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윤석열 대통령의 시대는 3년을 채우지 못했습니다.

게다가 마지막 넉 달은 거대한 혼란으로 대한민국을 흔들었습니다.

그의 시대가 남긴 것을 돌아봐야 하는 이유는 앞으로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살펴야 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김희웅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윤석열과 대한민국의 대치는 끝났습니다.

그의 이름 뒤에 대통령의 호칭이 떼졌습니다.

앞선 쿠데타의 주역들이 누구누구 씨라고 불리듯이 이제 곧 전직 대통령으로서의 호칭도 위태롭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최후변론(지난 2월 헌법재판소)]
"그야말로 호수 위에 비친 달빛을 건져내려는 것과 같은 허황된 것입니다."

무지를 가장하면서 그의 비유는 모욕적이었습니다.

스스로 비겁하면서. 민주주의를 폭격하라는 지령을 내렸습니다.

계엄선포 후 지난 넉 달, 그는 궁궐 속 대통령의 지위만으로도 대한민국을 위협했습니다.

[윤석열/제 20대 대통령 취임식(2022년 5월)]
"선서. 나는 헌법을 준수하고, 국가를 보위하며…"

그는 파괴했습니다.

선서의 신성함뿐 아니라 희생과 피를 통해 이뤄낸 산업화와 민주화의 성취를 되돌리려 했습니다.

공정, 자유, 민주 같은 단어들을 도구로 사용하면서 대한민국의 언어를 오염시켰습니다.

오염된 언어는 대한민국을 갈라 나눴습니다.

법치를 조롱했습니다.

사람들은 명백히 불법적인 것이 논란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에 당혹하고 절망했습니다.

주장과 음모가 법치와 대등하게 나섰습니다.

리더십은 책임을 방기하거나 극우 뒤에 숨거나 또는 극우와 적극적으로 섞었습니다.

한국사회에 '보수는 없음'을 스스로 내보였습니다.

[윤석열/당시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 특별수사팀장( 2013년 국정감사)]
"저는 사람에 충성하지 않기 때문에 제가 오늘도 이런 말씀을 드리는 겁니다."

말은 멋이 있었습니다.

언론은 반복했고 여론은 호응했습니다.

검찰총장에서 대권후보까지 그의 이례적인 성장가도에서 그를 검증하지 않았고 모두 그의 인기를 챙기는데 급했습니다.

정치의 완벽한 실패였습니다.

대가는 대한민국과 온 국민이 치렀습니다.

"촛불이 승리한다! 촛불이 승리한다!"

촛불은 승리했지만 시민들은 또다시 광장에 나서야 하게 됨으로써. 촛불은 완성되지 못한 것이 됐습니다.

다시 두 번째 광장에 대한 응답은 그래서 윤석열을 탄핵하라를 넘어야 합니다.

더 유능해야 하고 약한 이들의 목소리를 더 들어야 합니다.

두 번째 광장에선 다른 광장도 커졌습니다.

이들의 불안과 불만을 읽어내고 이들을 이용하고 기생하는 세력들은 들춰내서 무모와 극단이 설 곳을 없애야 하는 책임이 남았습니다.

오늘의 환희 이후 독단과 무시, 폭력의 방식은 다시 있을 수 없습니다.

우리 민주주의는 발전해야 합니다.

그 방식은 '우리들의 싸움은 쉬지 않는다…민주주의의 싸움이니까 싸우는 방법도 민주주의식으로 싸워야 한다'는 한 시인의 각오처럼 이어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우리가 더 나은 민주주의로 나가야 하는. 다시 더 시작입니다.

MBC뉴스 김희웅입니다.

영상편집: 이유승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281 "여기 사람이 죽었어요, 칼 들었어 칼"…다급한 112 신고 전화, 알고 보니 랭크뉴스 2025.04.10
46280 독일 '좌우 대연정' 합의…다음달 초 새 내각 출범할 듯 랭크뉴스 2025.04.10
46279 재밌지만 찜찜한 ‘지브리’ 열풍…저작권 등 문제 없나? 랭크뉴스 2025.04.10
46278 찰스 3세, 이탈리아 의회서 이탈리아어 곁들인 연설로 박수 랭크뉴스 2025.04.10
46277 우원식, ‘대선 동시투표 개헌론’ 사흘 만에 철회 랭크뉴스 2025.04.10
46276 토허제 확대 시행에…서울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 3년 만에 최고 랭크뉴스 2025.04.10
46275 6일간 23명에 당했다…'실종' 19세 소녀 성폭행 사건 충격 랭크뉴스 2025.04.10
46274 박정훈 대령, 보직해임 1년 8개월 만에 첫 재판‥"명예 회복 시작" 랭크뉴스 2025.04.10
46273 EU, 15일부터 美상품 25% 보복관세…'협상 대비' 수위는 낮춰(종합) 랭크뉴스 2025.04.10
46272 [단독] 악! 주문 실수… 80억 날릴 뻔한 NH투자증권 랭크뉴스 2025.04.10
46271 [단독] 윤석열 아크로비스타 돌아가도 보유세·종부세 면제‥이유는? 랭크뉴스 2025.04.10
46270 [사설] 양당 유력주자 출사표…‘실용·성장’과 법치 실천이 과제다 랭크뉴스 2025.04.10
46269 중, ‘관세폭탄’에도 자신감 보이지만…경제성장 전망은 ‘먹구름’ 랭크뉴스 2025.04.10
46268 미 “중국, 러시아 전쟁 지원 우려”···중국인 포로 생포에 입장 내놔 랭크뉴스 2025.04.10
46267 “우리 밭에 집 만드세요”…마늘밭 내어준 ‘통큰 선심’ 랭크뉴스 2025.04.10
46266 “한덕수의 재판관 지명, 위헌 확인해달라” 헌법소원 봇물 랭크뉴스 2025.04.10
46265 청년 실업률 7.5%…코로나 이후 4년만에 최고 랭크뉴스 2025.04.10
46264 EU, 15일부터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최고 25% 추가 관세… "협상 가능" 랭크뉴스 2025.04.10
46263 ‘녹아내린 안전모’ 진화장비에 ‘방염’ 없었다 랭크뉴스 2025.04.10
46262 함상훈 재판관 후보자, '2400원 횡령' 버스기사 해고판결 논란 랭크뉴스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