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美국무에 "챙겨봐달라" 당부…민감국가엔 "美의 안보적 측면서 볼것많아"


나토 외교장관회의 참석한 조태열 외교장관
(브뤼셀=연합뉴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3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나토 외교장관회의 IP4 회의 세션에 참석하고 있다. 2025.4.3 [email protected] [외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3일(현지시간) 미국의 상호관세 방침에 대해 협상 여지가 있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나토 외교장관회의 및 한미일 외교장관회의 참석 뒤 연합뉴스와 만나 상호관세 협상 가능성을 묻는 말에 "(협상)할 게 있을 것"이라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부터 협상 가능성을 열어놓은 만큼 협의를 통해 조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을 만나서도 이 문제를 챙겨봐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루비오 장관은 '(통상) 불균형을 재조정하기 위한 것이며, 재조정된 기초 위에서 이제 새로운 협의를 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취지로 설명했다고 외교부 당국자는 전했다.

그는 한 달 반만에 열린 한미일 외교장관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과정에서 북한에 어떠한 보상도 주어져선 안 된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북한으로선 러시아에 파병까지 했으니 막판에 뭔가를 더 얻어내려 할 가능성이 있지 않겠나"라면서 "그런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몇 달 전부터 이 문제를 강조하고 있다. 루비오 장관과 통화할 때도 그랬고, 기회가 있을 때마다 얘기하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군 포로 송환 문제와 관련해서는 "한미일 회의에서 할 얘기가 아니다"라며 이날 논의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이날 나토 본부에서 성사된 조 장관과 안드리 시비하 우크라이나 외교장관간 약식회동에서 포로 송환 문제가 논의된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 약식회동에서 "3월 17일 통화 시 논의한 사항의 후속조치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고 전했다. 당시 통화에서 양측은 북한군 포로 송환 문제 등을 두고 의견을 교환한 바 있다.

조 장관은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 명단에 추가하기로 한 것과 관련, 미측과 실무협의가 진행 중이라면서도 "발효일이 15일인데 그 전에 푸는 것은 쉽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기술보안 문제 때문이라고 규정했지만, 1∼2가지 사건으로 생긴 것은 아닌 것 같다. 전반적인 맥락을 보면 기술적 환경(technology landscape)이 바뀌고 있고, 그에 따른 미국의 안보적 측면에서 봐야 할 것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것을 해제하려면 나름대로 (미측의) 절차와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과 '팀워크'로 대응 중이라고 힘줘 말했다.

정부가 민감국가 지정 사실을 뒤늦게 인지한 이후 '부처 간 떠넘기기'를 하고 있다는 비판을 의식한 발언으로 보인다.

조 장관의 이번 브뤼셀 방문은 4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두고 이뤄진 것이기도 하다. 이에 그는 나토측 회의 초청을 받은 뒤 막판까지 참석 여부를 고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탄핵 심판 선고 결과에 따라 조 장관의 거취도 결정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터다.

조 장관은 작년 12월 3일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기 전 "외교적 영향뿐 아니라 70년 동안 대한민국이 쌓은 성취를 무너뜨리는 것"이라며 윤 대통령을 만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그는 거취 관련 질문에 "모르겠다. (선고) 결과를 모르는데, 나라를 위해 열심히 할 때까지 하는 것"이라고 말을 아꼈다.

탄핵 선고 이후 한국 외교의 과제에 대해서는 "외교적으로 타격이 없었다면 거짓말이지만, 이를 최소화하는 게 앞으로 해야 할 일"이라고 견해를 밝혔다.

그러면서도 최근 각국 장관들과 잇단 회동 과정에서 '평상시처럼 하면 된다'는 메시지를 많이 전달받았다면서 "앞으로 남은 몇주, 몇 달간 (상황을) 잘 관리하면 외교에 큰 데미지(타격)는 가지 않을 것 같다는 안도감이 들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26 '月 542만원' 역대급 국민연금 받는 부부…3가지 비결 봤더니 랭크뉴스 2025.04.05
44125 尹 만장일치 파면 1등 공신은 '수사기록' 랭크뉴스 2025.04.05
44124 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 인근 6.9 지진‥"쓰나미경보 해제" 랭크뉴스 2025.04.05
44123 '車관세에도' 현대차 "美시장서 두달간 가격 인상 안해" 랭크뉴스 2025.04.05
44122 [단독] 尹파면이 의협 움직였다…1년여만에 의정대화 나서기로 랭크뉴스 2025.04.05
44121 파면 결정 다음날도 집회는 계속…서울 곳곳서 “탄핵 자축” “불복종 투쟁” 랭크뉴스 2025.04.05
44120 형사상 ‘불소추특권’ 상실…곧 형사재판 본격 시작 랭크뉴스 2025.04.05
44119 ‘관세 충격’ 미국 증시 5년만에 최악의 하루…경기침체 우려 랭크뉴스 2025.04.05
44118 '민간인 윤석열' 내란 재판 시작…명태균 게이트 수사도 '시동' [서초동 야단법석] 랭크뉴스 2025.04.05
44117 8년 전과 달랐다…경찰 사전 대비로 충돌·인명피해 ‘0′ 랭크뉴스 2025.04.05
44116 '尹 파면' 됐는데 오늘 또 집회?···전광훈, 광화문서 20만명 집회 예정 랭크뉴스 2025.04.05
44115 8년 만에 차세대 방산 핵심 떠오른 안두릴…韓 방산과 협력 전방위 강화 [헤비톡] 랭크뉴스 2025.04.05
44114 정치가 흔든 123일, 환율 뛰고 코스피 갇혔다 [윤석열 파면] 랭크뉴스 2025.04.05
44113 홍준표, “윤 탄핵은 이제 과거”…사실상 조기대선 출마 선언 랭크뉴스 2025.04.05
44112 중국 보복관세 발표에 빅테크 주가 또 폭락…애플 200달러선 붕괴, 테슬라 10% 급락 랭크뉴스 2025.04.05
44111 “미국은 에어탱커로 끄는데” 산불 피해 지역 의원의 호소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5
44110 “한국은 끝났다”...충격 전망 나왔다 랭크뉴스 2025.04.05
44109 “만장일치 파면”…尹지명 정형식 재판관이 결정문 썼다 랭크뉴스 2025.04.05
44108 대통령 파면, 2025 헌법의 풍경은 ‘미완성’ [EDITOR's LETTER] 랭크뉴스 2025.04.05
44107 [시승기] 몸집 커지고 거리 늘고… 폭스바겐 두번째 전기차 ‘ID.5′ 랭크뉴스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