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부동산 신용 집중’ 공동 정책 컨퍼런스에 참석한 (사진 왼쪽부터) 이항용 금융연구원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사진=한국은행)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등 정치적 상황이 예상보다 나빠지고 있다. 경기 부양 요구가 거세질수밖에 없지만 부동산 금융으로 인해 감소하던 가계부채가 다시 악화하는 것은 막아야 한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와 금리 인하 등이 자본 생산성이 낮은 부동산으로의 ‘자금 쏠림’ 현상을 가속화해선 안된다는 지적이 금융당국 수장들 사이에서 나왔다. 민간에 공급된 신용의 절반 이상이 부동산에 집중된 상황을 해결하지 않으면 저성장 구조가 고착화될 수 밖에 없다는 진단이다.

이 총재와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3일 한국은행과 금융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부동산 신용집중 개선을 위한 정책 컨퍼런스’에서 부동산 쏠림 현상을 주제로 대담을 진행했다. 통화·금융당국 수장들이 공식 석상에서 부동산 문제를 논의한 것은 이례적이다.

이날 한은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부동산 신용액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1932조5000억원으로 파악됐다. 전체 민간 신용의 절반(49.7%)에 달하는 규모다. 2014년부터 연평균 100조원 가량이 증가하면서 2013년 말 대비 2.3배가 증가했다. 부동산 신용은 가계의 부동산 담보대출(전세대출 포함)과 건설·부동산 관련 기업 대출(PF 대출 포함)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부동산 부문에 자금이 쏠리면서 제조업 등 고부가가치 부문에 대한 신용공급은 둔화됐다. 실제 산업별 대출 비중을 보면 성장 기여도가 높은 편인 제조업 대출 비중은 2014년 34.5%에서 2024년 24.6%로 낮아졌다. 반면 부동산업과 건설업 대출 비중은 19.7%에서 29.4%로 크게 높아졌다.

최용훈 한은 금융시장국장은 “부동산업은 다른 업종에 비해 자본생산성이 낮다”며 “부동산 부문에 신용이 집중될수록 생산성이 높은 여타 부문에 대한 신용 공급이 둔화돼 전체 자본의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떨어진다”고 짚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정부의 정책금융 확대가 부동산 쏠림을 가속화시켰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나왔다. 김 위원장은 “그동안 부동산 대책과 대출 완화가 당연하게 엮여있었던 것도 부동산 금융이 빠르게 늘어난 요인”이라며 “부동산과 금융의 역할을 서로 분리해 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소득·신혼부부 등 무주택자에게 저리로 주택구입자금을 대출해주는 정책금융이 집값을 부양시키고, 그러다보니 정책금융이 오히려 확대되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창용 총재 역시 금융위가 추진중인 ‘지분형 모기지’에 공감하면서 정책금융의 총량을 줄일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부동산 중심 금융에서 벗어나기 위한 부동산 대출 규제 강화 방안도 언급됐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주택 담보 대출 중심의 가계대출에 위험가중치가 다른 대출보다 적다”며 “국제 기준을 지키면서도 나라 사정에 맞춰 바젤3 기준을 적용하는 것을 고민해봐야 할 시점”이라고 했다. 이어 “올 상반기 건전성 관리 방안에 대해 방향성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726 월요일 일교차 15도 이상… 서울 낮 최고 20도 랭크뉴스 2025.04.06
44725 거세지는 트럼프 폭풍, 한중일 경제협력 활용해야[김광수특파원의 中心잡기] 랭크뉴스 2025.04.06
44724 우원식이 불붙인 개헌론… 민주당 내부 ‘비토론’이 관건 랭크뉴스 2025.04.06
44723 헌재 尹파면 결정문 결론 “민주공화국 주권자는 국민” 강조 랭크뉴스 2025.04.06
44722 우원식 "대선·개헌 투표 동시에 하자"…관건은 양당 지도부 동의 랭크뉴스 2025.04.06
44721 "트럼프, 나랏일 손 떼라" 美전역서 폭발…1400건 집회 열렸다 랭크뉴스 2025.04.06
44720 트럼프 관세 후폭풍… 프랑스 “美 빅테크, 데이터 규제 가능성” 랭크뉴스 2025.04.06
44719 우연히 태운 승객이 형수…유산 다툼에 동전 집어던진 택시기사 랭크뉴스 2025.04.06
44718 공장서 30대 직원 심정지 사고…공식입장 없는 아워홈 랭크뉴스 2025.04.06
44717 "이재명 대 윤석열 구도로 어떻게 대선 치르나"... 尹과 '손절' 봇물 랭크뉴스 2025.04.06
44716 봉인 풀린 수사들‥선거법 공소시효 4개월 남아 랭크뉴스 2025.04.06
44715 전광훈 주말 집회 참석자 평소 절반… 극우 세력, 동력 잃고 갈라서나 랭크뉴스 2025.04.06
44714 유시민 "국민의힘 대선후보 내지 말아야…내봐야 안될 것" 랭크뉴스 2025.04.06
44713 국회의장 “대선·개헌 국민투표 동시에 하자”···친명계 중심 반발 랭크뉴스 2025.04.06
44712 李 이르면 8일 당대표 사퇴… ‘통합형 캠프’ 꾸려 경선 출격 랭크뉴스 2025.04.06
44711 영유아 폐렴구균 백신 '13가'보다 '15가'가 더 좋을까 [안경진의 약이야기] 랭크뉴스 2025.04.06
44710 홍준표 “패전 처리 투수 아닌 대한민국 구원투수 되겠다” 랭크뉴스 2025.04.06
44709 천안시 경부고속도로에서 대형버스 4대 추돌…3명 다쳐 랭크뉴스 2025.04.06
44708 진화헬기 추락 목격자 "꼬리 날개, 비닐하우스 천에 걸려"(종합) 랭크뉴스 2025.04.06
44707 '불소추' 방패 사라진 尹… 경찰, 체포영장 집행 방해 직접 조사하나 랭크뉴스 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