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동차, 철강 상호관세 25% 적용 안돼
업종별 관세 25%는 예상한 대로 시행
자동차업계 촉각..당장 가격 인상 없어
철강업계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승부"
자동차 부품 매출 12조 원 관세 영향권
중기들 "완성차 따라 미국 갈 수도 없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관세 부과 발표 행사 중 무역 장벽 연례 보고서를 들고 발언하고 있다. 워싱턴=AP 뉴시스


자동차·철강업계가 최악은 피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들 업계에는 상호관세 25%(행정명령에는 26%)를 적용하지 않기로 했기 때문이다. 다만 업종별 관세 25%는 떠안게 됐다.
자동차·철강업계는 확정된 관세 25%를 돌파하기 위한 계산법을 짜느라 바쁜 반면 대부분 중견·중소기업인 자동차 부품 기업은 생사의 기로에 섰다
.

자동차업계 "최악의 시나리오는 아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백악관 경내 로즈가든에서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라는 행사를 열고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워싱턴=AP 뉴시스


3일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내용에 따르면 자동차는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빠졌다.
자동차 업계로선 최악의 시나리오는 피한 셈
이다. 하지만
25% 관세 폭탄이 몰고 올 후폭풍은 이제 시작이란 점에서 업계는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 2024년 한국이 미국에 수출한 자동차는 약 143만 대로, 전체 자동차 수출 물량의 절반이 넘는다.

현대차·기아는 이날부터 미국에 수출할 경우 25% 관세를 내야 할 처지다.
연간 100만 대가량을 미국에 수출해 온 만큼 관세는 수익성과 직결
된다. 최근
미국 내 판매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점쳐진 것도 이 때문
이다. 하지만 현대차·기아는 신중하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
은 이날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기자들과 만나 "
현재 미국에서 가격을 올릴 계획은 없다
"면서 "미국이 아주 중요한 시장인 만큼 장·단기적 관점에서 상황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좋은 디자인과 기술, 서비스, 금융 프로그램 등 경쟁력 있는 제품을 꾸준히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계 판매 1위 일본 도요타도 당분간 미국 내 가격을 동결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철강업계 "다행이지만..수출 전략 다각화"

3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다. 평택=뉴시스


철강업계도 상호관세에서는 빠지면서 "그나마 다행"이라는 분위기
다. 특히 한국은 주요 철강 수출국인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일본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를 맞게 됐다. 철강업계는 3월 12일 결정된 '철강 25% 관세'로 트럼프 관세가 일단락될 것이라고 보고 대응 전략 마련에 힘쓸 방침이다.

특히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의 수출로 수익성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 포스코 등 철강업체들은 관세 부과 뒤 미국 상황에 따라 품목별 수출 전략을 짜는 다각화 전략을 세웠다. 원가를 더 절감한다는 방침도 내놓았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결국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로 수출 물량을 채워 수익성을 방어하는 것 외에는 대책이 없다"고 말했다.

차 부품 기업들은 걱정..."완성차 대응 방향 중요"

3일 경기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 평택=연합뉴스


가장 큰 걱정을 하는 곳은 국내 완성차 업계와 함께 해온 부품 기업들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에 따르면 현대차·기아, 한국GM 등
국내 자동차 기업과 거래하고 있는 1차 협력 업체만 691곳(2023년 기준)에 달한다. 특히 중소·중견기업(659곳) 비중은 95%로 절대적
이다.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의 2023년 매출액은 164조7,803억 원이다. 이 중 자동차 부품 기업들의 북미 수출 금액은 약 82억2,000만 달러(약 11조7,900억 원)다. 12조 원 규모의 자동차 부품 매출이 관세 영향권에 있다는 의미다.

이런 상황에서 현대차와 같은 완성차 기업이 관세를 피해 미국에서 생산을 늘리면 관세 영향은 더 커진다. 완성차 기업을 따라 미국으로 갈 여력이 없는 부품 기업들은 고객을 잃고 매출이 줄어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 자동차 부품업체 관계자는 "관세는 상수"라며 "완성차 기업의 관세 대응 방향이 국내 부품 업계의 생사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309 외신이 지적한 향후 과제는 '통합'… "대통령 떠났지만 더 큰 분열 남았다" 랭크뉴스 2025.04.05
44308 “대통령 파면하는 게 민주주의냐” 김문수, 대선 출마 시사 랭크뉴스 2025.04.05
44307 "트럼프 불신하는 독일, 뉴욕 보관 중인 1200t 금괴 인출 검토" 랭크뉴스 2025.04.05
44306 대통령 탄핵 뒤 첫 광화문 집회…시민들 “끝이 아닌 시작” 한목소리 랭크뉴스 2025.04.05
44305 골리앗 이긴 다윗...성심당, '빵'으로 CJ 눌렀다 랭크뉴스 2025.04.05
44304 尹 파면 후 첫 여론조사… 68.6% "선거 국면에서 자숙해야" [리서치뷰] 랭크뉴스 2025.04.05
44303 “민주주의 승리” “사기 탄핵”…윤 파면 후 주말 집회 랭크뉴스 2025.04.05
44302 퇴거 안 한 윤석열, 관저에서 나경원과 차담…무슨 얘기 나눴나? 랭크뉴스 2025.04.05
44301 "트럼프, 완전히 미쳤다"... '노벨경제학상' 크루그먼의 맹비난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05
44300 서울경찰 ‘을호비상’ 해제 ‘경계강화’로 하향 랭크뉴스 2025.04.05
44299 尹 파면 후 첫 조사… 10명 중 7명 “대선서 자숙하라” 랭크뉴스 2025.04.05
44298 윤석열 흔적 지워라...대통령실 홈페이지도 멈췄다 랭크뉴스 2025.04.05
44297 '파면 소회' 차고 넘칠텐데‥문 대행이 남긴 '두 문장' 랭크뉴스 2025.04.05
44296 [尹파면] 국민의힘 내부 "분열은 자멸""힘 모으자"…일각선 '배신자론'(종합) 랭크뉴스 2025.04.05
44295 [속보]경찰, 서울 ‘을호비상’ 해제···‘경계강화’로 조정 랭크뉴스 2025.04.05
44294 ‘주인없는 바다' 먼저 잡는게 임자? 그러니 오징어 사라졌지 랭크뉴스 2025.04.05
44293 트럼프에 분노한 중국...틱톡의 운명은? 랭크뉴스 2025.04.05
44292 기쁨 담아 나부낀 색색깔 깃발들…“이제 사회 대개혁으로” 랭크뉴스 2025.04.05
44291 김문수 "아무런 욕심 없지만 이 나라가 이렇게 가선 안 돼" 랭크뉴스 2025.04.05
44290 유시민 "이재명, 대통령 가능성 상당…檢 유혹에 안 넘어가면 돼" 랭크뉴스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