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일 산불 피해를 입은 주왕산국립공원에 불에 탄 팻말이 바닥에 떨어져 있다. 천권필 기자
"국립공원에 27년 근무했는데도 이런 산불은 경험해보지 못했어요. 청송 읍내와 주왕산 전체에 화점(火點)이 몇천 개가 됐어요."

2일 경북 청송군 주왕산국립공원사무소 상황실에서 만난 안호경 소장은 지난달 25일 거대한 화마가 주왕산을 덮친 끔찍했던 순간을 이렇게 기억했다.

2일 산불 피해를 입은 주왕산국립공원 입구에 잔불 대응을 위해 소방차가 출동했다. 천권필 기자
일주일이 지난 이날도 잔불을 끄기 위해 헬기와 소방 차들이 쉴 새 없이 주왕산을 오갔다. 탐방로는 출입이 전면 금지됐다. 안 소장은 “여전히 낙엽 아래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곳이 있어서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경북 산불은 국립공원에도 전례 없는 피해를 남겼다. 국립공원공단에 따르면, 주왕산국립공원 내 피해 면적은 여의도의 11배가 넘는 3260ha로 추정된다. 공원 전체(1만 600ha)의 3분의 1 가까이가 화마에 휩쓸린 것이다. 1967년 국립공원 제도가 도입된 이후 산불 피해가 가장 컸던 건 재작년 3월 지리산 산불로 당시 피해 면적은 128ha이었다.



태풍급 강풍·소나무 많은 청송, 불길 키웠다
2일 경북 청송군 주왕산국립공원 인근 소나무림이 불에 탄 모습. 천권필 기자
큰 피해가 발생한 건 바람 탓이 컸다. 지난달 25일 밤 주왕산국립공원 주봉에서는 초속 25.1m(시속 90㎞)의 풍속이 기록될 정도로 이례적으로 강한 바람이 불었다. 의성에서 청송까지 온 불길은 이 강풍을 타고 주왕산국립공원 북쪽 지역을 초토화한 뒤 영덕으로 넘어갔다. 국립공원 인근 청송 지역에 송이 재배를 위한 소나무들이 많은 것도 불길이 빠르게 번지는 데 영향을 미쳤다.

안 소장은 “태풍급 강풍을 타고 상상도 못 했던 산불이 순식간에 오면서 대피령을 내리고 일부만 사무소에 남았는데 다행히 불길이 여기까지 넘어오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대전사 지켜낸 활엽수림 “산불 방어선 역할”
지난달 26일 오후 어둠이 내린 경북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 주왕산국립공원에 산불이 번지고 있다. 산불이 번진 주왕산 아래 대전사 사찰이 있다. 뉴스1
불길이 봉우리를 넘어 남쪽으로 내려오지 못하면서 국립공원 입구에 있는 천년고찰 대전사는 화마를 피했다. 최악의 참사를 막을 수 있었던 건 산불 피해지 주변에 밀집한 활엽수들이 산불의 확산을 저지하는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소나무 등 침엽수는 산불에 취약하고 불똥이 하늘로 튀어 오르는 비화(飛火) 현상을 일으킨다. 반면 활엽수는 불길이 땅을 따라 비교적 약하게 가기 때문에 산불의 완충지대가 될 수 있다. 국립공원연구원에 따르면, 주왕산국립공원에서 활엽수림은 60%가 넘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침엽수림 비율은 34% 정도다.
정근영 디자이너

현장 조사를 위해 이날 주왕산을 찾은 명현호 국립공원연구원 박사는 “대전사 주변에는 소나무림이 있기 때문에 불길이 남쪽으로 넘어왔으면 피해가 훨씬 더 컸을 것”이라며 “수분을 많이 머금은 습성림과 활엽수림의 활엽수들이 산불의 방어선 역할을 톡톡히 했다”고 말했다.

2일 산불 피해를 입은 주왕산국립공원에서 현장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천권필 기자


“자연복원 동시에 문화재 지킬 내화수림 필요”
이번 산불로 국립공원이 입은 피해를 복원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주왕산국립공원은 멸종위기 산양의 서식지이자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곳으로 꼽힌다. 국립산림과학원의 연구 결과, 황폐해진 산불 피해지가 산림의 형태를 갖추는 데는 30년 이상, 생태적 안정 단계에 이르기까지는 최소 100년 이상이 걸린다.

2일 주왕산국립공원 입구의 대전사. 대전사 뒤로 소나무림이 보인다. 불길이 대전사까지 번지지 않으면서 산불을 피할 수 있었다. 천권필 기자
정인철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사무국장은 “국립공원 특성상 생물다양성이 회복될 수 있도록 숲을 자연 복원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면서도 “사찰 같은 문화재나 공원 내 마을 주변에는 불에 강한 내화수림을 조성하는 등 산불 피해를 막기 위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848 美 국무부 “한국 헌재 결정 존중…한미동맹 협력 지속 기대”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47 [속보] 미 국무부, 윤석열 파면에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46 한동훈 “함께 고통 나누고 극복하자”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45 4명 숨진 8년 전과 달랐다, 헌재 앞 비운 진공작전 효과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44 선포도, 포고령도 ‘위헌’…“중대 위기 없었다”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43 문형배, 퇴정하며 김형두 등 '쓰담'…선고 직후 희비 엇갈린 재판정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42 베트남 상호관세 46%에… 한국의 對아세안 수출도 ‘흔들’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41 [속보] 美, 尹파면에 "헌재 결정 존중…한 대행과 협력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40 조기 대선 시작… 민주주의 회복 후 대한민국 선장 누가되나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39 [속보] 美국무부, 尹파면에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38 ‘각하’ 결정 고집한 윤석열···그러나 헌재는 “모든 절차 적법”[윤석열 파면]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37 용산 미군기지서 화재…인명피해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36 용산 미군기지서 화재…30여분만에 큰 불길 잡혀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35 [尹파면] 대통령 발목 잡은 '아군' 김용현 진술…'정치인 체포' 인정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34 헌재 선고 살펴보니···“국가긴급권 남용 역사 재현, 국민 신임 배반”[윤석열 파면]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33 미얀마 강진 사망자 3300명 넘어…유엔 “심각한 피해자 900만명”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32 김용현 또 옥중서신 "다시 尹! 다시 대통령!…더 힘차게 싸우자"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31 파면된 윤석열 사과도 승복도 없이…“국힘, 대선 꼭 승리하길”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30 “한남동 간 전광훈은 겁쟁이”… 尹 탄핵에 보수 지지자들 균열 조짐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29 [속보] 美 3월 실업률 4.2%로 0.1%포인트 상승…전망치 상회 new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