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중국, 미국 겨냥 기습적 34% 추가 관세 계획 발표
트럼프 “정책 결코 바꾸지 않는다. 중국 당황했다”

트럼프가 던진 강속구를 시진핑이 받아치면서 세계 금융시장은 물론 실물 경제까지 시계제로에 급격히 빠져들고 있다. 나라간 무역 활성화를 위해 관세를 서로 낮춰가기 위해 미국 정부가 도입한 상호관세가 90년만에 되살아나 이번에는 세계 경제를 공포로 몰아넣는 모양새다.

미국의 상호 관세에 맞불을 놓는 중국 정부의 대응은 미국 증시가 개장하기 불과 3시간 여전인 4일 오후 7시께 중국 국영 채널인 CCTV 방송을 통해 전세계에 타전됐다. 중국 국무원은 미국산 모든 수입품에 대해 3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며 발효 시점은 4월10일로 못박았다. 미국의 조처에 대해선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방침도 밝혔다. 중국은 옥수수·밀 등 농산물부터 의약품, 원유, 천연가스 등 미국의 주요 수출품을 대거 사들이는 나라다.

중국 정부가 질의응답이 따르기 마련인 기자회견이 아닌 일방향 소통 수단을 활용해 미 정부를 때리고 나선 것이다. 영국의 리서치그룹 캐피탈이코노믹스의 리아 파이(Leah Fahy) 중국 담당 이코노미스는 보고서를 내어 “미국 수입품에 대한 중국의 평균 관세율을 고려하면 중국의 이번 조처로 미국산 제품에 붙는 관세율은 약 50%까지 올라간다. 상당한 수준으로 관세율이 급등한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3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나서 한국을 포함해 전세계 무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고율의 상호 관세 부과 계획을 밝힌 뒤 세계 금융시장은 숨죽이며 중국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해왔다. 미국의 조처에 대해 유럽연합(EU) 등에서도 즉각 반발 목소리가 나왔으나 향후 세계 경제의 향배의 핵심 가늠자는 뭐니뭐니해도 중국이기 때문이다. 중국이 전면적 보복 조처에 나서게 되면 세계 경제(명목 GDP 기준)의 약 40%를 차지하는 1, 2위 국가의 전면전이 본격화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시장은 이런 상황을 ‘가장 나쁜 시나리오’로 평가해왔다.

중국의 기습적인 발표 이후 개장한 유럽과 미국 증시는 예상대로 발작 수준의 흐름을 나타냈다. 미국의 대표 지수인 에스앤피(S&P)500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4% 급락한 채 장을 시작한 뒤 하락폭을 키워가고 있다. 밤 11시30분 현재 하락폭은 3.72%에 이른다. 같은 시각 나스닥지수의 하락율은 4%를 코앞에 두고 있다. 유럽의 유로스톡스50과 독일의 닥스, 프랑스의 CAC지수 모두 급격히 하락폭을 확대하며 전거래일 보다 5% 가까운 하락률을 보이고 있다. 이미 트럼프의 전대미문의 관세 전쟁 개시에 연일 약세를 보이던 주요국 증시가 다시 묵직한 한 방을 맞은 셈이다.

사태는 계속 확전일로로 갈 공산이 높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다렸다는 듯이 에스엔에스에 격렬한 입장을 내놨다. “중국이 오판을 저질렀다. 당황한 것이다. 그들이 할 수 있는 것은 없다.”“미국에 많은 돈을 투자하려는 수많은 투자자에게 말한다. 나의 정책은 결코 바뀌지 않는다. 과거 어느 때보다 더 부자가 될 수 있는 위대한 순간이다.” 트럼프의 이 입장은 미국 증시가 개장하기 직전에 나왔다.

미-중 간 전쟁은 상품 교역이 중심인 ‘관세’에만 머무를지도 단언하기 어렵다. 상품외에도 컨텐츠 등 서비스 부문은 물론 자본 거래에까지 전선이 확대될 여지가 있다. 중국은 미 국채의 최대 보유국이며, 미국은 중국의 주요 자본 투자국이자 시장이다. 중국이 미 국채 투매에 나서게 되면 미 국채 금리는 급등하게 되며 이는 트럼프가 가장 싫어하는 시나리오다.

물론 두 나라가 경제적으로 긴밀하게 엮여 있기에 상대에 대한 공격이 실은 본인의 눈을 찌르는 형국이 될 수 있기에 두 강대국의 대결이 무한정 확대될 것으로 단언하기도 어렵다. 나아가 중국은 극심한 저물가에다 치솟는 실업률, 느려지는 경제 성장 속도, 부동산 시장에 끼어 있는 거품으로 ‘디플레이션’ 위험에 노출돼 있으며, 미국 역시 물가 상승 부담과 경기 침체 신호가 켜져 있다. 전면전을 하기에는 두 나라 모두 기초 체력이 약해져 있다는 뜻이다. 세계 3대 신용평가기관 중 한 곳인 피치는 지난 4일 중국의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한 단계 끌어내린 바 있다.

내란죄 피의자 윤석열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이 나온 4일 밤, 세계는 총성 없는 전쟁에 불타고 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03 "전 국민 60%가 서비스 경험"…네이버페이 성장 비결 3가지 랭크뉴스 2025.04.05
44102 “윤석열 파면” 주문 읽자 교실서 울린 함성…민주주의 ‘산 교육’ 랭크뉴스 2025.04.05
44101 안 쓴다더니 “인원”, “계몽” 변호사…‘윤석열 탄핵심판’ 헌재 몰아보기 (영상) 랭크뉴스 2025.04.05
44100 '美 관세 폭풍·尹 파면' 금융지주 회장들 긴급회의…비상 경영 계획도 만지작 랭크뉴스 2025.04.05
44099 논란의 9억 화장실, 도쿄엔 더한 곳도 많던데요?[허남설 기자의 집동네땅] 랭크뉴스 2025.04.05
44098 관세 태풍에 휩싸인 중소업체들…“70만달러짜리 계약 끊겼다”[트럼프와 나] 랭크뉴스 2025.04.05
44097 [사설] 민주주의 훼손 심판…분열 끝내고 통합으로 복합위기 극복해야 랭크뉴스 2025.04.05
44096 北, 하루 만에 '윤석열 파면' 주민들에 알려… "재판관 8인 전원일치" 랭크뉴스 2025.04.05
44095 “윤석열을 파면한다” 결정 직후 주가 30% ‘폭싹’ [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4.05
44094 트럼프發 관세 전쟁에 뉴욕 증시 이틀 연속 급락…7대 기술주 시총 1100조 사라져 랭크뉴스 2025.04.05
44093 '月 500만원' 역대급 국민연금 받는 부부…3가지 비결 봤더니 랭크뉴스 2025.04.05
44092 윤 전 대통령, 한남동 관저서 하루 보내…퇴거 준비 중 랭크뉴스 2025.04.05
44091 주문 읽자 교실서 울린 함성…“민주주의 중요한 순간” 랭크뉴스 2025.04.05
44090 스트레스 줄이면 ‘노화의 원인’ 만성염증도 줄어든다 [건강한겨레] 랭크뉴스 2025.04.05
44089 트럼프, 틱톡금지법 시행 75일 추가 유예…“中과 계속 협력 희망해” 랭크뉴스 2025.04.05
44088 '무자본 갭투자' 전세사기로 90억 떼먹은 60대, 2심서 징역 15년 랭크뉴스 2025.04.05
44087 [당신의 생각은] 어린이 없는 심야 학교 앞 시속 30㎞ 제한… “탄력 운영” vs “안전 확보” 랭크뉴스 2025.04.05
44086 尹 탄핵 선고 끝났지만…오늘도 도심 곳곳서 찬반집회 열린다 랭크뉴스 2025.04.05
44085 파월 연준 의장 “관세, 인플레 높이고 성장세 낮출 것…영향 커져” 랭크뉴스 2025.04.05
44084 재계 “정치 불확실성 걷혔다…경제 위기 극복에 총력” [윤석열 파면] 랭크뉴스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