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폭력만은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됩니다 " 2017년 3월 10일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A씨는 아버지를 잃었다. 이날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소식에 시위대는 차벽을 허물고 헌재 근처로 몰렸다. 일부는 쇠파이프 등을 휘둘렀고 경찰 버스를 탈취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 소음관리차 위 음향장치가 사람을 덮쳤고, 압사 사고도 벌어졌다. 이날 박 전 대통령 지지자였던 A씨 아버지를 비롯해 총 4명이 숨졌다. A씨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전날인 3일 중앙일보에 “8년 전 일을 반면교사 삼아 유혈사태만큼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2017년 3월 10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이 결정되자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폭력사태가 발생했다. 이날 폭력사태로 총 4명이 숨졌다. 사진은 박 전 대통령 탄핵 이후 헌재 모습. 장진영 기자
실제로 윤 대통령 선고를 앞두고 헌재 등에서 폭력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곳곳에서 나온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생업 놓고 무기 챙기자”는 글도 올라왔다. 이에 대해 A씨는 “폭력 사태를 추호도 생각해선 안 된다. 설사 발생하더라도 흥분하지 말고 가담하지 말아야 한다”며 “각 진영에서 열사나 투사라고 칭하지만, 가족들에겐 허무한 죽음일 뿐이다. 가족들을 생각해달라”라고 말했다. 앞서 법원은 박 전 대통령 파면 당일 숨진 4명 중 음향장치에 깔려 사망한 1명에 대해서만 “국가의 배상 책임이 있다”고 판결했다.

A씨는 “경찰이 폭력을 선동하는 사람을 즉시 현행범으로 체포해 조짐이 보일 때부터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집회 참여자들이 폭력 선동에 휘말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취지다. 8년 전 박 전 대통령 파면 당시 일부 지지자와 극우 유튜버는 “헌재 쪽으로 돌진하자”고 선동했지만, 현행범 체포되지 않았다. 사태가 끝나고 나서야 검거돼 집행유예형을 선고받았다. 경찰도 “폭력 등 불법 행위에 대해 무관용 원칙으로 현장에서 신속 검거하는 등 엄정 대응하겠다”고 예고했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대한민국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날 오후 대전의 한 교차로에 ‘윤석열 파면’, 이재명 체포’가 담긴 현수막이 위 아래로 걸려있다.김성태 객원기자
3주가량 인터뷰를 거절했던 A씨는 “언론 보도를 보면서 갈수록 탄핵 찬성·반대 세력 간 갈등이 심해진다고 느껴 목소리를 내기로 결심했다”고 했다. A씨는 “8년 전 갈등이 쌓여서 폭력이 돼 아버지를 비롯한 사상자를 낳은 것”이라며 “이제는 국가 기관이든 전문가든 자기편이 아니면 아무것도 듣지 않는 세상이 되었다”고 말했다. 이어 “유족으로서 내는 목소리가 조금이라도 가서 닿길 바란다. 또다시 유혈 사태가 발생해서는 안 된다”고 재차 강조했다.

A씨는 또 “헌재 판결에 불만이 있어도 존중해달라”며 “만일 불복한다면 국민들은 이제껏 외친 여러분들의 주장들을 들어주지도, 관심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집회에서 자기 목소리를 내는 것은 당연한 권리지만, 폭력은 권리가 아니다. 상대 진영을 비방하지 말아달라”고 했다.

A씨는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대표가 모두 국민 통합 메시지를 내야한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월 탄핵심판 4차 변론기일에 출석한 모습. 뉴스1
A씨는 탄핵 정국 동안 정치인 태도에 실망했다고 한다. 국민 통합보다는 갈등과 분열을 유도했다는 것이다. A씨는 “너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윤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모두 헌재 결정 승복과 함께 국민 통합의 메시지를 내야 한다”며 “체제 전쟁을 부추기는 정치인이 있는데 이제는 국민 통합으로 혼란을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A씨는 이어 “당시 헌재 일대에 응급차가 부족했고 시위대에 가로막혀 이송이 늦기도 했다”며 “또다시 이런 과오가 반복되면 안 된다. 시위대 모두가 무사 귀가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안전과 관련해 적극적인 조치를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67 고환율에 눌린 산업계… 대·중소기업 모두가 된시름 랭크뉴스 2025.04.11
46766 "어머니, 식사는 잡쉈어?"…고속도로 갓길 걷던 할머니에 비번 경찰이 건넨 말 랭크뉴스 2025.04.11
46765 백악관 “中에 매기는 총 관세는 125%아닌 145%” 랭크뉴스 2025.04.11
46764 쿠바 이어… ‘北 혈맹’ 시리아와 수교 랭크뉴스 2025.04.11
46763 백악관 “대중 관세 125% 아닌 145%”…강대강 치닫는 미·중 갈등 랭크뉴스 2025.04.11
46762 헌재 "나이 많다고 국가유공자 유족 보상금 우선권 주는 건 차별" 랭크뉴스 2025.04.11
46761 [사설] 최저한세에 효과 한계 K칩스법, 기업 손발 묶고 투자 바라나 랭크뉴스 2025.04.11
46760 허위보고·비전문성…“무능 공무원들이 실패 불렀다” 랭크뉴스 2025.04.11
46759 “제 사진 좀 지워주세요…” 작년 1만명 디지털 성범죄 공포 랭크뉴스 2025.04.11
46758 ‘한덕수 재판관 지명’ 헌법소원 주심은 마은혁 랭크뉴스 2025.04.11
46757 "'尹과 술친구' 자랑한 그 의원, 한동안 찍혀 죽어 지냈다" [尹의 1060일⑤] 랭크뉴스 2025.04.11
46756 美 3월 CPI 상승률 2.4%…4년 최저치에 트럼프 “물가 내려갔다” 랭크뉴스 2025.04.11
46755 [속보] 백악관 "중국에 대한 합계 관세 125%가 아닌 145%" 랭크뉴스 2025.04.11
46754 백악관 "15개국 이상서 관세협상 제안…마무리 단계 많아"(종합) 랭크뉴스 2025.04.11
46753 투·개표 시연장 나타난 부정선거론자들 “CCTV 어떻게 믿나"···선관위 “007 영화 아냐” 랭크뉴스 2025.04.11
46752 고3 남학생, 수업 중 ‘휴대전화 게임’ 지적하자 여성교사에 주먹질 랭크뉴스 2025.04.11
46751 주한미군사령관 “한미, 전투태세 진전… 입지적 우위 구축했다” 랭크뉴스 2025.04.11
46750 [단독] “제2 팬데믹 우려”…조류 인플루엔자, 10년 전 백신으로? 랭크뉴스 2025.04.11
46749 민주당 “한덕수, 헛된 대통령 꿈 깨라”…국민의힘 “이재명 대통령 되면 독재 완성” 랭크뉴스 2025.04.11
46748 71년간 한국서 사목…프랑스 출신 두봉 주교 선종 랭크뉴스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