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닌텐도 스위치2, 美 출시가 약 66만원
닌텐도 주요 물량 중국·베트남서 생산
“기업 아닌 소비자에게 부담 전가”

일러스트=챗GPT

닌텐도가 8년 만에 선보이는 차세대 콘솔 ‘닌텐도 스위치2’가 미국에서 ‘가격인상 폭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작 스위치가 누적 판매량 4660만대(2024년 12월 기준)를 기록하며 미국에서만 역대 두 번째로 많이 팔린 게임기로 자리매김한 만큼, 후속작에 대한 기대가 큰 상황에서 관세 문제가 복병으로 떠올랐다.

“최악의 경우 100만원 육박할 것”
닌텐도는 2일(현지시간) 온라인 쇼케이스 ‘닌텐도 다이렉트’를 열고 스위치2의 출시 일정을 공개했다. 출시일은 오는 6월 5일이며, 미국 가격은 449.99달러(약 66만원)로 책정됐다.

그러나 같은 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을 비롯해 주요 교역 상대국에 대해 전면적인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 세계 최대 게임 시장이자 콘솔 구매가 많은 미국에서 닌텐도 스위치2의 가격이 인상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일본과 중국에는 각각 24%, 34%, 베트남·캄보디아에는 각각 46%, 49%의 관세가 적용된다. 이 조치가 그대로 시행될 경우 닌텐도가 주요 물량을 생산하는 중국과 베트남 모두 직격탄을 맞게 된다.

미국 게이머들 사이에서는 “최악의 경우 스위치2 가격이 100만원에 육박할 수 있다”라는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 등에는 “출시 직후 구매하지 않으면 가격이 더 치솟을 것” “해외 기업을 때린다지만 결국 미국 게이머들의 지갑만 터진다” 같은 반응이 잇따르고 있다. 일부 이용자는 “문화적 대량 학살이나 다름없다”라는 등 과격한 표현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닌텐도 스위치2는 기존 대비 한층 향상된 그래픽 성능과 4K TV 출력, 7.9인치로 확장된 화면 크기로 업그레이드됐다. 전용 컨트롤러 ‘조이콘’을 자석으로 탈·부착하는 새로운 방식을 채택해 편의성을 높였고, 여러 명이 동시에 음성·영상 채팅을 할 수 있는 ‘게임챗’ 기능도 새롭게 도입했다. 독점 타이틀인 ‘마리오 카트 월드’를 비롯해 기존 인기작 ‘젤다의 전설’ 시리즈도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전 세계적으로 가격 인상 가능성”
하지만 세계 최대 게임 시장 중 하나인 미국에서 관세 부담이 커질 경우, 판매량이 상당 부분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후루카와 슌타로 닌텐도 CEO는 지난 2월 실적 발표 당시 “미국의 관세 정책이 닌텐도의 경영 환경에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김태황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콘솔 기기는 소비재이기 때문에, 미국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올리면 기업이 아닌 소비자에게 부담이 전가된다”며 “생산 설비를 옮기는 것이 수월하다면 모르겠지만,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에 대한 관세도 만만치 않고 투자 비용을 고려하면 비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에서 기기 가격이 오르면 전 세계적으로 가격이 다 인상될 가능성이 크다. 업체 대응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이용자들의 소비 심리가 주춤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가격 인상이 실제 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시각도 있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콘솔 기기는 내구재 성격이 강해, 가격이 올라가는 속도보다 수요가 떨어지는 속도가 더 빠를 것으로 본다”며 “이미 게임기를 가진 사람들은 새 모델을 굳이 살 이유가 작다. 지금 당장 가격이 올라도 이는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883 경찰, 전국 ‘갑호비상’ 오후 6시에 해제… 서울은 ‘을호비상’ 유지 랭크뉴스 2025.04.04
43882 찬탄·반탄 희비 엇갈렸지만… 우려했던 큰 사고는 없었다 랭크뉴스 2025.04.04
43881 尹보다 곽종근·홍장원 믿은 이유…“우연치곤 진술 디테일이”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4
43880 “이제야 봄” 이승환·이동욱 ‘환영’…김흥국 등은 “국민 무시”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04
43879 [尹파면] EU "韓헌법 존중…전략적 파트너십 재확인" 랭크뉴스 2025.04.04
43878 [사설] 헌재 결정 승복으로… ‘통합의 길’로 나아갈 때 랭크뉴스 2025.04.04
43877 "재출마하면 된다"... 尹 파면에 극우 커뮤니티 무리한 주장 랭크뉴스 2025.04.04
43876 [속보] EU, 尹파면에 "韓헌법 존중…전략적 파트너십 재확인" 랭크뉴스 2025.04.04
43875 “아이유 ‘탄핵 집회 선결제’는 혜안” 여연갤 성명문…팬덤 사칭 논란도 랭크뉴스 2025.04.04
43874 [단독] “대선 꼭 승리”…윤석열 파면 직후 국힘 지도부 관저서 만나 랭크뉴스 2025.04.04
43873 “의원 끌어내라” 지시와 정치인 체포 관여 사실로 판단 랭크뉴스 2025.04.04
43872 “국민 기본권 광범위하게 침해” 5가지 탄핵사유 모두 인정 랭크뉴스 2025.04.04
43871 ‘이재명 테마주’ 타고 뛴 동신건설… 오너가는 지분 매도로 차익 랭크뉴스 2025.04.04
43870 '헌법 유린' 만장일치로 심판‥'봉황기' 내려졌다 랭크뉴스 2025.04.04
43869 8년 전과 달랐다…선고일 사상자 '0명' [尹대통령 파면] 랭크뉴스 2025.04.04
43868 헌재 "일방의 책임 아냐, 정치의 문제"…국회·야당도 꾸짖었다 [尹대통령 파면] 랭크뉴스 2025.04.04
43867 경쟁률 4800:1, 방청객들이 꼽은 문형배의 한 마디는?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04
43866 탄핵의 날, 정치와 일상이 나란히 놓인 광화문에서 (인턴기자가 현장에서 본 풍경) 랭크뉴스 2025.04.04
43865 "준비 잘해 대선 꼭 승리해야"…탄핵 뒤 與지도부에 당부전한 尹 랭크뉴스 2025.04.04
43864 尹과 '끝장 본' 해병대들, 관저 앞서 '승리의 군가'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