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 '초고령사회 건강검진의 미래와 발전 방향' 심포지엄 개최
한국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며 고령층을 위한 맞춤형 건강검진의 필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성인 10명 중 8명은 현재 74세까지인 국가건강검진의 연령을 연장하는데 동의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는 한국헬시에이징학회와 함께 3일 롯데호텔 서울 에메랄드볼룸에서 ‘초고령사회 건강검진의 미래와 발전 방향’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고령층 건강검진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가 지난 2월 28일부터 3월 16일까지 20세 이상 성인 1,229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20세 이상 성인의 94.1%가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고 있으며 검진 주기는 ‘1년마다’, ‘2년마다’ 모두 48.1%로 동일하게 응답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원하는 건강검진 항목에 대해서는 ‘부족하다’고 답한 비율이 46.9%로 ‘충분하다’고 답한 41.8%보다 다소 높았다.

건강검진에서 가장 관심 있는 영역은 ‘암 검진(종양)’이 66.6%로 가장 높았고, 이어 ‘만성질환 관리(당뇨병, 고혈압 등)’(52.4%), ‘심혈관 질환’(47.6%), ‘간/신장 기능’(43.4%), ‘노인성 질환(치매, 파킨슨병 등)’(17.5%)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는 건강검진에 대한 고령층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전체 응답자 중 60세 이상(85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별도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60세 이상에서도 94%가 건강검진을 정기적으로 받고 있다고 답하며 건강검진에 대한 인식은 비슷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건강검진 주기는 20세 이상과 달리 ‘2년마다’(61%)로 응답한 비율이 ‘1년마다’(34%)보다 훨씬 높았는데, 경제적 부담이나 잦은 검진으로 인한 피로감 등이 고령층 건강검진 주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건강검진 항목에 대한 만족도에서도 ‘충분하다’(46%)고 답한 비율이 ’부족하다’(44%)는 비율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나며 20세 이상과 차이를 보였다.

고령층의 건강검진 관심 영역에서는 전체 성인 대상과 마찬가지로 ‘암 검진(종양)’이 69%로 가장 높았지만 ‘심혈관 질환’(58%), ‘만성질환 관리(당뇨병, 고혈압 등)’(52%), ‘노인성 질환(치매, 파킨슨병 등)’(46%) 등의 순으로, 특히 ‘노인성 질환’ 검진에 대해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검진 연령을 75세 이상으로 연장하는 데에는 20세 이상 전체 성인 대상, 60세 이상 고령층 대상에서 각각 82.2%, 78%가 동의했다.

75세 이후 검진 계획에 대해서는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전체 성인 대상에서는 75세 이후에도 ‘검진 주기를 늘려서 검진한다’는 응답이 37.4%, 60세 이상에서는 ‘이전과 똑같이 정기검진을 진행한다’는 응답이 44%로 가장 많았다.

또한 노인성 질환(치매, 파킨슨병 등) 건강검진 프로그램이 생긴다면 받을 의향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20세 이상 전체 성인 81.6%, 60세 이상 88%가 “예”라고 답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매나 파킨슨병 등의 발병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고령층에서 노인성 질환에 대한 검진의 필요성을 더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김길원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 회장은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국가건강검진의 연령을 연장하는데 국민 대다수가 공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하며 “초고령사회에 대응할 수 있도록 노인성 질환 검진을 비롯한 고령층 맞춤 건강검진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82 "관저서 약주도 안 마시고" "헌재‥배신‥" 전해진 尹의 근황 랭크뉴스 2025.04.10
46481 윤 전 대통령, 이르면 내일 관저 퇴거…“주말 넘기지 않을 것” 랭크뉴스 2025.04.10
46480 잠시 뒤 박성재 탄핵심판 선고‥이 시각 헌재 랭크뉴스 2025.04.10
46479 [속보] 헌재, 한덕수 헌법재판관 지명 위헌 심리 착수 랭크뉴스 2025.04.10
46478 치악산 부근 5차례 연쇄방화…30대 여성 구속 랭크뉴스 2025.04.10
46477 5% 반등으로 돌아온 삼성전자, 순매수 1위 [주식 초고수는 지금] 랭크뉴스 2025.04.10
46476 국회 입법조사처 "'한덕수 재판관 지명은 위헌' 의견 압도적" 랭크뉴스 2025.04.10
46475 김문수·홍준표·한동훈·유정복 ‘한 지붕’ 아래… 대하빌딩에 캠프 차려 랭크뉴스 2025.04.10
46474 韓 대행 “앞으로 90일간 협상으로 관세 부담서 벗어나야” 랭크뉴스 2025.04.10
46473 ‘관세 유예’ 호재 주가 급등…코스피·코스닥 사이드카 랭크뉴스 2025.04.10
46472 이재명 32%·김문수 12%···‘국힘이 윤 지지해야’ 중도 7%만 동의[NBS] 랭크뉴스 2025.04.10
46471 ‘관세 유예’ 주가 급등…코스피·코스닥 사이드카 랭크뉴스 2025.04.10
46470 ‘사람에 충성 안한다’더니···윤석열 “대통령 되면 사람 쓸 때 충성심 봐라” 랭크뉴스 2025.04.10
46469 한발 물러선 트럼프, 중국만 때린다…125% 관세폭탄 안긴 이유 랭크뉴스 2025.04.10
46468 코스피 이어 코스닥도 매수 사이드카 발동‥코스닥150선물 6% 급등 랭크뉴스 2025.04.10
46467 [속보] 국민의힘, 대선후보 경선 '양자 대결' 확정...역선택 방지조항 적용키로 랭크뉴스 2025.04.10
46466 이완규 ‘날림 지명’ 후 “대통령” 행세…한덕수 대망론 시나리오 랭크뉴스 2025.04.10
46465 관저 일주일 초과 거주 ‘민간인’ 윤석열…“세금 쓰였으면 횡령” 랭크뉴스 2025.04.10
46464 미국 관세 유예에 증시 5%대 급등…코스피·코스닥 사이드카 발동 랭크뉴스 2025.04.10
46463 [단독]금감원, ‘캡티브 영업’ 검사 개시… 미래에셋·삼성증권 첫 대상 랭크뉴스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