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종로구 한 쪽방촌에 수증기로 더위를 식혀주는 ‘쿨링포그’가 나오고 있다. 한수빈 기자


“여기서 죽어나갈까봐 그게 제일 무서워요.”

벌써 3년째 창문도 없는 고시원에서 홀로 살고 있다는 A씨(67)가 말했다. 기초생활수급자인 그는 기약없는 기다림을 이어가고 있었다. A씨는 지난해 9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주거 취약계층에게 제공하는 매입임대주택 입주를 신청했다. 올해 1월에서야 대기번호 154번을 받았다. 대기번호 5번은 입주하는 데 통상 2년이 걸린다고 했다. 앞으로 60년도 넘게 기다려야 한다는 소리다. 그는 통화에서 “뉴스에선 맨날 매입임대 늘린다고 하는데, 나와는 거리가 먼 얘기”라고 하소연 했다.

윤석열 정부 3년간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을 위한 매입임대물량과 공급 모두 40%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취약계층 물량이 전체의 10% 이하로 급감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주거복지 제도인 매입임대주택을 건설경기 부양책·주택 공급용으로만 활용하며 취약계층을 소외시켰다고 지적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3일 LH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LH가 매입한 기축·신축 임대주택 총 3만8886호 중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일반’ 물량은 전체의 9.6%인 3738호에 그쳤다. LH 매입임대주택의 유형은 일반, 청년, 기숙사형, 신혼·신생아Ⅰ·Ⅱ, 다자녀, 고령자, 든든전세 등으로 나뉜다.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한부모 가족 등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유형이 바로 ‘일반’이다.

2021년 매입 임대 물량은 2만4162호에서 지난해 3만8886호로 60.9% 늘었으나 취약계층 대상 물량은 2021년 6572호에서 지난해 3738호로 3년 사이 43.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에서 취약계층 대상 물량은 2021년 27.2%에서 2022년 28%, 2023년 24.7%, 지난해 9.6%로 뚝 떨어졌다. 지난해 LH는 4만호에 가까운 임대주택을 공격적으로 사들였지만, 정작 살 곳이 절실한 주거 취약계층에게는 혜택이 덜 돌아간 것이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5일 서울 은평구 신축매입임대 주택공급 현장을 방문해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 등과 함께 공사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해당 현장에서 지어지는 신축매입임대는 신혼 Ⅱ 유형으로 공급되며 오피스텔 12호, 아파트 50호로 건축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임대주택 매입뿐 아니라 실제 공급 단계에서도 취약계층이 소외되는 건 윤 정부 내내 심화했다. LH의 매입임대주택 공급 추이를 보면, 취약계층을 위한 일반 공급은 2021년 1만1886호에서 2022년 1만897호, 2023년 7838호, 지난해 7059호까지 떨어졌다. 불과 3년 사이 40.6% 급감한 것이다. 이 기간 전체 매입임대주택 공급량도 2만8291호에서 2만1719호로 23.2%로 줄었지만, 취약계층 공급이 더 가파르게 줄었다. 취약계층의 매입임대주택 입주가 점점 더 ‘하늘의 별 따기’가 된 것이다.

이를 두고 정부가 매입임대 제도를 주거 복지용이 아니라 건설 경기 부양책, 주택 공급용으로 활용하기 때문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이원호 빈곤사회연대 집행위원장은 “정부가 신축 오피스텔 등을 중심으로 임대주택을 매입하다보니 도심의 주거 취약계층 보호라는 원래 취지는 약해지고, 신혼부부·청년 또는 전세형 임대주택 위주로 공급이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2021년 LH가 사들인 매입임대주택 유형 중 신혼·신생아Ⅰ·Ⅱ, 청년, 전세형 유형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물량의 70.8%였는데 지난해에는 87.9%까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LH는 사회초년생에 집중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LH 관계자는 “지난해 청년·신혼부부의 주거안정을 위한 주택을 적극 매입하다보니, 일반유형 매입호수가 감소했다”면서도 “다만 청년 유형의 경우 50%는 수급자 등 취약계층이 우선 입주한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49 민주당 “한덕수, 헛된 대통령 꿈 깨라”…국민의힘 “이재명 대통령 되면 독재 완성” 랭크뉴스 2025.04.11
46748 71년간 한국서 사목…프랑스 출신 두봉 주교 선종 랭크뉴스 2025.04.11
46747 “학창 시절 5·18유공자 이완규, 현재는 윤 정권 협력”···오월 단체 ‘지명 철회’ 요구 랭크뉴스 2025.04.10
46746 구글 지도 안내 헷갈려… 미완성 고속도로서 추락 랭크뉴스 2025.04.10
46745 71년간 가난한 한국 농민의 희망돼 준 성자…두봉 주교 선종 랭크뉴스 2025.04.10
46744 美인태사령관 "주한미군 없으면 북한 남침 가능성 높아져" 랭크뉴스 2025.04.10
46743 고3이 폰으로 교사 얼굴 '퍽'…교실서 무슨 일이? 랭크뉴스 2025.04.10
46742 71년간 한국서 사목…佛 출신 두봉 주교 선종 랭크뉴스 2025.04.10
46741 윤, 11일 오후 5시 관저 퇴거…수석급 참모들 배웅할 듯 랭크뉴스 2025.04.10
46740 檢, 이재명 '선거법 위반' 상고이유서 제출…대법 곧 본격 심리 랭크뉴스 2025.04.10
46739 한동훈, 한덕수 차출론에 “대행 역할 고맙게 생각…선택 존중” 랭크뉴스 2025.04.10
46738 [단독] 한민고에서 반복되는 교사들의 성범죄‥학교는 피해 학생 탓 랭크뉴스 2025.04.10
46737 미국 3월 소비자물가 2.4%↑ 전망치 밑돌아…‘관세 전쟁’ 고삐 죌 수도 랭크뉴스 2025.04.10
46736 美백악관 “15개국과 관세 협상 중…마무리 단계인 곳도” 랭크뉴스 2025.04.10
46735 "경찰이 이러면 안 되는 것 아니냐"…피의자 호송 중 성추행한 현직 경찰관 '파면' 랭크뉴스 2025.04.10
46734 "당장 방 빼" vs "윤 어게인"'…한남관저 앞 퇴거전야 맞불집회(종합) 랭크뉴스 2025.04.10
46733 백악관 "관세협상 15개국 이상 제안…결승선 가까워진 곳 많다" 랭크뉴스 2025.04.10
46732 [단독] "김성훈 경호처 사조직화" 연판장 전문 공개... 중간 간부도 70% 동참 랭크뉴스 2025.04.10
46731 130명중 100명이 반수…몰락하는 '지방 로스쿨' 랭크뉴스 2025.04.10
46730 '정치 투쟁' 일삼는 고위 공직자, 이진숙은 뭘 노리나 랭크뉴스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