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3일(현지시간) 한국에 부과하기로 한 상호관세율을 하루만에 25%로 되돌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전세계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를 직접 발표하고 있다. 한국에 대한 관세율은 25%이다. 로이터=연합뉴스

한국에 대한 관세율은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직접 발표한 자료에 25%로 돼 있었다. 그러나 당일 당일 백악관이 공개한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26%로 표기되면서 혼선이 일었고, 백악관은 “행정명령 부속서에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는 다음날인 이날 부속서의 내용을 26%로 재수정했다.

중앙일보는 이날 양국의 무역 규칙에 해당하는 관세율이 하루만에 수정과 재수정을 거친 이유에 대해 문의했지만, 백악관은 뚜렷한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

백악관은 3일(현지시간)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25%로 확정했다. 백악관은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관세율이 25%라고 했음에도 행정명령 부속서에 이를 26%(좌측)이라고 기재했다가, 하루만에 관세율을 25%(우측)으로 수정했다. 행정명령 부속서 캡쳐
다만 한국 정부는 전날 한국에 대한 관세율이 25%에서 26%로 수정된 이후 부속서의 관세율을 원래대로 25%로 수정하기 위한 협의를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백악관이 무역에서 극도로 민감한 사안인 관세율을 하루만에 ‘25%→26%→25%’로 두차례나 변경한 것을 계기로 백악관의 이번 상호관세 결정에 대한 신뢰도와 관련한 논란과 반발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미국이 상호관세율 책정의 근거로 삼았던 상대국의 대미 관세율이 자의적인 기준으로 계산됐다는 비판이 거세진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다음날인 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의 한 트레이더가 폭락하고 있는 주가 지수를 심각한 표정으로 바라보고 있다. EPA=연합뉴스

백악관은 당초 상대국의 관세·비관세 장벽에 따라 미국이 적용받는 관세를 측정하고, 그 절반 수준을 상대국에 물린다고 밝혔다. 하지만 실제론 백악관이 제시한 대미 관세율은 해당 국가와의 교역에서 발생한 무역적자액을 해당국에서 수입하는 금액으로 단순히 나눈 수치였다.

한국은 2007년 발효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미국의 공산품에 0% 관세를 부과하고 있음에도 미국은 한국의 대미 관세율이 50%라고 주장했다. 미국이 제시한 50% 관세율의 근거도 해당 단순 계산식과 맞아떨어진다.

미 인구조사국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의 대한국 수입액은 1315억 달러다. 수출액은 655억 달러로, 660억 달러의 상품 무역수지(수출액-수입액) 적자를 기록했다. 상품수지 적자(660억 달러)를 수입액(1315억 달러)으로 나누면 50.2%가 나온다. 한국이 미국에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은 이런 계산으로 나왔다. 50.2%를 절반으로 나눈 뒤 소수점을 올림 하면 상호관세율(26%→25%)과 일치한다.

일본(24%)·중국(34%)·인도(27%)·베트남(46%) 등도 동일한 계산법이 적용된다. 다만 미국이 상품수지 흑자를 봤거나 적자 규모가 크지 않은 국가엔 10%의 기본 관세를 일괄 적용했다.

상호관세 부과 대상국엔 미국과의 교역이 거의 없는 나라까지 포함됐다. 가장 높은 세율을 적용한 곳은 남아프리카의 소국 레소토와, 인구가 1만 명도 되지 않는 캐나다 동부 해안의 프랑스령 섬인 생피에르 미클롱으로 관세가 50%에 달한다.

정근영 디자이너
무인도인 ‘허드 맥도널드 제도’(10%)도 포함됐다. 남극 대륙에서 약 1700㎞ 떨어진 섬으로, 펭귄·물개·바다표범 등만 서식하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이다. 이 외에도 투발루, 바베이도스, 토켈라우 등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섬나라가 대거 관세 부과 국가에 이름을 올렸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661 [속보] 尹대통령 파면…헌재 전원일치 결정 [전문] 랭크뉴스 2025.04.04
43660 [속보] 헌재 "재판관 전원일치 윤석열 파면" 랭크뉴스 2025.04.04
43659 [속보] 윤석열 파면…헌재, 전원일치 탄핵 인용 랭크뉴스 2025.04.04
43658 [속보] 尹대통령, 오전 11시 22분 기점으로 대통령직 상실 랭크뉴스 2025.04.04
43657 [2보] 헌재, 재판관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 랭크뉴스 2025.04.04
43656 [속보] 尹대통령 파면…헌재 전원일치 결정 랭크뉴스 2025.04.04
43655 윤갑근 "거대야당·종북좌파 때문에 비상대권 발동" 랭크뉴스 2025.04.04
43654 [속보] 헌재 "부정선거 의혹만으로 위기상황 발생했다 볼 수 없다" [尹탄핵심판 LIVE] 랭크뉴스 2025.04.04
43653 [속보] 헌재 “비상계엄 당시 계엄선포 심의 이뤄졌다 보기 어려워” 랭크뉴스 2025.04.04
43652 [속보] 헌재, 여인형·홍장원 “정치인 체포 목적” 사실로 인정 랭크뉴스 2025.04.04
43651 [속보] 헌재 "12·3 비상계엄, 헌법·계엄법상 선포 요건 위반" 랭크뉴스 2025.04.04
43650 [속보] 헌재 "비상계엄 선포 실체적 요건 위반" 랭크뉴스 2025.04.04
43649 [속보] 헌재 “당시 국회 상황, 국가긴급권 행사 정당화할 수 없어” 랭크뉴스 2025.04.04
43648 [속보] 헌재 "계엄선포는 사법심사 대상…헌법·법률 위반 심사 가능" 랭크뉴스 2025.04.04
43647 정청래 "윤석열, 헌법에 따라 8:0 만장일치로 파면돼야" 랭크뉴스 2025.04.04
43646 [속보] 헌법재판관 대심판정 입장…윤석열 탄핵심판 선고 시작 랭크뉴스 2025.04.04
43645 '8대 0' 단언한 野... "선고 불출석하는 尹, 파면 예감한 것" 랭크뉴스 2025.04.04
43644 밤새워 기다린 ‘윤석열 파면의 날’, 아침을 거리에서 맞이하는 사람들[현장 화보] 랭크뉴스 2025.04.04
43643 ‘선고 임박’ 헌재 인근 초긴장…방독면·저주인형까지 등장 랭크뉴스 2025.04.04
43642 尹측 윤갑근 "계엄은 대통령 헌법상 권한…현명한 판단 기대"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