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에 '세계의 공장'인 동남아시아가 직격탄을 맞았다. 미·중 갈등 속 중국을 대신하는 '제조 기지' 동남아가 트럼프발 관세 전쟁의 우선 타깃이 된 것이다.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 행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는 캄보디아 49%, 라오스 48%, 베트남 46%, 미얀마 44%, 방글라데시 37%, 태국 36%,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필리핀 17% 등이었다.

특히 '최악의 위반자(worst offenders)'로 지목된 60개국 중에서 캄보디아는 49%로 동남아 국가 중에 가장 높았다. 캄보디아는 지난해 미국에 99억 2000만 달러(약 14조 5675억원) 상당의 상품을 수출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일본 게임업체 닌텐도가 미국으로 수출하는 닌텐도 기기 생산 공장을 중국에서 캄보디아, 베트남으로 옮긴 상태인데 이번 관세 여파로 닌텐도 게임기기 값이 급등할 수 있다"고 짚었다.

베트남에는 오는 9일부터 46% 관세가 발효된다. 사진은 2019년 2월 27일 베트남 하노이 정부청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학생들에게 베트남 국기를 건네는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트럼프가 "중국보다 더 심하다"고 지목한 베트남 역시 고율 관세가 적용됐다. 미 CNBC 방송은 "베트남에서 주문자 상표부착생산(OEM)을 하는 미국의 의류·가구·장난감 업체가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 따르면 미국의 베트남산 수입액은 지난해 1366억 달러(약 200조 2556억원)로 2023년보다 19% 늘었다. 이에 베트남은 지난해 기준 미국의 10대 무역수지 적자국 중 3위(1235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한국(660억 달러)의 대미 무역수지 적자 1.87배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베트남은 사실상 가장 악랄한 무역 남용국"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팜민찐 베트남 총리는 지난 1월 연설에서 “베트남에 도움이 된다면 플로리다에 있는 트럼프의 마러라고 자택을 방문해 온종일 골프를 치는 것도 마다치 않겠다”고 말했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발표한 상호관세 목록. X(옛 트위터)

베트남에 생산기지를 둔 한국 기업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삼성전자는 베트남 북부 박닌 등에 공장을 뒀는데, 이들 공장의 월간 최대 생산량은 스마트폰·태블릿 기준 1000만대로 추산된다. 하이퐁에는 LG전자, LG디스플레이 등이 생산 거점을 뒀다. 베트남은 그간 한국 기업들에 힘입어 미국 수출을 크게 늘렸다. 베트남의 대미 수출액은 지난 10년 새 4배 넘게 증가했다. 김상봉 한성대 교수는 "이제는 물류비용을 따져서 베트남(관세율 46%)에서 바로 수출하지 말고, 일부는 한국(26%)으로 다시 갖고 와 수출하는 게 나을 수도 있다"고 전했다.

베트남에 생산을 상당부분 위탁한 미국 신발 업체들은 큰 타격을 받게 됐다. 미국 신발 유통 및 소매업체 협회에 따르면 2023년 미국에 수입된 신발의 3분의 1이 베트남에서 왔다. 호카 운동화를 만드는 미국 기업 데커스는 주로 중국, 베트남에서 신발을 생산해 판다. 데커스는 베트남에만 68개 공급망 파트너를 두고 있다고 CNBC가 전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나이키는 지난해 신발의 50%를 베트남에서 생산했다. 나이키 신발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한국 기업인 창신베트남도 타격이 클 전망이다. 이날 나이키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7% 급락했다. 베트남·캄보디아 등에서 제품의 50%를 조달하는 의류업체 갭도 시간 외 거래에서 8.49% 폭락했다. 이밖에 베트남 의존도가 높은 미국 가구, 장난감 업계도 영향권이다. 2023년 미국 수입산 가구의 26.5%는 베트남산이었다.

삼성전자 베트남 사업장. 연합뉴스

강병구 인하대 교수는 "트럼프의 상호관세 부과는 미국 내 생산기업에 대한 법인세 인하 정책과 함께 미국 내 제조업 유치와 고용 창출을 목표로 한다"면서 "그러나 의도대로 되지 않고 관세 전쟁만 일어날 경우 세계 경제 침체 우려가 있다"고 짚었다. 김원식 건국대 명예교수는 "관세 영향으로 미국 내 물가가 올라가 미국 저소득층이 영향받겠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저소득층은 따로 지원하는 방식으로 관세 부과에 따른 후폭풍을 상쇄하려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교수는 "한국은 향후 관세율이 낮은 국가로 생산 기지 다변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고 짚었다.

미 웨드부시 증권의 댄 아이브스 분석가는 BBC에 "이번 상호 관세는 투자자들이 예상했던 최악의 경우보다 더 심각하다"면서도 "국가별 협상에 따른 면제가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전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173 검찰, '안전가옥 개조설' 윤건영·안귀령 경찰 재수사 요구 랭크뉴스 2025.04.09
46172 ‘한덕수 지명’ 함상훈 판사, ‘요금 2400원 횡령’ 버스기사 해고 판결 전력 랭크뉴스 2025.04.09
46171 '한덕수 재탄핵' 꺼내든 민주 초선들 "최상목·심우정까지 묶어 '삼탄핵'" 랭크뉴스 2025.04.09
46170 풀려난 명태균의 입 주목…尹부부 의혹 등 검찰수사 변수될까 랭크뉴스 2025.04.09
46169 당국 “연내 종투사 늘리겠다” 발표했지만… 증권사들 “곧 대선인데?” 반신반의 랭크뉴스 2025.04.09
46168 [단독] ‘국부펀드’ 민주당 대선공약에 담나 랭크뉴스 2025.04.09
46167 수원 공군기지 무단 촬영 10대 중국인들, 평택·청주 군사시설도 몰래 찍었다 랭크뉴스 2025.04.09
46166 中, 장난감부터 전투기까지 美 정밀 타격 [美 상호관세 발효] 랭크뉴스 2025.04.09
46165 지반침하 고위험지역 50곳 MBC 보도에 오세훈 시장 "땅 꺼짐 방지 노력 촘촘히 할 것" 랭크뉴스 2025.04.09
46164 보복관세 선그은 산업장관 “자해성 피해 더 커질 수도” 랭크뉴스 2025.04.09
46163 "구속시켜야" 언성 높인 민주당…"잘 할 수 있다" 몸 낮춘 이완규 랭크뉴스 2025.04.09
46162 ‘전투기 촬영’ 10대 중국인들, 공항도 수천 장 찍었다… 2~3차례 입국 랭크뉴스 2025.04.09
46161 함상훈 헌법재판관 후보자, ‘2400원 횡령 버스기사’ 해고 판결 랭크뉴스 2025.04.09
46160 이완규, 윤석열 파면 전 ‘낙점’ 의혹…인사검증 하루도 안 걸려 랭크뉴스 2025.04.09
46159 “재판을 언제까지 끕니까!” 법원에 분노한 해병대 전우회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09
46158 “줄 선 나라 많아서 힘들어” 트럼프만 신났나…숨 막히는 관세 눈치 싸움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09
46157 “3년 소설 같았다” 대표직 사퇴 이재명…10일 대선 출마선언 랭크뉴스 2025.04.09
46156 민주, ‘이완규 저지’ 총력···‘권한대행 재판관 지명 금지법’ 법사위 통과 랭크뉴스 2025.04.09
46155 빅4·고려대 의대 학생대표 "투쟁 지속"…서울대는 수업 참여 랭크뉴스 2025.04.09
46154 이완규 “헌법재판관 돼 헌법 질서 구현에 일조하고 싶다” 랭크뉴스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