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정성호 의원이 지난해 12월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 뉴스1
“헌법재판관들 내부에 4월 18일 이전 선고는 이미 다 동의가 되어 있어요.”

정성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달 30일 중앙일보 통화에서 단언했다. 당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사건을 두고 민주당내 동요는 최고조였다. 헌재의 선고 기일 지정이 기약 없이 늦어지며 ‘5 대 3 교착설’이 확산하고 있었다. 선고가 재판관 2명(문형배·이미선) 퇴임 일인 4월 18일을 넘길 것이란 가능성도 점쳐졌다.

변호사 출신 5선 의원인 그는 3일 중앙일보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 선고 결과에 대해 “8대0 인용”을 확신했다. “재판관 이념이 아닌 법치주의 수호 의지의 문제”라면서다.


Q : 만장일치 결론이라면 왜 선고가 늦어졌을까.

A :
복합적인 고려가 있었다고 본다. 심리 종결 이후 충분한 시간을 가져야 탄핵 반대하는 분들의 불만도 적어질 것 아닌가. 충분히 고려했다는 사인을 주려고 하지 않았을까.

Q : 6대2나 7대1 가능성도 나온다.

A :
그럴 가능성이 별로 없다고 본다.

Q : 심리 종결 직후 8대0으로 일치돼 있었을 거라고 보나.

A :
적어도 국회 봉쇄·진입 및 정치인 등 체포 지시 의혹,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군 투입 등 큰 틀에서 중대한 위헌·위법으로 일치됐을 거라고 본다.

Q : 절차적 정당성 문제도 불거졌는데.

A :
탄핵 사유에서 '형법상 내란죄'를 삭제한 게 쟁점이 됐을 수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 때 일부 철회해도 상관없다는 입장이 정리되기는 했는데, 원론적인 측면에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또 검찰 수사 기록 증거 인정도 일부 논란의 소지가 있다. 다만 이같은 문제 제기가 평의를 통해 각하 결정을 내릴 정도는 아니었을 것이다.

Q :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사건은 기각ㆍ각하ㆍ인용이 5:2:1로 갈렸는데.

A :
(한 총리 기각은) 재판관들이 오히려 대통령 탄핵 이후를 고려했다고 본다. 대통령 부재 상황에서 부총리 대행보다는 국무총리 대행이 국가 신인도와 국정 안정 회복 측면, 선거 관리 측면에서도 낫다.

Q : 재판관들 정치 성향도 논란이었다.

A :
정치 성향 있을 수 있지만, 내가 아는 한 8명 모두 철저한 법치주의자다. 이 문제는 보수ㆍ진보 문제 아니다. 성 소수자 권리 보장ㆍ낙태 같은 이슈와 다르다. 헌법 질서를 위태롭게 했는지 여부만 판단했을 거다.

Q : 재판관을 향해 민주당이 ‘을사오적’이라고 공격했다.

A :
법관들을 공격하는 건 여야 떠나 잘못이다. 하지만 재판관들이 이 역사적인 사건을 감정적으로 판결하지는 않을 거다.

Q : 헌법재판관을 대통령ㆍ대법원장ㆍ국회가 각각 세 명씩 추천하는 방식의 한계도 지적된다.

A :
이런 상황이 됐으니 개헌 과정에서 헌재 구성 다양화도 심도있게 논의해야 한다. 지금은 판사 일색이란 측면도 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79 “판사가 개소리 징징” ‘서부지법 난동’ 변호인들, 유튜브서 ‘막말’ 랭크뉴스 2025.04.10
46678 125% 대 84% 관세전쟁···중국 “할리우드 영화 수입 줄인다” 랭크뉴스 2025.04.10
46677 법제처도 입법조사처도 "한덕수 기습 지명은 위헌" 랭크뉴스 2025.04.10
46676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만 명 넘었다…10·20대 ‘딥페이크’ 급증 랭크뉴스 2025.04.10
46675 만취 승객들에 가짜토사물 뿌리고 1억5천만원 뜯은 택시기사 랭크뉴스 2025.04.10
46674 잼버리 화장실 공사 중인데…"설치 완료" 허위보고한 여가부 랭크뉴스 2025.04.10
46673 코스닥 상승 종목 역대 최다 기록 썼지만… 60%가 美 관세 발표 前 주가 밑돌아 랭크뉴스 2025.04.10
46672 EU “美 철강관세 보복 90일간 보류…협상 불만족시 발효" 랭크뉴스 2025.04.10
46671 박성재 법무 직무복귀…"검찰, 좌고우면 말고 공정·신속수사"(종합) 랭크뉴스 2025.04.10
46670 "이완규 막아달라" 가처분‥마은혁 주심 맡는다 랭크뉴스 2025.04.10
46669 국힘, 한덕수 대선 차출론 급부상…한 대행도 ‘저울질’ 랭크뉴스 2025.04.10
46668 피의자 호송 중 성추행…"경찰 이래도 되나" 묻자 "안 되지" 랭크뉴스 2025.04.10
46667 [속보] 尹, 내일 오후 5시 용산 떠난다…반려동물 11마리도 데려가 랭크뉴스 2025.04.10
46666 수업 중 게임하다 걸리자…휴대전화 쥔 채로 교사 폭행한 고3 랭크뉴스 2025.04.10
46665 죽에 커피 섞어…취객 160명에 1억5천 뜯어낸 택시기사 랭크뉴스 2025.04.10
46664 트럼프 '관세 폭주' 깜짝 유예…5경 넘는 미국빚 때문이었다 랭크뉴스 2025.04.10
46663 "수업 중 게임은 안돼"…교사 한마디에 얼굴에 주먹 휘두른 고3 랭크뉴스 2025.04.10
46662 버스서 쓰러진 유학생, 기사가 업고 뛰어 3분 만에 병원 이송···“두 딸 둔 엄마로서 1초 망설임 없었다” 랭크뉴스 2025.04.10
46661 “李 이길 유일한 후보” 국힘 대권 도전 러시 랭크뉴스 2025.04.10
46660 2017년 ‘문재인의 길’ 따라 걷는 2025년 이재명 랭크뉴스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