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까지도 尹 복귀 기대했던 용산 '충격'
파면 후 공식입장 없이 침묵... 관저도 마찬가지
경호처 "전직대통령 맞는 경호활동 시행"
파면 후 공식입장 없이 침묵... 관저도 마찬가지
경호처 "전직대통령 맞는 경호활동 시행"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선고한 4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관계자들이 봉황기를 내리고 있다. 연합뉴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선고한 4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 바깥 정면에선 적막이 흐르는 가운데 봉황기가 내려졌다.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탄핵 인용 주문을 읽어내린 지 채 30분도 안 돼 '대통령의 상징'은 그렇게 가라 앉았다.
대통령실 안쪽의 분위기는 더 침통했다. 대통령실 직원들은 지위고하를 불문하고 모두 이날 청사 내 사무실에 정위치한 채 TV로 헌재 선고를 지켜봤다고 한다. 문 권한대행이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는 주문을 읽을 때는 곳곳에서 탄식이 터져나오기도 했다. 12·3 불법계엄과 탄핵 정국에서도 윤 대통령의 직무복귀 가능성에 실낱같은 희망을 품고 실무적 대비를 해왔던 대통령실인 만큼 타격이 더 컸다는 후문이다.
당장 이날도 정진석 비서실장 주재의 참모진 정례 아침회의가 진행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헌재 선고 직전까지도 청사의 몇몇 참모들은 윤 대통령이 돌아올 경우 즉시 눈코뜰새 없이 바빠질 가능성에 대비하듯 샌드위치 등 간단히 식사거리를 챙겨 사무실에 들어서기도 했다.
대통령실 한 관계자는 "완전히 예상하지 못한 건 아니지만 결과가 나오니 더 '멘붕'(멘탈붕괴)"이라며 "이제 앞으로 어떻게 되는 건지도 잘 모르겠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부처 출신의 늘공(늘 공무원)들은 향후 정부 부처로 다시 돌아갈 수 있지만, 대부분 정치권 출신인 어공(어쩌다 공무원)들은 당장 진로가 불투명한 상황에 처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헌재의 파면 결정에 대한 별다른 공식 입장을 내지 않은 채 침묵했다. 고위급 참모들도 대외 접촉을 피하며 침묵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윤 전 대통령이 머물고 있는 한남동 관저 역시 찬반으로 나뉘어 희비가 교차하며 소란스러운 외부와 달리, 안쪽 기류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대통령경호처는 "관련 법률과 규정 등에 의거해 전직 대통령에 맞는 경호활동을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