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계엄 실체적·절차적 요건 위반…포고령 1호·선관위 압수수색 위헌"
'의원 끌어내기·정치인 체포 지시'도 인정…"민주주의에 헤아릴 수 없는 해악"


(서울=연합뉴스) 황윤기 기자 =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하면서 12·3 비상계엄을 둘러싸고 제기된 '의원 끌어내기', '정치인 체포 지시' 등 핵심 의혹을 대부분 사실로 인정했다.

법조계에서는 윤 대통령 측의 '완패'라는 평가가 나온다.

헌재는 이날 공개한 17쪽의 선고 요지, 114쪽의 결정문(별지 포함)을 통해 그간 제기된 절차적·실체적 쟁점에 관해 요목조목 따졌다.

선고 요지의 많은 부분이 "피청구인은 OO라고 주장합니다"로 시작해 "그러나 OO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로 윤 대통령의 주장을 반박하는 구조로 쓰였다.

윤석열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출석해 있다. 2025.2.13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헌재는 먼저 12·3 비상계엄의 실체적, 절차적 요건을 검토했다. 국회의 소추의결서에 적힌 첫 번째 소추사유였다.

윤 대통령 측은 이른바 '줄 탄핵', 예산삭감, 선거부정 의혹 등으로 계엄선포 직전 한국 사회가 헌법상 계엄선포 요건인 '국가비상사태'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헌재는 국가긴급권을 행사할 정도의 위기로 볼 수 없을뿐더러 병력을 투입할 필요도 없었고 계엄의 절차적 요건도 전혀 지켜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이 계엄의 구체적 내용을 설명하지 않아 국무회의 심의가 없었던 셈이고, 국무총리·국무위원의 부서, 계엄사령관 공고, 국회 통고도 모두 없었으므로 절차적 요건 위반이라는 것이다.

포고령 1호도 헌법 위반이 인정됐다.

윤 대통령 측은 포고령이 형식적인 것에 불과하고 실제 실행할 의사는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헌재는 윤 대통령이 '야간 통행금지 조항'이 국민에게 불편을 줄 우려가 있다며 삭제했던 사실과 '집행 계획이 없었다'는 주장이 상호 모순적이고, 굳이 형식을 갖추려 포고령을 발령할 필요는 없었다는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기일인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 헌법재판관들이 입장해 있다. 2025.4.4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국회에 군과 경찰을 투입했다는 소추사유도 파면의 핵심 근거가 됐다.

윤 대통령은 국회를 봉쇄하거나 계엄 해제 의결을 방해할 의도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국회의사당 본회의장 내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한 적도 없다고 강변했다.

하지만 헌재는 윤 대통령이 직접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전화했고 경찰이 국회 출입을 전면 차단한 점, 윤 대통령이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에게 "의결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것 같으니,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안에 있는 인원들을 끄집어내라"고 지시한 점을 사실로 인정했다.

정치인·법조인에 대한 체포 시도가 있었는지도 많은 이목을 끈 소추 사유였다.

윤 대통령은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진술의 신빙성을 공격하며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윤 대통령이 직접 홍 전 차장을 '내란 몰이의 시작'으로 지목하기도 했다.

그러나 헌재는 홍 전 차장의 진술을 사실로 인정하고 최소한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한동훈 대표, 김명수 전 대법원장 등에 대한 '위치 확인 시도'는 있었다고 봤다. 헌재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필요시 체포할 목적으로 이를 지시했으며 윤 대통령의 관여를 부인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출석한 윤 대통령 변호인단
(서울=연합뉴스) 윤 대통령 변호인단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에 출석해 있다. 2025.4.4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부당하게 압수수색했다는 소추사유도 위헌으로 인정됐다. 윤 대통령은 적법한 계엄 사무였고 선거 시스템을 점검할 필요가 있었다고 주장했는데, 헌재는 당시 선관위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었으므로 계엄사의 행위를 정당화하기 어렵다고 봤다.

윤 대통령은 탄핵심판 변론 내내 '야당의 횡포'를 계엄의 사유로 주장했다. 이에 따라 '대국민 호소용 계엄', '단시간·평화적 계엄'이었다고 강조했으나 헌재는 윤 대통령 주장을 대부분 납득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헌재는 결정문 마지막에 "피청구인이 이 사건 계엄의 목적이라 주장하는 '야당의 전횡에 관한 대국민 호소'나 '국가 정상화'의 의도가 진실이라고 하더라도 결과적으로 민주주의에 헤아릴 수 없는 해악을 가한 것이라 볼 수밖에 없다"고 적었다.

이어 "헌법과 법률을 위배해 헌법수호의 책무를 저버리고 민주공화국의 주권자인 대한국민의 신임을 중대하게 배반했다. 그러므로 피청구인을 대통령직에서 파면한다"고 끝맺었다.

'11시 22분', 윤석열 대통령 파면 선고
(서울=연합뉴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을 4일 파면했다.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11시 22분께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한다"는 탄핵심판 선고 주문을 읽었다. 파면의 효력은 즉시 발생해 이를 기점으로 윤 대통령은 직위를 잃었다.
사진은 선고 주문 당시 헌재 대심판정의 시계. 2025.4.4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798 상승세 이어가는 강남3구·용산·성동… 매주 최고가 경신 랭크뉴스 2025.04.07
44797 매출 첫 4조 돌파 배민에 곱지 않은 시선… 문제점 산적 랭크뉴스 2025.04.07
44796 대구서 산불 진화 도중 헬기 추락…44년 노후 기체 몰던 조종사 사망 랭크뉴스 2025.04.07
44795 [속보] 美상무 "상호관세 부과 연기 없어…트럼프 발표는 농담 아냐" 랭크뉴스 2025.04.07
44794 美상무 "상호관세 부과 연기 없어…트럼프 발표는 농담 아냐" 랭크뉴스 2025.04.07
44793 美 상무부 “관세 부과 연기 없다” 랭크뉴스 2025.04.07
44792 내란 행위 사실관계 헌재가 인정, 尹 형사재판 영향 불가피 랭크뉴스 2025.04.07
44791 ‘그림자 조세’ 부담금 줄인다던 약속, 지금은? 랭크뉴스 2025.04.07
44790 [Today’s PICK] 정부 “자동차산업 3조 긴급지원”…5대 금융에 자금공급 협조 요청 랭크뉴스 2025.04.07
44789 ‘민주주의 교과서’ 헌재 윤석열 파면 결정문 [유레카] 랭크뉴스 2025.04.07
44788 '나성에 가면' 부른 세샘트리오 출신 홍신복, 72세 나이로 별세 랭크뉴스 2025.04.07
44787 “민주공화국 주권자는 대한국민”…마지막까지 고심한 헌재 랭크뉴스 2025.04.07
44786 우원식 의장 “대선일에 개헌 국민투표 동시에 하자” 제안 랭크뉴스 2025.04.07
44785 가공식품·외식 물가 3%↑…체감 물가 ‘고공행진’ 랭크뉴스 2025.04.07
44784 한남동 안 떠나는 윤석열 “여러분 곁 지키겠다”···승복 없이 ‘관저 정치’ 랭크뉴스 2025.04.07
44783 '대선 출마' 밝힌 홍준표 "수능, 1년에 두 번"…사실상 첫 공약 랭크뉴스 2025.04.07
44782 산불진화 '노후 임차 헬기' 또 추락…조종사 1명 사망(종합3보) 랭크뉴스 2025.04.07
44781 관저 이전·공천개입 의혹…검찰, ‘보호벽’ 사라진 윤석열·김건희 수사 속도 낼 듯 랭크뉴스 2025.04.06
44780 [속보] 美상무 "관세 부과 연기 없어…며칠, 몇주간 그대로 있을 것" 랭크뉴스 2025.04.06
44779 산불 진화 헬기 추락해 조종사 사망…또 노후 임차헬기 랭크뉴스 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