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동차, 철강 상호관세 25% 적용 안돼
업종별 관세 25%는 예상한 대로 시행
자동차업계 촉각..당장 가격 인상 없어
철강업계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승부"
자동차 부품 매출 12조 원 관세 영향권
중기들 "완성차 따라 미국 갈 수도 없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관세 부과 발표 행사 중 무역 장벽 연례 보고서를 들고 발언하고 있다. 워싱턴=AP 뉴시스


자동차·철강업계가 최악은 피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들 업계에는 상호관세 25%(행정명령에는 26%)를 적용하지 않기로 했기 때문이다. 다만 업종별 관세 25%는 떠안게 됐다.
자동차·철강업계는 확정된 관세 25%를 돌파하기 위한 계산법을 짜느라 바쁜 반면 대부분 중견·중소기업인 자동차 부품 기업은 생사의 기로에 섰다
.

자동차업계 "최악의 시나리오는 아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백악관 경내 로즈가든에서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라는 행사를 열고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워싱턴=AP 뉴시스


3일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내용에 따르면 자동차는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빠졌다.
자동차 업계로선 최악의 시나리오는 피한 셈
이다. 하지만
25% 관세 폭탄이 몰고 올 후폭풍은 이제 시작이란 점에서 업계는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 2024년 한국이 미국에 수출한 자동차는 약 143만 대로, 전체 자동차 수출 물량의 절반이 넘는다.

현대차·기아는 이날부터 미국에 수출할 경우 25% 관세를 내야 할 처지다.
연간 100만 대가량을 미국에 수출해 온 만큼 관세는 수익성과 직결
된다. 최근
미국 내 판매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점쳐진 것도 이 때문
이다. 하지만 현대차·기아는 신중하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
은 이날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기자들과 만나 "
현재 미국에서 가격을 올릴 계획은 없다
"면서 "미국이 아주 중요한 시장인 만큼 장·단기적 관점에서 상황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좋은 디자인과 기술, 서비스, 금융 프로그램 등 경쟁력 있는 제품을 꾸준히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계 판매 1위 일본 도요타도 당분간 미국 내 가격을 동결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철강업계 "다행이지만..수출 전략 다각화"

3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다. 평택=뉴시스


철강업계도 상호관세에서는 빠지면서 "그나마 다행"이라는 분위기
다. 특히 한국은 주요 철강 수출국인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일본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를 맞게 됐다. 철강업계는 3월 12일 결정된 '철강 25% 관세'로 트럼프 관세가 일단락될 것이라고 보고 대응 전략 마련에 힘쓸 방침이다.

특히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의 수출로 수익성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 포스코 등 철강업체들은 관세 부과 뒤 미국 상황에 따라 품목별 수출 전략을 짜는 다각화 전략을 세웠다. 원가를 더 절감한다는 방침도 내놓았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결국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로 수출 물량을 채워 수익성을 방어하는 것 외에는 대책이 없다"고 말했다.

차 부품 기업들은 걱정..."완성차 대응 방향 중요"

3일 경기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 평택=연합뉴스


가장 큰 걱정을 하는 곳은 국내 완성차 업계와 함께 해온 부품 기업들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에 따르면 현대차·기아, 한국GM 등
국내 자동차 기업과 거래하고 있는 1차 협력 업체만 691곳(2023년 기준)에 달한다. 특히 중소·중견기업(659곳) 비중은 95%로 절대적
이다.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의 2023년 매출액은 164조7,803억 원이다. 이 중 자동차 부품 기업들의 북미 수출 금액은 약 82억2,000만 달러(약 11조7,900억 원)다. 12조 원 규모의 자동차 부품 매출이 관세 영향권에 있다는 의미다.

이런 상황에서 현대차와 같은 완성차 기업이 관세를 피해 미국에서 생산을 늘리면 관세 영향은 더 커진다. 완성차 기업을 따라 미국으로 갈 여력이 없는 부품 기업들은 고객을 잃고 매출이 줄어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 자동차 부품업체 관계자는 "관세는 상수"라며 "완성차 기업의 관세 대응 방향이 국내 부품 업계의 생사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672 [속보] 윤석열 대통령 파면… 헌재, 재판관 8명 전원일치 선고 랭크뉴스 2025.04.04
43671 22분 걸렸다…헌재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판결문 전문] 랭크뉴스 2025.04.04
43670 [3보] 헌재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헌법수호 의무 저버렸다" 랭크뉴스 2025.04.04
43669 [전문]‘대통령 윤석열 탄핵심판 사건’ 헌재 선고 요지 랭크뉴스 2025.04.04
43668 [속보] 국회측 대리인단 "너무 늦긴 했으나 파면 결정 다행" 랭크뉴스 2025.04.04
43667 尹 파면… 불소추 특권 사라지고 전직 대통령 예우도 박탈 랭크뉴스 2025.04.04
43666 헌재 8대0 전원일치로 尹파면…“국민 신임 중대하게 위반” 랭크뉴스 2025.04.04
43665 헌재, 전원일치로 “대통령 윤석열 파면”···5가지 사유 모두 ‘중대한 위법’ 판단[긴급] 랭크뉴스 2025.04.04
43664 [속보] 헌재 "尹, 헌법이 정한 통치구조 무시…국민 기본권 침해" [尹탄핵심판 LIVE] 랭크뉴스 2025.04.04
43663 “만장일치로 파면” 尹, 전직 대통령 예우 박탈 랭크뉴스 2025.04.04
43662 [속보] 내란수괴 윤석열 전원일치 파면 랭크뉴스 2025.04.04
43661 [속보] 尹대통령 파면…헌재 전원일치 결정 [전문] 랭크뉴스 2025.04.04
43660 [속보] 헌재 "재판관 전원일치 윤석열 파면" 랭크뉴스 2025.04.04
43659 [속보] 윤석열 파면…헌재, 전원일치 탄핵 인용 랭크뉴스 2025.04.04
43658 [속보] 尹대통령, 오전 11시 22분 기점으로 대통령직 상실 랭크뉴스 2025.04.04
43657 [2보] 헌재, 재판관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 랭크뉴스 2025.04.04
43656 [속보] 尹대통령 파면…헌재 전원일치 결정 랭크뉴스 2025.04.04
43655 윤갑근 "거대야당·종북좌파 때문에 비상대권 발동" 랭크뉴스 2025.04.04
43654 [속보] 헌재 "부정선거 의혹만으로 위기상황 발생했다 볼 수 없다" [尹탄핵심판 LIVE] 랭크뉴스 2025.04.04
43653 [속보] 헌재 “비상계엄 당시 계엄선포 심의 이뤄졌다 보기 어려워”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