뒤 김건희 검색했더니…달라진 인물 정보 랭크뉴스 2025.04.05
44142 검사 임용부터 대통령 파면까지…통합 대신 분열, 협치 아닌 대치…헌정사 오점 남긴 1061일 랭크뉴스 2025.04.05
44141 조기 대선으로 초·중·고 방학 미뤄질 수도…6월 모평도 영향 랭크뉴스 2025.04.05
44140 홍준표 “尹탄핵은 과거…대선, 내 마지막 사명” 출사표 랭크뉴스 2025.04.05
44139 주유소 기름값 9주 연속 하락…“다음주 상승 전환할 수도” 랭크뉴스 2025.04.05
44138 전국민 빵 먹으러 대전 달려 가더니…성심당 "매출 장난 아니네" 랭크뉴스 2025.04.05
44137 '국민연금 월 500' 받는 부부, 얼마 부었길래…'세 가지 비결' 공개 랭크뉴스 2025.04.05
44136 래퍼 에미넘 할아버지 됐다…딸, 득남 사진 공개 랭크뉴스 2025.04.05
44135 북한, 尹 파면 하루 만에 간략 보도 랭크뉴스 2025.04.05
44134 ‘먹통’ 논란 키움증권...결국 서비스 일시 중단 랭크뉴스 2025.04.05
44133 “미국 상호관세 발표에 틱톡 매각도 무산”…트럼프, 매각 마감 시한은 재차 연장 랭크뉴스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