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 '초고령사회 건강검진의 미래와 발전 방향' 심포지엄 개최
한국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며 고령층을 위한 맞춤형 건강검진의 필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성인 10명 중 8명은 현재 74세까지인 국가건강검진의 연령을 연장하는데 동의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는 한국헬시에이징학회와 함께 3일 롯데호텔 서울 에메랄드볼룸에서 ‘초고령사회 건강검진의 미래와 발전 방향’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고령층 건강검진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가 지난 2월 28일부터 3월 16일까지 20세 이상 성인 1,229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20세 이상 성인의 94.1%가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고 있으며 검진 주기는 ‘1년마다’, ‘2년마다’ 모두 48.1%로 동일하게 응답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원하는 건강검진 항목에 대해서는 ‘부족하다’고 답한 비율이 46.9%로 ‘충분하다’고 답한 41.8%보다 다소 높았다.

건강검진에서 가장 관심 있는 영역은 ‘암 검진(종양)’이 66.6%로 가장 높았고, 이어 ‘만성질환 관리(당뇨병, 고혈압 등)’(52.4%), ‘심혈관 질환’(47.6%), ‘간/신장 기능’(43.4%), ‘노인성 질환(치매, 파킨슨병 등)’(17.5%)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는 건강검진에 대한 고령층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전체 응답자 중 60세 이상(85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별도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60세 이상에서도 94%가 건강검진을 정기적으로 받고 있다고 답하며 건강검진에 대한 인식은 비슷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건강검진 주기는 20세 이상과 달리 ‘2년마다’(61%)로 응답한 비율이 ‘1년마다’(34%)보다 훨씬 높았는데, 경제적 부담이나 잦은 검진으로 인한 피로감 등이 고령층 건강검진 주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건강검진 항목에 대한 만족도에서도 ‘충분하다’(46%)고 답한 비율이 ’부족하다’(44%)는 비율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나며 20세 이상과 차이를 보였다.

고령층의 건강검진 관심 영역에서는 전체 성인 대상과 마찬가지로 ‘암 검진(종양)’이 69%로 가장 높았지만 ‘심혈관 질환’(58%), ‘만성질환 관리(당뇨병, 고혈압 등)’(52%), ‘노인성 질환(치매, 파킨슨병 등)’(46%) 등의 순으로, 특히 ‘노인성 질환’ 검진에 대해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검진 연령을 75세 이상으로 연장하는 데에는 20세 이상 전체 성인 대상, 60세 이상 고령층 대상에서 각각 82.2%, 78%가 동의했다.

75세 이후 검진 계획에 대해서는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전체 성인 대상에서는 75세 이후에도 ‘검진 주기를 늘려서 검진한다’는 응답이 37.4%, 60세 이상에서는 ‘이전과 똑같이 정기검진을 진행한다’는 응답이 44%로 가장 많았다.

또한 노인성 질환(치매, 파킨슨병 등) 건강검진 프로그램이 생긴다면 받을 의향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20세 이상 전체 성인 81.6%, 60세 이상 88%가 “예”라고 답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매나 파킨슨병 등의 발병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고령층에서 노인성 질환에 대한 검진의 필요성을 더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김길원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 회장은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국가건강검진의 연령을 연장하는데 국민 대다수가 공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하며 “초고령사회에 대응할 수 있도록 노인성 질환 검진을 비롯한 고령층 맞춤 건강검진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377 전한길, '폭싹' 특별출연했다가 통편집…"수준 높은 작품 위해" 랭크뉴스 2025.04.03
43376 도이치모터스 전주 유죄 확정…김여사 재수사 여부는 검토 중 랭크뉴스 2025.04.03
43375 'FTA' 한국의 대미 관세율이 50%?..."끼워 맞추기 위한 엉터리 나눗셈" 랭크뉴스 2025.04.03
43374 동시접속 9만명…콘서트 예매 방불케한 '尹선고' 방청 신청 랭크뉴스 2025.04.03
43373 펭귄도 ‘깜짝’ 놀란 트럼프 관세…사람 없는 남극 섬에도 부과 랭크뉴스 2025.04.03
43372 美가 주도한 자유무역, 美가 뿌리째 흔든다 랭크뉴스 2025.04.03
43371 [단독] 재작년 단 400만원…나경원 일가 중학교가 ‘찔끔’ 낸 이것 랭크뉴스 2025.04.03
43370 尹 운명의 날 밝았다… 남은 건 승복과 치유 랭크뉴스 2025.04.03
43369 [단독] 닥터비타·마르시끄·조에바이오 등 화장품社 줄줄이 매물로 랭크뉴스 2025.04.03
43368 “1320억달러 50%?” 트럼프 행정부 상호관세 산정 방식 따져보니 랭크뉴스 2025.04.03
43367 [사설]민주공화국에서 윤석열을 파면하라 랭크뉴스 2025.04.03
43366 외교차관 "심우정 딸, 블라인드 채용…특혜 주어질 상황 아냐" 랭크뉴스 2025.04.03
43365 외교차관 "심우정 딸, 블라인드 채용‥특혜 주어질 상황 아냐" 랭크뉴스 2025.04.03
43364 “장제원 죽음으로 진실 은폐 안 돼…수사보고서에 피해 사실 남겨야” 랭크뉴스 2025.04.03
43363 현직 약사 마약류 밀수에…한약사회 “국민 보건 저버린 중대 범죄” 랭크뉴스 2025.04.03
43362 9개 교육청, 학교에 尹 탄핵심판 선고 생중계 시청 권고 랭크뉴스 2025.04.03
43361 탄핵 선고 ‘디데이’에 뭐 하세요?···“출퇴근 얼마나 밀리려나” “역사적인 날 친구와 함께” 랭크뉴스 2025.04.03
43360 오동운, 최상목 미 국채 투자 논란 두고 "법 저촉된다면 철저히 수사할 것" 랭크뉴스 2025.04.03
43359 “오징어 게임 같습니다”…해고된 줄 모르고 출근을 했다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3
43358 금고서 10억 훔친 수협 직원 송치…사라진 돈은 어디에?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