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대리인단 통해 지지자 향한 입장문 배포
윤 측 “법리적으로 납득할 수 없는 정치적인 결정”
참모들, ‘전원일치’ 인용에 당황 “현실 맞나”
윤 부부, 사저로 옮길 듯…시기 불투명
석방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달 8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 인근에 도착해 경호 차량에서 내려 지지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이준헌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은 4일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이 내려진 뒤 지지자들을 향해 “감사하다” “죄송하다”고 밝혔다. 헌재 결정에 대한 존중이나 수용 등 승복하겠다는 내용은 없었다. 위헌적인 12·3 비상계엄 사태에 대한 반성, 사회적 갈등 수위가 최고조로 치달은 상황에 대한 대국민 사과도 없었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파면 결정이 내려진 지 3시간 가까이 지난 뒤 대리인단을 통해 배포한 입장문에서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 그동안 대한민국을 위해 일할 수 있어서 큰 영광이었다”며 “많이 부족한 저를 지지해 주시고 응원해 주신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그는 “여러분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너무나 안타깝고 죄송하다”며 “사랑하는 대한민국과 국민 여러분을 위해 늘 기도하겠다”고 했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한남동 관저에서 TV 생중계를 통해 자신의 파면 결정이 내려지는 모습을 지켜본 것으로 알려졌다.

12·3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심판 과정에서도 계엄령을 ‘계몽령’이었다고 정당화해온 윤 전 대통령은, 계엄령은 명백한 위헌 행위라는 이날 헌재의 판단에도 사과와 반성 메시지는 내지 않았다. 대신 윤 대통령 측 윤갑근 변호사는 선고 직후 기자들과 만나 “법리적으로 납득할 수 없는 정치적인 결정”이라고 반발했다. 사법부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는 여론전을 이어간 것이다.

4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 걸려있던 봉황기(오른쪽)가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결정 이후 대통령실 관계자들에 의해 내려지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대통령실은 이날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다. 용산 대통령실 청사 정문에 태극기와 나란히 걸려있던 봉황기가 오전 11시41분께 내려졌다. 파면 결정이 내려진 지 약 19분 만이다. 봉황 두 마리가 마주 보고 가운데 무궁화 문양이 들어간 봉황기는 대통령직의 상징으로, 봉황기가 하기됐다는 사실은 윤 전 대통령의 권한도 종료됐다는 의미다. 2022년 5월10일 청와대에서 내려지고 대통령실에 게양된 봉황기가 1060일 만에 자취를 감춘 것이다.

대통령실 청사는 종일 고요했다. 사무실에서 TV로 헌재 선고를 지켜봤다는 참모들은 망연자실한 기색이 역력했다. 한 관계자는 “8대 0은 예상하지 못했다”며 “눈앞이 캄캄해졌다”고 했다. 다른 관계자는 “이게 지금 현실 맞나”라고 되물었다. 점심시간이면 북적대던 직원 구내식당도 평소보다 눈에 띄게 한산했다. 대통령실 외부에서는 이날 이른 오전부터 경찰이 청사로 향하는 차량 내부를 검색하며 출입증을 확인하는 등 혹시 모를 소요 사태에 대비하는 모습이었다.

윤 전 대통령이 지난달 8일 석방된 후 엄격하게 대외 메시지 관리를 해온 대통령실은 선고기일이 지정된 지난 1일부터 조금씩 언론 소통을 늘리기 시작했지만 이날 선고로 다시 경직된 분위기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직무에 복귀하면 업무보고를 받고 대국민 담화를 할 예정이었다. 참모진도 그 가능성에 대비해 준비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윤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는 한남동 관저를 나와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사저로 옮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저에도 경호 시설을 마련해야 해서 이날 중 거처를 옮기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파면된 전직 대통령이어도 대통령경호처의 경호 업무는 지원된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은 파면 결정이 나온 지 이틀 만에 청와대를 떠났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38 베트남 상호관세 46%에… 한국의 對아세안 수출도 ‘흔들’ 랭크뉴스 2025.04.04
43937 [속보] 美, 尹파면에 "헌재 결정 존중…한 대행과 협력할 것" 랭크뉴스 2025.04.04
43936 조기 대선 시작… 민주주의 회복 후 대한민국 선장 누가되나 랭크뉴스 2025.04.04
43935 [속보] 美국무부, 尹파면에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랭크뉴스 2025.04.04
43934 ‘각하’ 결정 고집한 윤석열···그러나 헌재는 “모든 절차 적법”[윤석열 파면] 랭크뉴스 2025.04.04
43933 용산 미군기지서 화재…인명피해 없어 랭크뉴스 2025.04.04
43932 용산 미군기지서 화재…30여분만에 큰 불길 잡혀 랭크뉴스 2025.04.04
43931 [尹파면] 대통령 발목 잡은 '아군' 김용현 진술…'정치인 체포' 인정 랭크뉴스 2025.04.04
43930 헌재 선고 살펴보니···“국가긴급권 남용 역사 재현, 국민 신임 배반”[윤석열 파면] 랭크뉴스 2025.04.04
43929 미얀마 강진 사망자 3300명 넘어…유엔 “심각한 피해자 900만명” 랭크뉴스 2025.04.04
43928 김용현 또 옥중서신 "다시 尹! 다시 대통령!…더 힘차게 싸우자" 랭크뉴스 2025.04.04
43927 파면된 윤석열 사과도 승복도 없이…“국힘, 대선 꼭 승리하길” 랭크뉴스 2025.04.04
43926 “한남동 간 전광훈은 겁쟁이”… 尹 탄핵에 보수 지지자들 균열 조짐 랭크뉴스 2025.04.04
43925 [속보] 美 3월 실업률 4.2%로 0.1%포인트 상승…전망치 상회 랭크뉴스 2025.04.04
43924 尹 "난 떠나지만 나라 잘 되길 바라…與, 대선 꼭 승리해달라" 랭크뉴스 2025.04.04
43923 [속보] 중국, 미국산 수입품에 34% 추가 보복관세 랭크뉴스 2025.04.04
43922 中 보복 나섰다 "10일부터 미국산 모든 수입품에 34% 추가 관세" 랭크뉴스 2025.04.04
43921 美 패트리엇 일부 중동으로… 주한미군 역할 조정 시작되나 랭크뉴스 2025.04.04
43920 아이들 하교 시간에 집 나온 조두순…외출제한 또 어겼다 랭크뉴스 2025.04.04
43919 윤석열 '전 대통령' 김건희 '기업인'…尹 검색해 보니 발 빠르게 바뀌었다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