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계엄 실체적·절차적 요건 위반…포고령 1호·선관위 압수수색 위헌"
'의원 끌어내기·정치인 체포 지시'도 인정…"민주주의에 헤아릴 수 없는 해악"


(서울=연합뉴스) 황윤기 기자 =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하면서 12·3 비상계엄을 둘러싸고 제기된 '의원 끌어내기', '정치인 체포 지시' 등 핵심 의혹을 대부분 사실로 인정했다.

법조계에서는 윤 대통령 측의 '완패'라는 평가가 나온다.

헌재는 이날 공개한 17쪽의 선고 요지, 114쪽의 결정문(별지 포함)을 통해 그간 제기된 절차적·실체적 쟁점에 관해 요목조목 따졌다.

선고 요지의 많은 부분이 "피청구인은 OO라고 주장합니다"로 시작해 "그러나 OO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로 윤 대통령의 주장을 반박하는 구조로 쓰였다.

윤석열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출석해 있다. 2025.2.13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헌재는 먼저 12·3 비상계엄의 실체적, 절차적 요건을 검토했다. 국회의 소추의결서에 적힌 첫 번째 소추사유였다.

윤 대통령 측은 이른바 '줄 탄핵', 예산삭감, 선거부정 의혹 등으로 계엄선포 직전 한국 사회가 헌법상 계엄선포 요건인 '국가비상사태'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헌재는 국가긴급권을 행사할 정도의 위기로 볼 수 없을뿐더러 병력을 투입할 필요도 없었고 계엄의 절차적 요건도 전혀 지켜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이 계엄의 구체적 내용을 설명하지 않아 국무회의 심의가 없었던 셈이고, 국무총리·국무위원의 부서, 계엄사령관 공고, 국회 통고도 모두 없었으므로 절차적 요건 위반이라는 것이다.

포고령 1호도 헌법 위반이 인정됐다.

윤 대통령 측은 포고령이 형식적인 것에 불과하고 실제 실행할 의사는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헌재는 윤 대통령이 '야간 통행금지 조항'이 국민에게 불편을 줄 우려가 있다며 삭제했던 사실과 '집행 계획이 없었다'는 주장이 상호 모순적이고, 굳이 형식을 갖추려 포고령을 발령할 필요는 없었다는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기일인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 헌법재판관들이 입장해 있다. 2025.4.4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국회에 군과 경찰을 투입했다는 소추사유도 파면의 핵심 근거가 됐다.

윤 대통령은 국회를 봉쇄하거나 계엄 해제 의결을 방해할 의도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국회의사당 본회의장 내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한 적도 없다고 강변했다.

하지만 헌재는 윤 대통령이 직접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전화했고 경찰이 국회 출입을 전면 차단한 점, 윤 대통령이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에게 "의결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것 같으니,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안에 있는 인원들을 끄집어내라"고 지시한 점을 사실로 인정했다.

정치인·법조인에 대한 체포 시도가 있었는지도 많은 이목을 끈 소추 사유였다.

윤 대통령은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진술의 신빙성을 공격하며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윤 대통령이 직접 홍 전 차장을 '내란 몰이의 시작'으로 지목하기도 했다.

그러나 헌재는 홍 전 차장의 진술을 사실로 인정하고 최소한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한동훈 대표, 김명수 전 대법원장 등에 대한 '위치 확인 시도'는 있었다고 봤다. 헌재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필요시 체포할 목적으로 이를 지시했으며 윤 대통령의 관여를 부인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출석한 윤 대통령 변호인단
(서울=연합뉴스) 윤 대통령 변호인단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에 출석해 있다. 2025.4.4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부당하게 압수수색했다는 소추사유도 위헌으로 인정됐다. 윤 대통령은 적법한 계엄 사무였고 선거 시스템을 점검할 필요가 있었다고 주장했는데, 헌재는 당시 선관위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었으므로 계엄사의 행위를 정당화하기 어렵다고 봤다.

윤 대통령은 탄핵심판 변론 내내 '야당의 횡포'를 계엄의 사유로 주장했다. 이에 따라 '대국민 호소용 계엄', '단시간·평화적 계엄'이었다고 강조했으나 헌재는 윤 대통령 주장을 대부분 납득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헌재는 결정문 마지막에 "피청구인이 이 사건 계엄의 목적이라 주장하는 '야당의 전횡에 관한 대국민 호소'나 '국가 정상화'의 의도가 진실이라고 하더라도 결과적으로 민주주의에 헤아릴 수 없는 해악을 가한 것이라 볼 수밖에 없다"고 적었다.

이어 "헌법과 법률을 위배해 헌법수호의 책무를 저버리고 민주공화국의 주권자인 대한국민의 신임을 중대하게 배반했다. 그러므로 피청구인을 대통령직에서 파면한다"고 끝맺었다.

'11시 22분', 윤석열 대통령 파면 선고
(서울=연합뉴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을 4일 파면했다.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11시 22분께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한다"는 탄핵심판 선고 주문을 읽었다. 파면의 효력은 즉시 발생해 이를 기점으로 윤 대통령은 직위를 잃었다.
사진은 선고 주문 당시 헌재 대심판정의 시계. 2025.4.4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02 “윤석열 파면” 주문 읽자 교실서 울린 함성…민주주의 ‘산 교육’ 랭크뉴스 2025.04.05
44101 안 쓴다더니 “인원”, “계몽” 변호사…‘윤석열 탄핵심판’ 헌재 몰아보기 (영상) 랭크뉴스 2025.04.05
44100 '美 관세 폭풍·尹 파면' 금융지주 회장들 긴급회의…비상 경영 계획도 만지작 랭크뉴스 2025.04.05
44099 논란의 9억 화장실, 도쿄엔 더한 곳도 많던데요?[허남설 기자의 집동네땅] 랭크뉴스 2025.04.05
44098 관세 태풍에 휩싸인 중소업체들…“70만달러짜리 계약 끊겼다”[트럼프와 나] 랭크뉴스 2025.04.05
44097 [사설] 민주주의 훼손 심판…분열 끝내고 통합으로 복합위기 극복해야 랭크뉴스 2025.04.05
44096 北, 하루 만에 '윤석열 파면' 주민들에 알려… "재판관 8인 전원일치" 랭크뉴스 2025.04.05
44095 “윤석열을 파면한다” 결정 직후 주가 30% ‘폭싹’ [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4.05
44094 트럼프發 관세 전쟁에 뉴욕 증시 이틀 연속 급락…7대 기술주 시총 1100조 사라져 랭크뉴스 2025.04.05
44093 '月 500만원' 역대급 국민연금 받는 부부…3가지 비결 봤더니 랭크뉴스 2025.04.05
44092 윤 전 대통령, 한남동 관저서 하루 보내…퇴거 준비 중 랭크뉴스 2025.04.05
44091 주문 읽자 교실서 울린 함성…“민주주의 중요한 순간” 랭크뉴스 2025.04.05
44090 스트레스 줄이면 ‘노화의 원인’ 만성염증도 줄어든다 [건강한겨레] 랭크뉴스 2025.04.05
44089 트럼프, 틱톡금지법 시행 75일 추가 유예…“中과 계속 협력 희망해” 랭크뉴스 2025.04.05
44088 '무자본 갭투자' 전세사기로 90억 떼먹은 60대, 2심서 징역 15년 랭크뉴스 2025.04.05
44087 [당신의 생각은] 어린이 없는 심야 학교 앞 시속 30㎞ 제한… “탄력 운영” vs “안전 확보” 랭크뉴스 2025.04.05
44086 尹 탄핵 선고 끝났지만…오늘도 도심 곳곳서 찬반집회 열린다 랭크뉴스 2025.04.05
44085 파월 연준 의장 “관세, 인플레 높이고 성장세 낮출 것…영향 커져” 랭크뉴스 2025.04.05
44084 재계 “정치 불확실성 걷혔다…경제 위기 극복에 총력” [윤석열 파면] 랭크뉴스 2025.04.05
44083 세계가 놀란 ‘민주주의 열정’, 새로운 도약의 불꽃으로 랭크뉴스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