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 '초고령사회 건강검진의 미래와 발전 방향' 심포지엄 개최
한국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며 고령층을 위한 맞춤형 건강검진의 필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성인 10명 중 8명은 현재 74세까지인 국가건강검진의 연령을 연장하는데 동의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는 한국헬시에이징학회와 함께 3일 롯데호텔 서울 에메랄드볼룸에서 ‘초고령사회 건강검진의 미래와 발전 방향’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고령층 건강검진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가 지난 2월 28일부터 3월 16일까지 20세 이상 성인 1,229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20세 이상 성인의 94.1%가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고 있으며 검진 주기는 ‘1년마다’, ‘2년마다’ 모두 48.1%로 동일하게 응답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원하는 건강검진 항목에 대해서는 ‘부족하다’고 답한 비율이 46.9%로 ‘충분하다’고 답한 41.8%보다 다소 높았다.

건강검진에서 가장 관심 있는 영역은 ‘암 검진(종양)’이 66.6%로 가장 높았고, 이어 ‘만성질환 관리(당뇨병, 고혈압 등)’(52.4%), ‘심혈관 질환’(47.6%), ‘간/신장 기능’(43.4%), ‘노인성 질환(치매, 파킨슨병 등)’(17.5%)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는 건강검진에 대한 고령층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전체 응답자 중 60세 이상(85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별도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60세 이상에서도 94%가 건강검진을 정기적으로 받고 있다고 답하며 건강검진에 대한 인식은 비슷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건강검진 주기는 20세 이상과 달리 ‘2년마다’(61%)로 응답한 비율이 ‘1년마다’(34%)보다 훨씬 높았는데, 경제적 부담이나 잦은 검진으로 인한 피로감 등이 고령층 건강검진 주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건강검진 항목에 대한 만족도에서도 ‘충분하다’(46%)고 답한 비율이 ’부족하다’(44%)는 비율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나며 20세 이상과 차이를 보였다.

고령층의 건강검진 관심 영역에서는 전체 성인 대상과 마찬가지로 ‘암 검진(종양)’이 69%로 가장 높았지만 ‘심혈관 질환’(58%), ‘만성질환 관리(당뇨병, 고혈압 등)’(52%), ‘노인성 질환(치매, 파킨슨병 등)’(46%) 등의 순으로, 특히 ‘노인성 질환’ 검진에 대해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검진 연령을 75세 이상으로 연장하는 데에는 20세 이상 전체 성인 대상, 60세 이상 고령층 대상에서 각각 82.2%, 78%가 동의했다.

75세 이후 검진 계획에 대해서는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전체 성인 대상에서는 75세 이후에도 ‘검진 주기를 늘려서 검진한다’는 응답이 37.4%, 60세 이상에서는 ‘이전과 똑같이 정기검진을 진행한다’는 응답이 44%로 가장 많았다.

또한 노인성 질환(치매, 파킨슨병 등) 건강검진 프로그램이 생긴다면 받을 의향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20세 이상 전체 성인 81.6%, 60세 이상 88%가 “예”라고 답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매나 파킨슨병 등의 발병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고령층에서 노인성 질환에 대한 검진의 필요성을 더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김길원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 회장은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국가건강검진의 연령을 연장하는데 국민 대다수가 공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하며 “초고령사회에 대응할 수 있도록 노인성 질환 검진을 비롯한 고령층 맞춤 건강검진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314 지칠 때 오세요…산골짜기 망경산사 랭크뉴스 2025.04.05
44313 다시 광화문으로 "파면은 끝 아닌 시작‥내란 세력 처벌해야" 랭크뉴스 2025.04.05
44312 서울경찰 ‘을호비상’ 해제…‘경계강화’로 하향 조정 랭크뉴스 2025.04.05
44311 48명 살해한 러 '체스판 살인마' "추가 11건 자백 준비" 랭크뉴스 2025.04.05
44310 탄핵 뒤 첫 광화문 집회 시민들 “윤 파면 기쁘지만, 끝이 아닌 시작” 한목소리 랭크뉴스 2025.04.05
44309 외신이 지적한 향후 과제는 '통합'… "대통령 떠났지만 더 큰 분열 남았다" 랭크뉴스 2025.04.05
44308 “대통령 파면하는 게 민주주의냐” 김문수, 대선 출마 시사 랭크뉴스 2025.04.05
44307 "트럼프 불신하는 독일, 뉴욕 보관 중인 1200t 금괴 인출 검토" 랭크뉴스 2025.04.05
44306 대통령 탄핵 뒤 첫 광화문 집회…시민들 “끝이 아닌 시작” 한목소리 랭크뉴스 2025.04.05
44305 골리앗 이긴 다윗...성심당, '빵'으로 CJ 눌렀다 랭크뉴스 2025.04.05
44304 尹 파면 후 첫 여론조사… 68.6% "선거 국면에서 자숙해야" [리서치뷰] 랭크뉴스 2025.04.05
44303 “민주주의 승리” “사기 탄핵”…윤 파면 후 주말 집회 랭크뉴스 2025.04.05
44302 퇴거 안 한 윤석열, 관저에서 나경원과 차담…무슨 얘기 나눴나? 랭크뉴스 2025.04.05
44301 "트럼프, 완전히 미쳤다"... '노벨경제학상' 크루그먼의 맹비난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05
44300 서울경찰 ‘을호비상’ 해제 ‘경계강화’로 하향 랭크뉴스 2025.04.05
44299 尹 파면 후 첫 조사… 10명 중 7명 “대선서 자숙하라” 랭크뉴스 2025.04.05
44298 윤석열 흔적 지워라...대통령실 홈페이지도 멈췄다 랭크뉴스 2025.04.05
44297 '파면 소회' 차고 넘칠텐데‥문 대행이 남긴 '두 문장' 랭크뉴스 2025.04.05
44296 [尹파면] 국민의힘 내부 "분열은 자멸""힘 모으자"…일각선 '배신자론'(종합) 랭크뉴스 2025.04.05
44295 [속보]경찰, 서울 ‘을호비상’ 해제···‘경계강화’로 조정 랭크뉴스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