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최대한, 영혼까지 끌어 받아 집을 사는 걸, 일명 '영끌'이라고 하죠.

그런데 기업들도 이 '영끌'로 부동산 부문에 집중하고 있단 한국은행의 경고가 나왔습니다.

기술 혁신 등 부가가치 창출이 위축될 수 있단 우려가 나옵니다.

황현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자부품 업체가 가득했던 서울 세운 5구역.

이곳을 주상 복합단지로 재개발하기로 합니다.

이 계획이 수립된 건 2009년.

사업비로 3,800억 원을 대출받았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첫 삽을 못 떴습니다.

[한대식/세운 5구역 상인 : "딜레이(지연)되고 딜레이(지연)되고. 건설회사가 금융기관에 돈을 받아서 이렇게 하는 사업들이다 보니까. 답답한 게 시행사겠죠."]

이런 대규모 건설 사업뿐 아니라, 다른 기업들도 부동산 관련 대출로 거액이 묶이는 현상이 갈수록 심해진다는 게 한국은행 진단입니다.

부동산 관련 대출은 총 2,681조 원.

최근 5년간 연평균 7.8%씩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2.3%씩 성장한 GDP의 3배가 넘습니다.

기업이 대출금을 부동산에 쓰느냐, 생산 활동에 쓰느냐는 차이가 큽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생산 시설에 쓰면 상품 개발, 기술 혁신 등 전반에서 부가가치가 장기간 창출되지만, 부동산 건설에 쓰면 시공 기간의 고용 유발 정도가 전부라는 게 한국은행 설명입니다.

같은 자본이 만들어내는 생산성을 봐도, 부동산업은 전자부품은 말할 것도 없고 도소매, 숙박·음식업보다도 한참 낮습니다.

[최용훈/한국은행 금융시장국장 : "부동산 부문에 금융 자원이 집중되면 제조업 등에 신용 공급이 둔화가 됩니다.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더 떨어진다고."]

부동산 대출은 담보가 확실해 은행들도 선호합니다.

따라서 은행이 부동산보다 생산 활동에 대출을 늘릴 때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한국은행은 제안했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신동곤 지선호/영상편집:김근환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898 조두순, 하교 시간대 재차 거주지 무단이탈…수 분 만에 귀가 랭크뉴스 2025.04.04
43897 中, 美수입품에 34% '보복 관세' 추가…美군수기업 16곳도 제재 랭크뉴스 2025.04.04
43896 尹 파면에 잠룡株 줄줄이 '상한가'…다시 돌아온 정치 테마주의 시간 [마켓시그널] 랭크뉴스 2025.04.04
43895 불소추특권 사라진 尹… 월 1533만원 연금 자격도 상실 랭크뉴스 2025.04.04
43894 中, 상호관세 보복 나섰다… “美 모든 수입품에 34% 관세 추가” 랭크뉴스 2025.04.04
43893 中, 상호관세 보복 나섰다…“美 모든 수입품에 34% 관세 추가” 랭크뉴스 2025.04.04
43892 중앙선관위 진입 판단은? 랭크뉴스 2025.04.04
43891 “끌어내라” 尹 지시, 정치인 체포 관여 사실로 판단 랭크뉴스 2025.04.04
43890 부정선거 매달린 尹 주장에… “계엄 정당화 안된다” 지적 랭크뉴스 2025.04.04
43889 울분·격앙 뒤 뿔뿔이 흩어진 '반탄파'… '만장일치 파면'에 맥 빠졌나 랭크뉴스 2025.04.04
43888 [단독] 김성훈 "尹 현충원 들렀다 오면 도열" 경호처에 지시... 기각 확신했나 랭크뉴스 2025.04.04
43887 尹 파면에 김용현 또 옥중서신 "다시 尹! 다시 대통령!…더 힘차게 싸우자" 랭크뉴스 2025.04.04
43886 [속보] 중국 “10일부터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34% 관세” 랭크뉴스 2025.04.04
43885 윤석열, 국힘 지도부 만나 “난 떠나지만...대선 꼭 승리하길” 랭크뉴스 2025.04.04
43884 [속보] 중국, 미국산 제품에 34% 추가 관세.. 트럼프 상호관세 후 첫 보복 랭크뉴스 2025.04.04
43883 경찰, 전국 ‘갑호비상’ 오후 6시에 해제… 서울은 ‘을호비상’ 유지 랭크뉴스 2025.04.04
43882 찬탄·반탄 희비 엇갈렸지만… 우려했던 큰 사고는 없었다 랭크뉴스 2025.04.04
43881 尹보다 곽종근·홍장원 믿은 이유…“우연치곤 진술 디테일이”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4
43880 “이제야 봄” 이승환·이동욱 ‘환영’…김흥국 등은 “국민 무시”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04
43879 [尹파면] EU "韓헌법 존중…전략적 파트너십 재확인"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