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학·당국 "점점 오르는 분위기"…출석률 '과다 집계' 주장도
연세의대 교수들 "정부는 3천58명 조속 확정하고 학생들은 수업 참여해달라"


의대 강의실 앞에 붙은 자유석 수업 진행 안내문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전국 대부분 의과대학으로 의대생들이 복귀한 가운데 1일 서울 시내 한 의대 강의실 앞에 당분간 자유석으로 수업을 진행하겠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전국 의대들은 전날부터 복귀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시작했다. 다만 대부분은 대면 수업 대신 온라인 수업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5.4.1 [email protected]


(서울·세종=연합뉴스) 고은지 고상민 김잔디 서혜림 오진송 기자 = 전국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한 가운데 실제 수업 참여율은 절반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학과 교육 당국은 수업 참여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조만간 정상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아직 대부분 대학이 온라인 수업 중인 가운데 한 번의 접속도 수업 참여로 인정해 참여율이 과다 집계됐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3일 각 대학 등에 따르면 고려대는 본과 2학년 74명 중 63.5%에 해당하는 47명이 수업에 참여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대 본과 4학년은 약 65%가, 연세대 본과 4학년은 47%가량이 수업을 듣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대학 관계자는 "수업 초반에는 참여율이 매우 저조했지만 점점 오르고 있다"고 상황을 전했다.

교육 당국도 "전반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다"고 했다.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의예과 강의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전국 대부분 의과대학으로 의대생들이 복귀한 가운데 1일 서울 시내 한 의대 강의실에서 교수가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2025.4.1 [email protected]


그러나 정반대 목소리도 있다.

현재 다수 의대가 온라인으로 수업하고 있는데 한 차례 접속도 모두 수업 참여로 치면서 참여율이 올라간 것처럼 보이는 '착시 현상'이라는 주장이다.

수도권의 한 의대생은 "줌 (수업)이라서 한 번이라도 접속한 사람들이 다 (참여로) 뜬다"며 이를 수업 참여로 봐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의대생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는 전날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회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5개 의대 재학생 6천571명 중 실제 수업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 예정인 학생은 3.87%(254명)에 그쳤다고 밝힌 바 있다.

전날까지 이뤄진 서울대 의대 수업 거부 수요 조사에서도 전체 응답자 668명 중 528명(79.0%)이 '수업 거부'에 투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학생들 사이에선 마음에서 우러나서 한 복학이 아니었던 만큼 수업에 회의적일 수밖에 없다는 얘기도 나온다.

또 다른 수도권 의대생은 "개인 사정으로 휴학하려고 해도 (교육부 지침에 의해) 일괄적으로 휴학계를 반려 당했고, 등록하지 않으면 제적이라고 해 등록했다"며 "지금은 수업 거부 시 유급이 될 수 있다고 압박한다"고 토로했다.

그는 "3월 초부터 수업이 이미 진행됐는데 앞에 수업 내용은 알아서 공부해 오라고 하는 등 대책이 없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고도 했다.

이런 가운데 연세대 의대 교수 517명은 이날 '학생 복귀에 대한 연세대 의대 교수의 입장'을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정부는 2026년 의대 정원(모집인원) 3천58명을 조속히 확정하라"고 촉구했다.

또 "무리한 증원으로 인해 정상적인 교육이 어려워진 현 상황에서 학생이 양질의 의학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최대한의 지원을 요구한다"고 했다.

학생들에게는 "용기를 내 학교로 돌아온 이상 젊음의 소중한 시간을 희생하지 말고 수업에 참여해달라"고 호소했다.

정부는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지켜본 뒤 이달 중순께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에 대한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정상적인 의대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고 판단되면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증원 이전인 3천58명으로 돌아간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624 尹, 대통령직 파면 ‘8대 0’ …헌재 “중대 위법 국민 배반”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23 권성동 "국민들께 송구‥헌재 판결 겸허하게 수용"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22 한덕수 대행, 오는 8일 대선일 공고할 듯…‘6월 3일 선거’ 유력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21 [속보] 문재인 "헌법으로 민주공화정 지켜내‥모두 국민 덕분"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20 헌재, 전원일치로 파면…“호소용 계엄? 계엄법이 정한 목적 아냐”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9 국힘 의총서 “탄핵찬성 의원들 조치” “같이 못 앉겠다” 반성 없이 ‘색출’ 혈안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8 윤석열 헌재 전원일치 파면…“주권자 대한국민 신임 중대히 배반”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7 이재명 “위대한 국민이 위대한 민주공화국 대한민국 되찾아”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6 [속보] 대통령 관저 주변 한강진역 무정차 통과 해제‥정상 운행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5 [속보]6호선 한강진역 1시 15분부터 지하철 운행 재개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4 헌법재판관 8명 전원 ‘尹 파면’ 의견 일치... 소수 의견은 절차 관련 내용뿐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3 尹 전 대통령측 "헌재결정 법리적 납득할수 없어…안타깝고 참담"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2 [전문] 헌법재판소 尹 탄핵 선고 요지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1 [尹파면] 대통령 파면한 8인의 재판관…외풍 속 심사숙고해 결단(종합)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0 [속보]권성동 “두달 후면 대선···대한민국을 이재명 세력에 맡길 수 없으니 뭉쳐야”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09 재판관 5명이 밝힌 보충의견…‘이것’ 두곤 의견 갈렸다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08 尹대통령측 "헌재 결정 법리적 납득할 수 없어…안타깝고 참담"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07 '尹 파면' 30분 만에 내려진 봉황기... 용산 "이제 어쩌나" 침통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06 [속보] 윤 전 대통령, 파면 선고에 아직 입장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05 국민의힘 의원총회…“헌재 결정 수용…새롭게 출발하자” new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