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상위 20개 채널 중 15개가 정치 관련
한 달만에 1억 원 넘게 벌어들인 계정 多
‘가짜뉴스 창조·확산’ 국론 분열 지적도
지난 3월 서울 중앙대 정문에서 탄핵 찬·반 집회가 열린 가운데 보수 유튜버가 무대에 올라 노래를 부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윤석열 대통령의 운명을 결정한 탄핵심판 선고일이 밝은 가운데 오늘 헌법재판소·광화문·한남동 관저 등 도심 곳곳에서 정치 유튜버들의 활동이 정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12·3 비상계엄 이후 정치 유튜버들에 대한 슈퍼챗(현금후원)이 크게 늘어난 가운데 이들이 수익을 위해 점점 과격한 행동을 일삼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무력 충돌 우려가 커지며 경찰은 선고 전부터 일부 극우 유튜버들에 대한 선제적인 동향 파악에 나섰다.

4일 서울경제신문이 유튜브 통계 사이트 ‘플레이보드’의 슈퍼챗 수입 상위 20개 채널을 분석한 결과 비상계엄이 선포된 지난해 12월부터 약 3달간 상위 채널 가운데 55~75%가 정치 관련 채널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상계엄과 윤 대통령 탄핵안 가결 투표가 이뤄진 12월,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과 서부지법 난동 사태가 발생한 1월에 ‘탄핵 특수’가 컸다. 이 기간 상위 채널 20개 중 15개가 정치 채널이었다.

수익 규모도 억 단위를 넘겼다. 지난해 12월에 수익 1위를 기록한 채널은 진보성향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으로, 한 달 만에 약 1억 5000만 원을 벌어들였다. 보수성향 ‘신의한수’는 1억 2000만 원의 수익을 챙기며 그 뒤를 이었다. 신의한수는 윤석열 대통령 체포 영장이 발부된 1월 7일 하루에만 약 1000만 원의 수익을 올리기도 했다.

2~3월엔 정치 채널의 수익이 최대 4000만 원대로 떨어지고 수도 각각 11개, 12개로 다소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다만 탄핵 선고 당일만큼은 주춤했던 유튜버들이 도로 과격한 중계 활동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처럼 정치 유튜버들이 급격히 늘어난 이유는 계엄·탄핵 국면에 접어들며 생생한 현장 중계와 상황 분석에 대한 시민들의 수요가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12월과 전년 동월(2023년 12월)을 비교해 보니 정치 채널의 비중이 3개에서 15개로 5배나 폭등했다. 1년 전에는 후원 규모도 2~3000만 원에 그쳤다.

상위 소득권의 정치 유튜버들은 구독자 수에 비해 후원 규모가 월등히 크다는 특징을 보인다. ‘유령 구독자’가 적고 이들의 영상에 대한 구독자들의 충성도가 매우 높다는 의미다. 일례로 진보성향 채널 ‘한두자니’는 구독자가 3만 7000명 정도로 10만 명도 되지 않지만 3월 한 달 동안 4500만 원을 후원받아 슈퍼챗 순위 2위를 기록했다.

지난 1월 서울 마포구 서부지방법원 후문 인근에서 경찰이 시위 중인 윤 대통령 지지자들을 해산시키려고 하자 지지자들이 이를 막고 있다. 연합뉴스


다만 ‘1인 미디어’ 역할을 자청하고 나선 정치 유튜버들이 더 많은 후원을 목표로 자극적인 가짜뉴스를 퍼뜨리거나 의도적인 충돌을 꾀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민주주의의 꽃’이라 불리는 집회 현장에서 되레 사회 갈등과 분열을 조장한다는 비판도 있다.

실제로 최근 시위에서는 과격한 발언이나 행동으로 경찰·시민과 유튜버 간 충돌이 잇달아 발생하고 있다. 지난달 한 유튜버는 헌법재판소 앞에서 경찰을 팔꿈치로 가격하고 넘어뜨려 체포된 바 있다. 같은달 윤 대통령 탄핵 관련 집회에서 한 극우 유튜버가 취재기자들의 노트북 화면을 무단으로 생중계하는 일도 발생했다. 한남동 대통령 관저·광화문 등에서 양 진영의 집회일이 겹칠 때면 유튜버들이 서로를 향해 ‘집단 정신병’, '친일파 DNA’ 등의 수위 높은 비난을 가하거나 욕설을 뱉으며 싸움을 거는 모습도 쉽게 포착할 수 있다.

이에 전날 경찰은 선고 당일 폭력 집회 및 헌재 난입이 이뤄질 가능성을 고려해 다수의 유튜버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3일 브리핑에서 “불법 사항을 발견할 시 즉시 제지 가능하도록 대비 중"이라고 전했다.

다만 5월에 조기 대선이 열릴 경우 유튜버들의 선동 수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는 만큼 플랫폼 차원에서라도 도를 넘은 유튜버들을 엄격히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하상응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정치 유튜버들이 증폭시키는 가짜 뉴스가 사회적으로 큰 문제인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지만 표현의 자유도 있기에 여전히 명확한 답은 없다"면서도 "아예 방송을 금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더라도, 명백한 허위 정보로 선동한 사실이 밝혀진다면 슈퍼챗 기능 등 ‘돈줄’을 끊어버리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하 교수는 정치권과 기성 언론의 책임 있는 자세도 강조했다. 하 교수는 "1인 유튜버들이 아무리 극단적인 메시지를 낼지라도 이를 주요 언론과 정치인들이 무시해버리면 결국 '찻잔 속 태풍'처럼 잦아들 수 있다"면서 "이를 확대 재생산하는 이들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341 [통일전망대] 북한 '尹 파면' 하루 뒤 보도‥김정은 '특작부대' 시찰 랭크뉴스 2025.04.05
44340 미 국무부, 윤석열 파면에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랭크뉴스 2025.04.05
44339 미국 증시 이틀째 급락… 시장 불안에 '변동성 지수' 4년 새 최고 랭크뉴스 2025.04.05
44338 경찰, 윤석열 파면 다음 날 민주당 천준호 현수막에 불 지른 50대 체포 랭크뉴스 2025.04.05
44337 뉴욕증시 폭락에 환율도 급등‥'10% 기본관세' 시작됐다 랭크뉴스 2025.04.05
44336 [주간코인시황] 美 상호관세 충격·통화정책 관망 속 약세 전환 랭크뉴스 2025.04.05
44335 제발 뜨거운 물 참아라, 머리카락 사수하는 소소한 습관 [Health&] 랭크뉴스 2025.04.05
44334 대체 빵으로 얼마 번거야…성심당, 2년 연속 뚜레쥬르 눌렀다 랭크뉴스 2025.04.05
44333 관세 넘어 감세까지…탄력 받는 트럼프노믹스 랭크뉴스 2025.04.05
44332 "끄집어내라" 인정한 헌재‥내란죄 재판도 탄력? 랭크뉴스 2025.04.05
44331 르펜 유죄 판결 전화위복?…佛 극우당 가입자 증가 랭크뉴스 2025.04.05
44330 윤석열, 아크로비스타 돌아가나?‥경호 어렵고 주민 불편 우려도 랭크뉴스 2025.04.05
44329 10명 중 7명 "尹, 조기 대선 자숙해야"…44.8%는 "헌재 결정 불수용" 랭크뉴스 2025.04.05
44328 48명 살해 종신형 받은 러 연쇄살인범 "11명 더있다" 충격 자백 랭크뉴스 2025.04.05
44327 제주섬 자연과 사람 녹아들어 ‘맨도롱’한 그 맛 [esc] 랭크뉴스 2025.04.05
44326 윤석열 흔적 하나둘 지우는 대통령실‥"관저 퇴거는 다음주" 전망 랭크뉴스 2025.04.05
44325 신생아 학대 대구가톨릭대병원, 공식 사과영상 올려 "책임통감" 랭크뉴스 2025.04.05
44324 차에 치인 거북 구조한 베스트셀러 작가... "거북은 느리지만 끝내 회복한다" 랭크뉴스 2025.04.05
44323 "봄바람 휘날리며" 심장 멎는다…돌연사 막는 4가지 습관 랭크뉴스 2025.04.05
44322 尹, 관저서 나경원 1시간 독대 “고맙다, 수고했다” 랭크뉴스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