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에 '세계의 공장'인 동남아시아가 직격탄을 맞았다. 미·중 갈등 속 중국을 대신하는 '제조 기지' 동남아가 트럼프발 관세 전쟁의 우선 타깃이 된 것이다.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 행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는 캄보디아 49%, 라오스 48%, 베트남 46%, 미얀마 44%, 방글라데시 37%, 태국 36%,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필리핀 17% 등이었다.

특히 '최악의 위반자(worst offenders)'로 지목된 60개국 중에서 캄보디아는 49%로 동남아 국가 중에 가장 높았다. 캄보디아는 지난해 미국에 99억 2000만 달러(약 14조 5675억원) 상당의 상품을 수출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일본 게임업체 닌텐도가 미국으로 수출하는 닌텐도 기기 생산 공장을 중국에서 캄보디아, 베트남으로 옮긴 상태인데 이번 관세 여파로 닌텐도 게임기기 값이 급등할 수 있다"고 짚었다.

베트남에는 오는 9일부터 46% 관세가 발효된다. 사진은 2019년 2월 27일 베트남 하노이 정부청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학생들에게 베트남 국기를 건네는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트럼프가 "중국보다 더 심하다"고 지목한 베트남 역시 고율 관세가 적용됐다. 미 CNBC 방송은 "베트남에서 주문자 상표부착생산(OEM)을 하는 미국의 의류·가구·장난감 업체가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 따르면 미국의 베트남산 수입액은 지난해 1366억 달러(약 200조 2556억원)로 2023년보다 19% 늘었다. 이에 베트남은 지난해 기준 미국의 10대 무역수지 적자국 중 3위(1235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한국(660억 달러)의 대미 무역수지 적자 1.87배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베트남은 사실상 가장 악랄한 무역 남용국"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팜민찐 베트남 총리는 지난 1월 연설에서 “베트남에 도움이 된다면 플로리다에 있는 트럼프의 마러라고 자택을 방문해 온종일 골프를 치는 것도 마다치 않겠다”고 말했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발표한 상호관세 목록. X(옛 트위터)

베트남에 생산기지를 둔 한국 기업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삼성전자는 베트남 북부 박닌 등에 공장을 뒀는데, 이들 공장의 월간 최대 생산량은 스마트폰·태블릿 기준 1000만대로 추산된다. 하이퐁에는 LG전자, LG디스플레이 등이 생산 거점을 뒀다. 베트남은 그간 한국 기업들에 힘입어 미국 수출을 크게 늘렸다. 베트남의 대미 수출액은 지난 10년 새 4배 넘게 증가했다. 김상봉 한성대 교수는 "이제는 물류비용을 따져서 베트남(관세율 46%)에서 바로 수출하지 말고, 일부는 한국(26%)으로 다시 갖고 와 수출하는 게 나을 수도 있다"고 전했다.

베트남에 생산을 상당부분 위탁한 미국 신발 업체들은 큰 타격을 받게 됐다. 미국 신발 유통 및 소매업체 협회에 따르면 2023년 미국에 수입된 신발의 3분의 1이 베트남에서 왔다. 호카 운동화를 만드는 미국 기업 데커스는 주로 중국, 베트남에서 신발을 생산해 판다. 데커스는 베트남에만 68개 공급망 파트너를 두고 있다고 CNBC가 전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나이키는 지난해 신발의 50%를 베트남에서 생산했다. 나이키 신발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한국 기업인 창신베트남도 타격이 클 전망이다. 이날 나이키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7% 급락했다. 베트남·캄보디아 등에서 제품의 50%를 조달하는 의류업체 갭도 시간 외 거래에서 8.49% 폭락했다. 이밖에 베트남 의존도가 높은 미국 가구, 장난감 업계도 영향권이다. 2023년 미국 수입산 가구의 26.5%는 베트남산이었다.

삼성전자 베트남 사업장. 연합뉴스

강병구 인하대 교수는 "트럼프의 상호관세 부과는 미국 내 생산기업에 대한 법인세 인하 정책과 함께 미국 내 제조업 유치와 고용 창출을 목표로 한다"면서 "그러나 의도대로 되지 않고 관세 전쟁만 일어날 경우 세계 경제 침체 우려가 있다"고 짚었다. 김원식 건국대 명예교수는 "관세 영향으로 미국 내 물가가 올라가 미국 저소득층이 영향받겠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저소득층은 따로 지원하는 방식으로 관세 부과에 따른 후폭풍을 상쇄하려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교수는 "한국은 향후 관세율이 낮은 국가로 생산 기지 다변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고 짚었다.

미 웨드부시 증권의 댄 아이브스 분석가는 BBC에 "이번 상호 관세는 투자자들이 예상했던 최악의 경우보다 더 심각하다"면서도 "국가별 협상에 따른 면제가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전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459 전직 방첩사 대령까지 투입‥비리 입막음 위해 제보자 색출도? 랭크뉴스 2025.04.03
43458 열악한 ‘임차 헬기’…초동 진화 역량 키워야 랭크뉴스 2025.04.03
43457 상호관세로 한·미FTA 무력화…쌀·소고기 줄줄이 공격 예고 랭크뉴스 2025.04.03
43456 "내일이면 헌재 선고"…도심 곳곳 탄핵찬반 밤샘집회 랭크뉴스 2025.04.03
43455 교육청이 지적한 한민고 비리 백태‥학교 차량 사적 사용에 횡령까지 랭크뉴스 2025.04.03
43454 '오겜' 오영수, 2심서도 실형 구형…"80년 지킨 인생 무너졌다" 랭크뉴스 2025.04.03
43453 D-1 야권 '탄핵 촉구' 총력전‥이재명 "제주 4.3 단죄 못해 윤석열 계엄" 랭크뉴스 2025.04.03
43452 기업 대출 받아 ‘땅 장사’만 열심…이러니 혁신 실종 랭크뉴스 2025.04.03
43451 국민의힘, 탄핵심판 전날까지 계엄 옹호‥"계엄으로 '제왕적 의회' 드러나" 랭크뉴스 2025.04.03
43450 안동 하회마을서 불, 초가 2채 불타···70대 주민 부상 랭크뉴스 2025.04.03
43449 불닭볶음면도 '매운 관세'에 운다…이 와중에 웃는 업체, 어디 랭크뉴스 2025.04.03
43448 계엄 사과·반성 안 한 윤석열…끝까지 ‘승복’ 메시지 없었다 랭크뉴스 2025.04.03
43447 안창호 인권위원장 ‘4·3 추념식’ 불참…“부적절” 지적 잇따라 랭크뉴스 2025.04.03
43446 "800만원을 가장 멍청하게 쓰는 방법"…발렌시아가가 내놓은 명품백 어떻길래 랭크뉴스 2025.04.03
43445 [다시헌법⑪] "헌법 준수" 선서해 놓고‥'헌법 파괴' 심판대에 랭크뉴스 2025.04.03
43444 대법, ‘도이치 주가조작’ 유죄 확정…김건희 재수사로 이어질까 랭크뉴스 2025.04.03
43443 지드래곤, 데뷔 이후 첫 악플러 고소… “강력 대응” 랭크뉴스 2025.04.03
43442 안동 하회마을 초가지붕에서 불…“인명피해는 없어” 랭크뉴스 2025.04.03
43441 “FTA 무력화?·국제 통상질서 급변”…최선의 협상 전략은? 랭크뉴스 2025.04.03
43440 ‘한국은 50% 관세’ 산정근거 말 되나 따져봤더니…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