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탄핵심판 111일 숙고 끝에 결론
극단 대립 대한민국 중대 분기점
尹, 4일 헌재 선고 불출석하기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일정인 ‘4월 4일 오전 11시’와 사건번호 ‘2024헌나8’이 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 전자게시판에 표시돼 있다. 헌법재판관 8인의 결정으로 윤 대통령 파면 또는 즉각 직무 복귀 여부가 정해진다. 권현구 기자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는 윤 대통령 개인의 정치적 운명뿐만 아니라 우리 공동체가 나아갈 방향을 결정지을 중대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헌재는 4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에 이어 8년 만에 다시 한국사회의 미래를 좌우할 결정을 내려야 한다. 무엇보다 헌재 선고를 기점으로 극심했던 분열과 갈등을 종식하고 승복과 치유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헌법재판관 8명은 4일 오전 11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접수 111일 만에 숙고의 결과물을 내놓는다.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이 결정문 주문을 읽으면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의 파면 또는 직무 복귀가 즉시 결정된다. 8차례 변론에 출석해 비상계엄의 정당성을 강변했던 윤 대통령은 선고 당일 불출석한다.

지난해 12월 3일 오후 10시29분 비상계엄 선포 후 공수부대 등 군인들이 국회로 투입되는 모습이 생중계되면서 하루를 마무리하던 시민들은 큰 충격을 받았다. 한국에서 계엄이 선포된 것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서거했던 1979년 10월 26일 이후 45년 만이었고, 1987년 민주화 이후 처음이었다. 국회는 12월 14일 윤 대통령을 탄핵소추했다. 현직 대통령이 다시 탄핵심판대에 서는 불행한 역사가 반복된 것이다.

탄핵심판 심리가 진행된 약 4개월간 한국사회는 사실상 내전에 가까운 극단의 대립 구도에 휘말렸다. 국정농단 사태 당시 침묵했던 박 전 대통령과 달리 윤 대통령은 전면에 나서서 입장을 강변했고 지지를 호소했다. 관저 앞에 모인 지지자들에게 “여러분과 함께 끝까지 싸우겠다”고 했고, 지난 1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체포 직전에는 “법이 모두 무너졌다”는 담화를 냈다. 나흘 뒤인 19일 구속영장이 발부되자 윤 대통령 지지자들에 의한 ‘서울서부지법 폭동 사태’가 벌어졌다.

극단의 갈등 속에 헌법재판관들을 향해 사건 심리와는 무관한 인신공격도 이어졌다. 재판관의 과거 이력 및 성향 등과 관련한 정치권의 공세도 계속됐다.

윤 대통령 측은 지난 1월 변론준비기일 때부터 이번 탄핵심판을 정권 교체 세력과 유지 세력 사이 승패가 갈리는 ‘진영전쟁’으로 규정했다. 하지만 탄핵심판은 어느 한쪽 손을 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헌법 수호의 관점에서 피청구인의 행위를 용납할 수 있는지 가리는 절차다.

헌법재판연구원장을 지낸 이헌환 아주대 로스쿨 교수는 “재판관들이 우리 사회의 미래, 우리 공동체를 위해 어떤 결정이 유리할지를 따져 헌정질서를 조기에 회복할 수 있는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헌법재판은 단심제다. 결정에 불복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헌재 결정이 4개월여 혼란을 종식시키는 마침표가 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손봉호 서울대 명예교수는 “헌재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든지 극단으로 치닫기보다는 절제하고 받아들여야 한다”며 “그게 곧 민주화 이후 우리가 만든 체제를 존중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532 주먹구구식 관세…美, 韓 상호관세율 결국 26%→25% 재조정 랭크뉴스 2025.04.04
43531 [속보] 트럼프 "반도체 관세 아주 곧 시작될 것" 랭크뉴스 2025.04.04
43530 헌재의 주사위 던져졌다…尹, 복귀냐 파면이냐 랭크뉴스 2025.04.04
43529 주왕산 덮친 불길 막아 세웠다…'최후 방어선' 뒤엔 이 나무 랭크뉴스 2025.04.04
43528 美서 애플 아이폰 333만원?…"트럼프 관세 시행되면 현실될수도" 랭크뉴스 2025.04.04
43527 "쌤, 대통령이 잘려요?" 학교서 탄핵심판 생중계··· 교사들 "필요하지만 고민 많아" 랭크뉴스 2025.04.04
43526 관저서 '운명의 날' 맞은 尹…긴장감 감도는 용산 대통령실 랭크뉴스 2025.04.04
43525 111일 간의 장고…헌재 尹 탄핵 오늘 결정한다 랭크뉴스 2025.04.04
43524 [단독]"열사? 투사? 폭력 절대 안돼" 朴파면날 숨진 시위자 유족 랭크뉴스 2025.04.04
43523 [사설] 위대한 승복 랭크뉴스 2025.04.04
43522 [단독]LH 매입임대주택 늘린다더니 취약계층 물량은 10%도 안돼 랭크뉴스 2025.04.04
43521 尹 선고 뜨거운 관심... "직장 회의실 모여 스크린으로 생중계 시청할 것" 랭크뉴스 2025.04.04
43520 尹대통령 파면이냐, 복귀냐…'운명의 날' 정국 격랑 예고 랭크뉴스 2025.04.04
43519 尹대통령 정치적 운명, 오늘 헌재 판가름…11시 탄핵심판 선고 랭크뉴스 2025.04.04
43518 4개월간 고심한 尹탄핵심판…마지막 결론만 남긴 헌재 랭크뉴스 2025.04.04
43517 이재명 "계엄에 국민 1만명 학살 계획"…尹선고 전날 이런 주장 랭크뉴스 2025.04.04
43516 '세계문화유산' 하회마을 초가집 2채 지붕 불…70대 주민 부상 랭크뉴스 2025.04.04
43515 주먹구구 관세율 산정?…韓 상호관세 결국 26%→25% 재조정 랭크뉴스 2025.04.04
43514 트럼프, 증시 폭락에도 "아주 잘 되고 있어…시장 호황 누릴 것"(종합) 랭크뉴스 2025.04.04
43513 권선동 "국회, 尹 대통령 탄핵소추 변호사비로 1억1000만 원 지출"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