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폭력만은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됩니다 " 2017년 3월 10일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A씨는 아버지를 잃었다. 이날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소식에 시위대는 차벽을 허물고 헌재 근처로 몰렸다. 일부는 쇠파이프 등을 휘둘렀고 경찰 버스를 탈취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 소음관리차 위 음향장치가 사람을 덮쳤고, 압사 사고도 벌어졌다. 이날 박 전 대통령 지지자였던 A씨 아버지를 비롯해 총 4명이 숨졌다. A씨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전날인 3일 중앙일보에 “8년 전 일을 반면교사 삼아 유혈사태만큼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2017년 3월 10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이 결정되자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폭력사태가 발생했다. 이날 폭력사태로 총 4명이 숨졌다. 사진은 박 전 대통령 탄핵 이후 헌재 모습. 장진영 기자
실제로 윤 대통령 선고를 앞두고 헌재 등에서 폭력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곳곳에서 나온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생업 놓고 무기 챙기자”는 글도 올라왔다. 이에 대해 A씨는 “폭력 사태를 추호도 생각해선 안 된다. 설사 발생하더라도 흥분하지 말고 가담하지 말아야 한다”며 “각 진영에서 열사나 투사라고 칭하지만, 가족들에겐 허무한 죽음일 뿐이다. 가족들을 생각해달라”라고 말했다. 앞서 법원은 박 전 대통령 파면 당일 숨진 4명 중 음향장치에 깔려 사망한 1명에 대해서만 “국가의 배상 책임이 있다”고 판결했다.

A씨는 “경찰이 폭력을 선동하는 사람을 즉시 현행범으로 체포해 조짐이 보일 때부터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집회 참여자들이 폭력 선동에 휘말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취지다. 8년 전 박 전 대통령 파면 당시 일부 지지자와 극우 유튜버는 “헌재 쪽으로 돌진하자”고 선동했지만, 현행범 체포되지 않았다. 사태가 끝나고 나서야 검거돼 집행유예형을 선고받았다. 경찰도 “폭력 등 불법 행위에 대해 무관용 원칙으로 현장에서 신속 검거하는 등 엄정 대응하겠다”고 예고했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대한민국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날 오후 대전의 한 교차로에 ‘윤석열 파면’, 이재명 체포’가 담긴 현수막이 위 아래로 걸려있다.김성태 객원기자
3주가량 인터뷰를 거절했던 A씨는 “언론 보도를 보면서 갈수록 탄핵 찬성·반대 세력 간 갈등이 심해진다고 느껴 목소리를 내기로 결심했다”고 했다. A씨는 “8년 전 갈등이 쌓여서 폭력이 돼 아버지를 비롯한 사상자를 낳은 것”이라며 “이제는 국가 기관이든 전문가든 자기편이 아니면 아무것도 듣지 않는 세상이 되었다”고 말했다. 이어 “유족으로서 내는 목소리가 조금이라도 가서 닿길 바란다. 또다시 유혈 사태가 발생해서는 안 된다”고 재차 강조했다.

A씨는 또 “헌재 판결에 불만이 있어도 존중해달라”며 “만일 불복한다면 국민들은 이제껏 외친 여러분들의 주장들을 들어주지도, 관심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집회에서 자기 목소리를 내는 것은 당연한 권리지만, 폭력은 권리가 아니다. 상대 진영을 비방하지 말아달라”고 했다.

A씨는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대표가 모두 국민 통합 메시지를 내야한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월 탄핵심판 4차 변론기일에 출석한 모습. 뉴스1
A씨는 탄핵 정국 동안 정치인 태도에 실망했다고 한다. 국민 통합보다는 갈등과 분열을 유도했다는 것이다. A씨는 “너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윤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모두 헌재 결정 승복과 함께 국민 통합의 메시지를 내야 한다”며 “체제 전쟁을 부추기는 정치인이 있는데 이제는 국민 통합으로 혼란을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A씨는 이어 “당시 헌재 일대에 응급차가 부족했고 시위대에 가로막혀 이송이 늦기도 했다”며 “또다시 이런 과오가 반복되면 안 된다. 시위대 모두가 무사 귀가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안전과 관련해 적극적인 조치를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07 억측·낭설 쏟아졌지만‥'전원일치'로 헌법 수호 랭크뉴스 2025.04.04
43906 구광모가 이끈 AI 혁신, LG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랭크뉴스 2025.04.04
43905 "우리가 이겼다"‥광장 메운 123일의 '외침' 랭크뉴스 2025.04.04
43904 尹 파면으로 여야 없어졌다…대통령 없는 국힘, 이제 제2당 랭크뉴스 2025.04.04
43903 탄핵 인용에 화난 40대, 112에 전화해 “민주당사 부수겠다” 랭크뉴스 2025.04.04
43902 中, 美에 '전방위 보복' 나섰다…34% 맞불관세·희토류 수출통제(종합) 랭크뉴스 2025.04.04
43901 윤석열, 국힘 지도부 만나 “난 떠나지만···대선 꼭 승리하길” 랭크뉴스 2025.04.04
43900 “파운드리 합작 법인 잠정 합의”… 인텔, TSMC와 반도체 동맹 가시화 랭크뉴스 2025.04.04
43899 비용 줄이려 해외로 간 韓 기업, 美 관세 폭탄에 초비상 랭크뉴스 2025.04.04
43898 조두순, 하교 시간대 재차 거주지 무단이탈…수 분 만에 귀가 랭크뉴스 2025.04.04
43897 中, 美수입품에 34% '보복 관세' 추가…美군수기업 16곳도 제재 랭크뉴스 2025.04.04
43896 尹 파면에 잠룡株 줄줄이 '상한가'…다시 돌아온 정치 테마주의 시간 [마켓시그널] 랭크뉴스 2025.04.04
43895 불소추특권 사라진 尹… 월 1533만원 연금 자격도 상실 랭크뉴스 2025.04.04
43894 中, 상호관세 보복 나섰다… “美 모든 수입품에 34% 관세 추가” 랭크뉴스 2025.04.04
43893 中, 상호관세 보복 나섰다…“美 모든 수입품에 34% 관세 추가” 랭크뉴스 2025.04.04
43892 중앙선관위 진입 판단은? 랭크뉴스 2025.04.04
43891 “끌어내라” 尹 지시, 정치인 체포 관여 사실로 판단 랭크뉴스 2025.04.04
43890 부정선거 매달린 尹 주장에… “계엄 정당화 안된다” 지적 랭크뉴스 2025.04.04
43889 울분·격앙 뒤 뿔뿔이 흩어진 '반탄파'… '만장일치 파면'에 맥 빠졌나 랭크뉴스 2025.04.04
43888 [단독] 김성훈 "尹 현충원 들렀다 오면 도열" 경호처에 지시... 기각 확신했나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