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 태극기와 함께 게양돼 있던 대통령 봉황기가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 뒤 관계자에 의해 내려지고 있다. 김현동 기자
4일 헌법재판소로부터 파면 선고를 받은 윤석열 전 대통령은 이날 오후 한남동 관저에서 국민의힘 지도부를 만나 “대선과 관련해선 시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당을 중심으로 대선 준비를 잘해서 꼭 승리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가 이날 오후 5시부터 30분 동안 위로차 한남동 관저를 찾아 윤 대통령을 만났다고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은 당 지도부에게 “최선을 다해준 당과 지도부에 고맙게 생각한다”며 “성원해준 국민과 지지자들에게 미안하고 고마운 마음을 가지고 있으며, 비록 이렇게 떠나지만 나라가 잘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고 신 수석대변인은 전했다. 당 지도부는 윤 전 대통령에게 “그동안 수고가 많으셨다. 이런 결과가 나온 데 대해 안타깝다”는 뜻을 밝혔다. 면담 자리에 김건희 여사는 참석하지 않았고, 무거운 분위기다 보니 대화가 길게 이어지진 못했다고 한다.

이에 앞서 윤 전 대통령은 이날 헌재 결정 2시간 30분 뒤 변호인단을 통해 낸 메시지에서 “그동안 대한민국을 위해 일할 수 있어 큰 영광이었다. 많이 부족한 저를 응원해 주신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여러분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너무나 안타깝고 죄송하다”고 말했다. 또 “사랑하는 대한민국과 국민 여러분을 위해 늘 기도하겠다”고 했다. 다만 헌재 결정에 승복한다는 언급은 없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나와 차량으로 향하고 있는 모습. 뉴스1
윤 전 대통령은 이날 한남동 관저에서 김 여사와 함께 TV로 헌재 선고 결과를 지켜봤다.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이 파면을 선언했을 때 윤 전 대통령이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충격이 컸을 것이라는 대통령실 인사들의 전언이다. 용산 대통령실과 대통령 경호처 고위급 참모 대부분은 선고 직전까지도 ‘4 대 4 기각 또는 각하’로 윤 전 대통령 복귀에 기대를 걸고 있었다.

대통령실은 이에 맞춰 대국민담화와 업무현안 보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개최 등의 일정도 준비해뒀었다. 하지만 헌재 재판관 전원일치 인용 결정이 나오자 망연자실한 분위기였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이 돌아와 임기 단축 개헌을 통해 비상계엄이라는 과오를 결자해지 했으면 하는 바람이 컸었다”고 말했다.

4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사건에 대해 인용 선고를 했다. 탄핵 소추 111일, 변론 종결 38일 만이다. 사진은 지난해 5월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 뒤 퇴장하는 윤 전 대통령의 모습. 연합뉴스
윤 전 대통령은 즉시 한남동 관저를 나와야 하지만 이번 주말까지는 머무를 것으로 관측된다. 박근혜 전 대통령도 탄핵 결정 이틀 뒤에 삼성동 사저로 이동했다. 탄핵된 대통령도 최대 10년간 경호·경비 대상이라 윤 전 대통령 사저가 위치한 서초동 아크로비스타에 경호 관련 준비와 관저 및 집무실 내 짐 정리를 할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과 성태윤 정책실장,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을 포함한 대통령실 수석비서관 이상 고위 참모진은 이날 오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게 일괄 사의를 표명했다. 하지만 한 대행이 즉각 이들의 사표를 반려하며 “한 치의 국정 공백도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시급한 업무를 차질 없이 수행해달라”고 지시했다. 한 대행은 이날 국무위원 긴급 간담회에서도 각 장관에게 국정 안정을 위해 “새 정부가 출범할 때까지 모두 자리를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선고한 4일 윤 전 대통령의 사저가 있는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의 모습. 윤 전 대통령 부부는 용산구 한남동 관저를 떠나 자택인 아크로비스타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

탄핵 인용 결정 뒤 대통령실에서 윤 전 대통령의 흔적들은 빠르게 지워졌다. 대통령실 청사 정문 게양대에 걸렸던 봉황기는 오전 11시 40분쯤 깃대에서 내려왔다. 봉황기는 대한민국 국가수반의 상징으로 대통령 재임 기간 상시 게양된다. 대통령실 청사 1층 복도에 설치돼 윤 전 대통령의 주요 행사 사진이 노출됐던 대형 전광판의 전원도 꺼졌다. 청사에 걸린 윤 전 대통령의 사진들도 곧 철거될 예정이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50 파푸아뉴기니 서 6.9 지진…쓰나미경보 해제 랭크뉴스 2025.04.05
44149 미국 틱톡 금지법 또 다시 연기… "중국, '상호관세' 이유로 합의 철회" 랭크뉴스 2025.04.05
44148 홍준표 “윤석열 탄핵은 이제 과거”…대선출마 선언 예고 랭크뉴스 2025.04.05
44147 이번 주말 석촌호수∙양재천 활짝…서울 '벚꽃 명소' 어디 랭크뉴스 2025.04.05
44146 자고 일어났더니 다 '지브리 프사'…그런데 내 초상권은 괜찮을까? 랭크뉴스 2025.04.05
44145 조기 대선으로 방학 연기... 서울 초중고, 학사일정 조정한다 랭크뉴스 2025.04.05
44144 "그들에게 서운함 있나?" 묻자..'엷은 웃음' 지은 사령관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05
44143 윤석열 파면 뒤 김건희 검색했더니…달라진 인물 정보 랭크뉴스 2025.04.05
44142 검사 임용부터 대통령 파면까지…통합 대신 분열, 협치 아닌 대치…헌정사 오점 남긴 1061일 랭크뉴스 2025.04.05
44141 조기 대선으로 초·중·고 방학 미뤄질 수도…6월 모평도 영향 랭크뉴스 2025.04.05
44140 홍준표 “尹탄핵은 과거…대선, 내 마지막 사명” 출사표 랭크뉴스 2025.04.05
44139 주유소 기름값 9주 연속 하락…“다음주 상승 전환할 수도” 랭크뉴스 2025.04.05
44138 전국민 빵 먹으러 대전 달려 가더니…성심당 "매출 장난 아니네" 랭크뉴스 2025.04.05
44137 '국민연금 월 500' 받는 부부, 얼마 부었길래…'세 가지 비결' 공개 랭크뉴스 2025.04.05
44136 래퍼 에미넘 할아버지 됐다…딸, 득남 사진 공개 랭크뉴스 2025.04.05
44135 북한, 尹 파면 하루 만에 간략 보도 랭크뉴스 2025.04.05
44134 ‘먹통’ 논란 키움증권...결국 서비스 일시 중단 랭크뉴스 2025.04.05
44133 “미국 상호관세 발표에 틱톡 매각도 무산”…트럼프, 매각 마감 시한은 재차 연장 랭크뉴스 2025.04.05
44132 "탄핵 자축" "불복 투쟁"... 尹 파면 여파, 주말 서울 도심 대규모 집회 랭크뉴스 2025.04.05
44131 北, '尹 파면' 하루 지나 논평 없이 간략 보도…의도적 거리두기? 랭크뉴스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