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황희·이헌환 "박근혜 전 대통령보다 중대 위헌…전원일치나 7대1 인용 전망"
장영수·신봉기 "잘못 중대하지 않으면 파면은 못해…5대3 또는 4대4 나올 것"


(서울=연합뉴스) 김철선 전재훈 황윤기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두고 헌법재판소가 111일간의 장고 끝에 내놓을 결론에 관심이 쏠린다.

3일 연합뉴스 인터뷰에 응한 전문가들은 재판관 전원일치나 '7(인용)대 1(기각·각하)'로 인용될 것이라는 의견부터 '5대 3', '4대 4'로 소추가 기각되리라는 견해 등 다양한 전망을 내놓았다.

헌법학자들은 12·3 비상계엄을 둘러싼 일련의 과정에 헌법과 법률을 위반한 소지가 일부라도 있다는 점에는 대체로 공감했으나, 파면할 만큼 중대한 위반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윤 대통령 탄핵선고 D-1, 문 열리는 대심판정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의 문이 열리고 있다. 2025.4.3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박근혜보다 중대한 위헌·위법…전원일치 또는 7대 1 인용 전망" 견해
헌법에 따라 탄핵소추 인용, 즉 파면 결정에는 재판관 6인의 찬성이 필요하다. 현직 재판관 8명 중 6인 이상이 윤 대통령에게 파면을 정당화할 만큼의 중대한 잘못이 있다고 인정해야 인용 결정이 가능한 셈이다.

헌법연구관 출신 이황희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교수는 2017년 전원일치로 파면된 박근혜 전 대통령과 윤 대통령 사건을 비교할 경우 인용 전망이 뚜렷하다고 봤다.

이 교수는 "박 전 대통령 사건은 개인의 부패 사건이었고 이 사건은 국사범이 헌정질서를 훼손한 사건"이라며 "위헌성이나 중대성의 무게가 훨씬 무겁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면에서 박 전 대통령 때 8(인용)대 0(기각·각하)이었다면 이건 더더욱 8대 0이 나와야 하는 사건"이라며 "법률 위반 자체는 8명 중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교수는 "행정부는 입법부와 함께 삼권 중 하나인데 다른 부가 자기 뜻대로 안 움직인다는 이유로 국군을 이용한 것"이라며 "우리 헌법에서 가장 경계하고 하지 말라는 행위인데, 앞으로 반복되지 않게 하려면 명확하게 이런 것은 절대 하면 안 된다고 경각심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헌법재판연구원장을 지낸 이헌환 아주대 로스쿨 교수도 "8대 0일 가능성이 높고 한 명 정도 이탈해 7대 1 가능성도 있을 수 있다"며 "헌법 수호의 의지가 있느냐, 없느냐 부분에서 2차 계엄 등 여러 가지 자료가 확인됐기 때문에 반대(기각·각하) 의견을 도저히 쓸 수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용이 되는 게 현실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바람직하고 우리 국가의 미래 지향적인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며 "다시 나라를 40년 전으로 되돌릴 것이냐"고 되물었다.

헌재 결정에 일방이 승복하지 않을 수 있다는 논란에 대해서는 "승복하지 않는 제스처(몸짓)나 행위가 있을 때,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도 우리 사회의 역량"이라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선고 D-1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의 모습. 2025.4.3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잘못 중대하지 않으면 파면 못해…5대 3 또는 4대 4 기각할 것" 견해
일부 위헌·위법이 있더라도 이른바 '중대성 요건'을 넘지 못할 것이라며 기각 결정을 점치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재판관 3명 이상이 기각·각하 의견을 낼 경우 소추는 기각된다. 각하 결정을 하려면 국회의 탄핵소추 자체가 법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는 각하 의견을 낸 재판관이 4인 이상이어야 한다.

헌법 전공인 장영수 고려대 로스쿨 교수는 재판관 3∼4인이 기각 또는 각하 의견을 선택해 최종적으로 소추가 기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장 교수는 "매우 이례적으로 변론 종결된 이후 한 달이 지나도록 선고가 안 되는 상황이었다"고 지적하며 "마은혁 후보자의 임명 여부에 따라 6대 3이 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재판관들의 견해가 5대 3으로 엇갈린 상황에서 마 후보자의 합류를 기다렸으나 문형배·이미선 재판관의 퇴임일이 다가오면서 더는 기다릴 수 없다고 판단해 선고일을 지정했다는 해석이다.

장 교수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탄핵심판에서 재판관들의 의견이 팽팽히 엇갈린 점을 지적하며 "그 정도의 시각 차이가 열흘 사이 확 뒤집어지는 건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또 "한 총리의 경우도 위헌·위법은 있는데 중대성을 인정 못 한다는 게 다수 의견이었다"며 "위헌·위법이 명백해도 중대하지 않으면 파면하기엔 곤란하다고 되는 것"이라고 봤다.

헌법연구관 출신 신봉기 경북대 로스쿨 교수도 "비상계엄 선포가 법을 벗어난 건 분명히 맞다"면서도 "탄핵까지 할 정도로 중대하지 않고 비상계엄 목적도 경고 수준이고, 폭동이 없었고 재판부 구성도 팽팽하기 때문에 기각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보수 성향의 재판관 3인이 먼저 기각 의견을 밝히고 그 영향으로 나머지 재판관 1인이 추가로 기각 의견을 냈다면 4대 4로 기각 결정이 선고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대통령 탄핵 선고 D-2, 문 닫힌 심판정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2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의 문이 닫혀 있다. 2025.4.2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606 [속보] 대통령 관저 인근 6호선 한강진역 9시부터 무정차 통과 랭크뉴스 2025.04.04
43605 오늘 오전 9시부터 6호선 한강진역 무정차 운행 랭크뉴스 2025.04.04
43604 [속보]‘윤석열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 전원 출근…오전 9시30분 마지막 평의 랭크뉴스 2025.04.04
43603 美상무장관 "관세 철회 안 해… 협상 원하면 무역장벽 먼저 없애야" 랭크뉴스 2025.04.04
43602 관세 쇼크에 "아이폰 미국 가격, 1.4배 뛰어 330만원 이를 수도" 랭크뉴스 2025.04.04
43601 번식장서 굶겨 죽이고 엄마개 배 가르고···유통 문제 해결 없이 동물학대 막을 수 없어 랭크뉴스 2025.04.04
43600 [단독] 교제폭력 피해자가 살인자로…31번 신고에도 보호받지 못했다 랭크뉴스 2025.04.04
43599 [속보] 키움증권, 연이틀 매매 체결 장애 랭크뉴스 2025.04.04
43598 [속보] 한남 관저 인근 6호선 한강진역 오전 9시부로 무정차 통과 랭크뉴스 2025.04.04
43597 박근혜 파면 당일 숨진 지지자 유족 “허무한 죽음일뿐…폭력 절대 안 돼” 랭크뉴스 2025.04.04
43596 윤 대통령 운명 가를 헌법재판관 8명 전원 출근…오전 중 평의 랭크뉴스 2025.04.04
43595 ‘운명의 날’ 왔다...윤석열 탄핵 선고, 오늘 11시 랭크뉴스 2025.04.04
43594 “민주주의” vs “교육 중립”…학교서 윤 탄핵 심판 방송시청 혼란 랭크뉴스 2025.04.04
43593 [속보] 헌법재판관 8명 경호 받으며 출근 완료…최종 평의 랭크뉴스 2025.04.04
43592 윤석열, 탄핵심판 ‘파면’ 선고에도 묵묵부답일까 [4월4일 뉴스뷰리핑] 랭크뉴스 2025.04.04
43591 [속보] 헌법재판관 8명 전원 출근 완료‥오전 평의 예정 랭크뉴스 2025.04.04
43590 尹선고 앞둔 재판관들 평소보다 일찍 헌재 출근…최종 평의 돌입 랭크뉴스 2025.04.04
43589 '尹 탄핵심판 디데이' 여야 지도부 국회서 TV로 시청 랭크뉴스 2025.04.04
43588 尹 탄핵 주심 정형식, 가장 먼저 헌재 도착...선고 전 평의할 듯 랭크뉴스 2025.04.04
43587 [속보] 헌법재판관 8명 전원 출근 완료…오전 평의 예정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