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설] 위대한 승복

랭크뉴스 2025.04.04 05:20 조회 수 : 0

윗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 앉은 정계선, 문형배, 정형식, 김복형, 조한창, 정정미 헌법재판관, 윤석열 대통령, 이미선, 김형두 헌법재판관. 연합뉴스
오늘 대한민국 역사의 한 장이 넘어간다. 국회의 탄핵소추 이후 111일 만에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의 운명을 결정한다. 그동안 나라는 중심을 잃고 흔들렸다. 경제는 곤두박질쳐 서민의 삶에 그늘이 짙어졌다. 오늘은 국가적 위기를 끝내는 날이자 정치·사회적 혼란에 종지부를 찍는 날이어야 한다.

민심의 갈등이 전례 없이 심각하다. 2017년 3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때보다 찬반 대립이 더 극심해졌다. 이미 서울서부지법 난동 사태를 겪었지만, 선고를 앞두고 헌법재판관 등에 대한 테러 위협이 난무하는 실정이다. 헌재 결론에 대한 불복이 과격해지면 선고 당일 4명이 숨졌던 8년 전보다 더 큰 충돌과 피해까지 우려된다.

우리 정치는 8년 전 사상 초유의 대통령 탄핵에서도 교훈을 얻지 못했다. 제왕적 대통령의 무소불위 권한을 줄이는 개헌이나 권력구조 개편을 이뤄내지 못했다. 진보·보수 정권이 교차했지만 정치 보복과 진영 대립은 격화했다. 선거에서 ‘상대 진영’을 누를 수만 있다면 ‘우리 진영’의 후보를 무조건 지지한 결과가 오늘이다.

국민을 편 가르며 적대적으로 공생해 온 정치권은 여전히 국민을 패배의 길로 내몰려 한다. 비상계엄으로 국정 공백과 분열을 초래한 윤 대통령은 승복 의사를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줄탄핵을 강행했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도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헌재 선고 이후 분열을 부추겨 정치적 이득을 취하려 드는 세력이 있다면 바로 그들이 민주사회의 주적(主敵)이다.

한국 민주주의는 국민이 흘린 피로 일군 성과였다. 그래서 이 혼란의 끝도 국민이 선언해야 한다. 그 방법은 바로 승복이다. 헌재의 판결은 단심제(單審制)다. 뒤집을 수 없는 최종 결정이다. 누구에게도 면제되지 않고,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적용되는 ‘법의 지배(rule of laws)’가 법치다. 헌재의 결론을 수용해야 하는 이유는 반드시 그 결론이 완전무결해서가 아니다.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해 합의한 약속이기 때문이다.

탄핵 찬반 세력은 그동안 충분히 의견을 주장했다. 모두 나라를 위하는 심정이었으리라 믿는다. 경제 발전과 민주주의를 동시에 달성하는 ‘기적의 여정’에도 함께했을 것이다. 탄핵심판 이후 불복으로 인한 혼란과 파멸을 택할 것인가, 아니면 국민의 ‘위대한 승복’으로 통합을 향해 다시 일어설 것인가. 오늘 우리의 선택에 달렸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19 내란 우두머리 혐의 ‘피고인 윤석열’ 14일 첫 형사 법정 선다 랭크뉴스 2025.04.05
44018 尹 파면 이유 명료했다 "헌법 수호 책무 저버리고, 국민 신임 배반" 랭크뉴스 2025.04.05
44017 한 대행 “대통령 탄핵 무겁게 생각…차기 대선 관리 최선” 랭크뉴스 2025.04.05
44016 글로벌 증시 패닉에 금값도 3% 급락…"금 매도해 마진콜 대응" 랭크뉴스 2025.04.05
44015 "명문대요? 11억 내시고 절 믿으셔야 합니다"…'미국판 스카이캐슬'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05
44014 [속보] 美다우지수 장중 2,000포인트 급락…낙폭 5%대로 확대 랭크뉴스 2025.04.05
44013 광장 지킨 시민 10명 목소리 “계엄 공포 다시는 없어야…평등하고 정의로운 세상으로” 랭크뉴스 2025.04.05
44012 “윤, 위법 행위 용납될 수 없다”…재판관 8명 모두 같은 결론 랭크뉴스 2025.04.05
44011 ‘장미 대선’ 6월3일 가닥…60일 ‘초단기 레이스’ 스타트 랭크뉴스 2025.04.05
44010 파월 “관세로 물가상승·성장둔화 가능성 커져”…트럼프는 “파월, 금리 내려라” 랭크뉴스 2025.04.05
44009 계엄 선포·포고령·국회 방해 등 5대 쟁점 모두 “위헌성 중대” 랭크뉴스 2025.04.05
44008 트럼프 "틱톡금지법 시행 75일 추가 유예…中과 협력 희망" 랭크뉴스 2025.04.05
44007 한국에 16년 살면서 가정까지 꾸린 외국인, '귀화 불허'…이유는? 랭크뉴스 2025.04.05
44006 6월 3일 ‘장미 대선’ 유력…60일 초단기 레이스 시작됐다 랭크뉴스 2025.04.05
44005 트럼프 "정치 말고 금리 내려라"…파월 "관세로 인플레·침체 우려" 랭크뉴스 2025.04.05
44004 계엄→탄핵→구속→석방→파면…정의, 험난한 길 완주했다 랭크뉴스 2025.04.05
44003 美·中 무역전쟁 격화에 빅테크 주가 이틀째 급락…테슬라 9%↓ 랭크뉴스 2025.04.05
44002 WSJ "관세정책, 대부분 침체로 이어져…드물지만 한국은 성공" 랭크뉴스 2025.04.05
44001 파월 "트럼프 관세, 예상보다 높아…인플레 영향 더 지속될 수도" 랭크뉴스 2025.04.05
44000 "귀찮으니까 '이것' 하수구에 버려야지"…한 시민이 부른 '황당 사고'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