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파월 의장, 공개연설서 “관세 예상보다 훨씬 커”
관세 따른 경제적 여파도 비례해 확대 전망
‘일시적’이라던 인플레 압력도 “몇 분기 갈수도”
통화정책은 사실상 관망 기조 유지 시사
트럼프 “파월, 금리 내리기 완벽한 시점” 압박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4일(현지 시간)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열린 한 컨퍼런스에서 발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서울경제]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의 경제 여파가 당초 예상보다 더 클 것 같다고 관측했다. 상호 관세율 자체가 파월 의장이 예상했던 수준 보다 높다고 봤다. 그는 경제 후폭풍의 형태는 스태그플레이션의 방향일 수 있다고 관측했다.

파월 의장은 4일(현지시간) 이날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열린 콘퍼런스 공개 연설에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지만, 관세 인상이 예상보다 훨씬 더 클 것이라는 점이 분명해지고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경제적 영향도 마찬가지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과 성장 둔화를 포함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특히 “높은 관세가 미국 경제에 영향을 미치면서 향후 몇 분기 동안 인플레이션을 상승시킬 가능성이 크다”면서 “관세가 적어도 일시적인(temporary) 인플레이션 상승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크고 그 영향이 더 지속적일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이는 앞서 파월 의장이 밝혔던 수준보다 강도 높은 영향 평가다. 앞서 파월 의장은 지난달 19일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기자회견에서 관세 충격을 일시적으로 보냐는 질문에 “그것이 일종의 기본 시나리오라 생각한다”라고 답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로 미국의 실효관세율이 1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가장 높은 수준으로 일시에 치솟으면서 이에 따른 경제 후폭풍이 성장 둔화와 몇 분기에 걸친 인플레이션 재상승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블룸버그이코노믹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지금까지 발표한 관세로 인해 미국의 평균 실효관세율은 지난해 2.3%에서 올해 22%까지 높아진다고 추산했다.

파월 의장은 다만 통화정책 대응과 관련해해서는 기존의 관망 입장을 사실상 유지했다. 그는 “통화정책의 적절한 경로가 어떻게 될지 말하기는 아직 이르다”라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현 상황과 관련해 연준 내부에서 이뤄지고 있는 대응에 관한 질문에는 “서두를 필요는 없는 것으로 생각한다. 우린 시간이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답하기도 했다.

파월 의장은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후 회견에서 관세 영향에 따른 성장세 약화와 인플레이션 상승이 서로 상쇄되는 효과가 있다는 점이 통화정책 경로에 변화가 없는 배경 중 하나라고 설명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파월의 연설이 시작되기에 앞서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지금이 연준 의장 파월이 금리를 인하하기에 완벽한 시기”라면서 “그는 항상 늦는 편이지만, 그는 그 이미지를 지금 빠르게 바꿀 수 있다”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금리를 인하하라, 제롬. 정치를 하는 것은 중단하라”라고 말하며 금리 인하를 재차 압박했다.

파월 의장은 이날 연설 중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그는 “우리는 정치적 과정으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 있도록 노력한다”며 “정치적 사이클과 같은 것은 보지 않으며, 사람들이 연준에 기대하는 것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자신의 임기를 지킬 것으로 보냐는 질문에는 “임기를 온전히 마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 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관세를 발표하는 도중 미 무역대표부(USTR)의 무역장벽 보고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60 “조용한 아침 몇달 만인지”… 파면 첫 주말 헌재 앞 풍경 랭크뉴스 2025.04.05
44159 한국인 10명 중 8명, 채소·과일 섭취 부족…암 발병 위험 높인다[톡톡 30초 건강학] 랭크뉴스 2025.04.05
44158 “참사 반복 안 되도록”…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100일 희생자 추모제 랭크뉴스 2025.04.05
44157 북, ‘윤석열 파면’ 하루 지나 보도…“재판관 전원일치” 랭크뉴스 2025.04.05
44156 "왜 안 자" 9세 딸에게 폭언 등 정서적 학대한 친부 징역형 랭크뉴스 2025.04.05
44155 홍준표 “탄핵은 이미 과거…제7공화국 선진대국시대 열어야” 랭크뉴스 2025.04.05
44154 홍준표 대선 출마 예고 "尹 대통령 탄핵은 이제 과거... 치유는 하루면 족하다" 랭크뉴스 2025.04.05
44153 퇴사 전엔 ‘워킹데드’ 심취…아빠 된 지금은 ‘폭싹’ 오열[정우성의 일상과 호사] 랭크뉴스 2025.04.05
44152 '민간인' 尹부부, 주말 중 관저 비울까…아크로비스타 복귀도 '고민' 랭크뉴스 2025.04.05
44151 조두순, 하교시간에 거주지 무단이탈…보호관찰관 제지로 귀가 랭크뉴스 2025.04.05
44150 파푸아뉴기니 서 6.9 지진…쓰나미경보 해제 랭크뉴스 2025.04.05
44149 미국 틱톡 금지법 또 다시 연기… "중국, '상호관세' 이유로 합의 철회" 랭크뉴스 2025.04.05
44148 홍준표 “윤석열 탄핵은 이제 과거”…대선출마 선언 예고 랭크뉴스 2025.04.05
44147 이번 주말 석촌호수∙양재천 활짝…서울 '벚꽃 명소' 어디 랭크뉴스 2025.04.05
44146 자고 일어났더니 다 '지브리 프사'…그런데 내 초상권은 괜찮을까? 랭크뉴스 2025.04.05
44145 조기 대선으로 방학 연기... 서울 초중고, 학사일정 조정한다 랭크뉴스 2025.04.05
44144 "그들에게 서운함 있나?" 묻자..'엷은 웃음' 지은 사령관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05
44143 윤석열 파면 뒤 김건희 검색했더니…달라진 인물 정보 랭크뉴스 2025.04.05
44142 검사 임용부터 대통령 파면까지…통합 대신 분열, 협치 아닌 대치…헌정사 오점 남긴 1061일 랭크뉴스 2025.04.05
44141 조기 대선으로 초·중·고 방학 미뤄질 수도…6월 모평도 영향 랭크뉴스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