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고 고옥임 할머니가 딸 우효순 씨, 손주들과 찍은 사진(제공 : 우효순)

우리나라 노인들은 '웰다잉'(Well-Dying),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해 '고통 없이, 가족과 함께, 집에서 맞는 임종'이라고 답했습니다. (2023년 노인실태조사) 그러나 현실은 크게 다릅니다. 많은 노인들이 낮선 병원, 시설에서 만성질환에 시달리다 고통 속에 생을 마감합니다.

건강보험공단이 분석해 보니, 사망 장소로 가장 비율이 높은 건 의료기관(72.9%)이었습니다. 자택은 14.7%에 불과했습니다. 한국은 의료기관에서 사망하는 비율이 OECD 국가 중 1위입니다. 이 비율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초고령 사회에 접어들어 노인 인구가 빠르게 늘면서 '웰다잉'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인프라는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의료진이 방문해 임종까지 케어하는 서비스가 일부 시행되고 있지만, 수요에 비해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 엄마와 집에서 함께한 마지막…"선물 같은 시간"

우효순 씨의 어머니가 거동을 못 하게 된 건 지난해 4월입니다. 아프던 무릎이 더 안 좋아졌습니다. 유방암 수술 후 생긴 어깨 통증도 심해졌습니다.

그러나 어머니는 한사코 병원에 입원하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집에 온 의사에게는 "난 이제 90살이 넘었다. 내 형제들도 다 떠났다. 빨리 떠날 수 있게 주사가 있으면 놔달라"고 말했을 정도입니다.

어머니는 병원이 아닌 집에서 생의 마지막을 보내고 싶다고 했습니다. 우 씨는 "엄마를 사랑하는데, 그 고통의 기간을 늘려주고 싶진 않았다"고 합니다.


우 씨는 엄마의 '재택 임종'을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방 한쪽에 의료용 침대를 놓고, 누워서도 고개를 돌리면 볼 수 있는 위치에 옛날 사진 여러 장을 붙였습니다. 애지중지하던 손주와 찍은 사진, 여행지에서 딸과 찍은 사진 속에서 어머니는 환하게 웃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임종까지 엄마와 함께한 넉 달은 우 씨에게 "선물 같은 시간"이었습니다.

엄마는 그간 한 번도 말하지 않았던 속마음을 털어놨습니다. 우 씨는 "제가 엄마한테 함부로 했던 젊은 시절이 있었다. 그거 다 용서해달라고 청했더니 너는 정말 잘했다고, 오히려 엄마가 잘못한 거 있으면 용서해 달라고 해서 엉엉 울었다"고 말했습니다.

■ 통증 조절·욕창 관리…"삶의 질 높이는 게 목적"

엄마의 재택 임종이 가능했던 건 지자체와 동네 병원이 연계된 '재택의료 서비스' 덕분이었습니다.


가까운 병원에서 의사와 간호사가 집에 찾아와 '임종 케어'를 제공했습니다. 엄마의 어깨 통증을 완화하기 진통제를 처방하거나 패치를 붙여줬습니다. 욕창 부위를 소독하고, 더 나빠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방법을 알려줬습니다.

임종 케어는 완치적 치료가 아니라 임종 전 삶의 질을 높이는 걸 목표로 합니다.

엄민정 인천평화의료복지 사회적협동조합 간호사는 "제가 머리를 감겨드리고 빗질까지 해드렸더니 너무 시원하고 좋다고 표현하셨다. 자식한테는 짐이 될까 봐 요구를 안 하셨다"고 말했습니다. 또 "임종 직전에는 일주일 2, 3회 방문하면 좋은데, 횟수 제한이 있어 안타깝다"고 했습니다.

재택의료 서비스는 만족도가 높지만, 아직 시범 사업 단계로 일부 지역에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올해부터 시작된 3차 시범 사업에 참여하는 의료기관 130여 곳입니다. 재택의료 서비스가 동네 의원급 병원 위주로 가까운 지역 사회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수요를 충당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숫자입니다.

게다가 참여 병원 중 임종까지 케어하는 곳은 일부입니다. 정확한 현황은 복지부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천시 부평구에 이어, 최근 부산시가 임종 간호 등 생애 말기 돌봄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의료계에서는 낮은 수가(건강보험에서 병원에 주는 돈)로 인해, 외래 진료보다 경쟁력이 없어 참여율이 저조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 재택의료 자리 잡은 일본, '의료기관 사망 비율' 감소

우리보다 앞서 고령화를 겪은 일본은 재택의료 인프라가 대폭 확대되면서 '의료기관에서 사망하는 비율'이 떨어지는 추세입니다.


일본은 주기적으로 환자를 찾아가 상태를 살피는 '방문 진료'와 요청이 오면 출동하는 '왕진'이 자리를 잡았다는 평가입니다.

월별 방문진료 건수는 2017년 71.1만 건, 2018년 75.5만 건, 2019년 79.5만 건으로 증가 추세고, 왕진도 월 13~14만 건에 이릅니다. 2020년 기준 전체 진료소의 21.6%, 전체 병원의 약 36.1%가 방문진료를 제공했습니다.(보건사회연구원, '인구 고령화에 따른방문진료 및 재택의료 제도화 방향')

한국은 전체 사망자 가운데 80세 이상 고령자 사망 비율이 2012년 36.7%에서 2022년 53.7%까지 증가했습니다.(통계청) 생애 말기 돌봄이나 임종 케어 수요는 빠르게 늘고 있는 겁니다.

최근 국회에는 재택 임종을 돕기 위해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급여 항목에 '임종 간호'를 추가하는 법안이 제출됐습니다. 우효순 씨는 "삶의 끝이 가족의 품이어야 하는 건 너무 당연하지만,
쉬운 게 아니"라며 "의료 시스템이 품위 있는 죽음에 기여하는 것 만큼 의미 있는 일도 드물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339 미국 증시 이틀째 급락… 시장 불안에 '변동성 지수' 4년 새 최고 랭크뉴스 2025.04.05
44338 경찰, 윤석열 파면 다음 날 민주당 천준호 현수막에 불 지른 50대 체포 랭크뉴스 2025.04.05
44337 뉴욕증시 폭락에 환율도 급등‥'10% 기본관세' 시작됐다 랭크뉴스 2025.04.05
44336 [주간코인시황] 美 상호관세 충격·통화정책 관망 속 약세 전환 랭크뉴스 2025.04.05
44335 제발 뜨거운 물 참아라, 머리카락 사수하는 소소한 습관 [Health&] 랭크뉴스 2025.04.05
44334 대체 빵으로 얼마 번거야…성심당, 2년 연속 뚜레쥬르 눌렀다 랭크뉴스 2025.04.05
44333 관세 넘어 감세까지…탄력 받는 트럼프노믹스 랭크뉴스 2025.04.05
44332 "끄집어내라" 인정한 헌재‥내란죄 재판도 탄력? 랭크뉴스 2025.04.05
44331 르펜 유죄 판결 전화위복?…佛 극우당 가입자 증가 랭크뉴스 2025.04.05
44330 윤석열, 아크로비스타 돌아가나?‥경호 어렵고 주민 불편 우려도 랭크뉴스 2025.04.05
44329 10명 중 7명 "尹, 조기 대선 자숙해야"…44.8%는 "헌재 결정 불수용" 랭크뉴스 2025.04.05
44328 48명 살해 종신형 받은 러 연쇄살인범 "11명 더있다" 충격 자백 랭크뉴스 2025.04.05
44327 제주섬 자연과 사람 녹아들어 ‘맨도롱’한 그 맛 [esc] 랭크뉴스 2025.04.05
44326 윤석열 흔적 하나둘 지우는 대통령실‥"관저 퇴거는 다음주" 전망 랭크뉴스 2025.04.05
44325 신생아 학대 대구가톨릭대병원, 공식 사과영상 올려 "책임통감" 랭크뉴스 2025.04.05
44324 차에 치인 거북 구조한 베스트셀러 작가... "거북은 느리지만 끝내 회복한다" 랭크뉴스 2025.04.05
44323 "봄바람 휘날리며" 심장 멎는다…돌연사 막는 4가지 습관 랭크뉴스 2025.04.05
44322 尹, 관저서 나경원 1시간 독대 “고맙다, 수고했다” 랭크뉴스 2025.04.05
44321 "전광훈 못 믿어" vs "그래도 힘 실어야"… 보수단체 단일대오 균열조짐 랭크뉴스 2025.04.05
44320 국민 10명 중 7명 "조기 대선, 尹은 자숙해야" 랭크뉴스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