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황희·이헌환 "박근혜 전 대통령보다 중대 위헌…전원일치나 7대1 인용 전망"
장영수·신봉기 "잘못 중대하지 않으면 파면은 못해…5대3 또는 4대4 나올 것"


(서울=연합뉴스) 김철선 전재훈 황윤기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두고 헌법재판소가 111일간의 장고 끝에 내놓을 결론에 관심이 쏠린다.

3일 연합뉴스 인터뷰에 응한 전문가들은 재판관 전원일치나 '7(인용)대 1(기각·각하)'로 인용될 것이라는 의견부터 '5대 3', '4대 4'로 소추가 기각되리라는 견해 등 다양한 전망을 내놓았다.

헌법학자들은 12·3 비상계엄을 둘러싼 일련의 과정에 헌법과 법률을 위반한 소지가 일부라도 있다는 점에는 대체로 공감했으나, 파면할 만큼 중대한 위반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윤 대통령 탄핵선고 D-1, 문 열리는 대심판정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의 문이 열리고 있다. 2025.4.3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박근혜보다 중대한 위헌·위법…전원일치 또는 7대 1 인용 전망" 견해
헌법에 따라 탄핵소추 인용, 즉 파면 결정에는 재판관 6인의 찬성이 필요하다. 현직 재판관 8명 중 6인 이상이 윤 대통령에게 파면을 정당화할 만큼의 중대한 잘못이 있다고 인정해야 인용 결정이 가능한 셈이다.

헌법연구관 출신 이황희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교수는 2017년 전원일치로 파면된 박근혜 전 대통령과 윤 대통령 사건을 비교할 경우 인용 전망이 뚜렷하다고 봤다.

이 교수는 "박 전 대통령 사건은 개인의 부패 사건이었고 이 사건은 국사범이 헌정질서를 훼손한 사건"이라며 "위헌성이나 중대성의 무게가 훨씬 무겁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면에서 박 전 대통령 때 8(인용)대 0(기각·각하)이었다면 이건 더더욱 8대 0이 나와야 하는 사건"이라며 "법률 위반 자체는 8명 중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교수는 "행정부는 입법부와 함께 삼권 중 하나인데 다른 부가 자기 뜻대로 안 움직인다는 이유로 국군을 이용한 것"이라며 "우리 헌법에서 가장 경계하고 하지 말라는 행위인데, 앞으로 반복되지 않게 하려면 명확하게 이런 것은 절대 하면 안 된다고 경각심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헌법재판연구원장을 지낸 이헌환 아주대 로스쿨 교수도 "8대 0일 가능성이 높고 한 명 정도 이탈해 7대 1 가능성도 있을 수 있다"며 "헌법 수호의 의지가 있느냐, 없느냐 부분에서 2차 계엄 등 여러 가지 자료가 확인됐기 때문에 반대(기각·각하) 의견을 도저히 쓸 수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용이 되는 게 현실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바람직하고 우리 국가의 미래 지향적인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며 "다시 나라를 40년 전으로 되돌릴 것이냐"고 되물었다.

헌재 결정에 일방이 승복하지 않을 수 있다는 논란에 대해서는 "승복하지 않는 제스처(몸짓)나 행위가 있을 때,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도 우리 사회의 역량"이라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선고 D-1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의 모습. 2025.4.3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잘못 중대하지 않으면 파면 못해…5대 3 또는 4대 4 기각할 것" 견해
일부 위헌·위법이 있더라도 이른바 '중대성 요건'을 넘지 못할 것이라며 기각 결정을 점치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재판관 3명 이상이 기각·각하 의견을 낼 경우 소추는 기각된다. 각하 결정을 하려면 국회의 탄핵소추 자체가 법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는 각하 의견을 낸 재판관이 4인 이상이어야 한다.

헌법 전공인 장영수 고려대 로스쿨 교수는 재판관 3∼4인이 기각 또는 각하 의견을 선택해 최종적으로 소추가 기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장 교수는 "매우 이례적으로 변론 종결된 이후 한 달이 지나도록 선고가 안 되는 상황이었다"고 지적하며 "마은혁 후보자의 임명 여부에 따라 6대 3이 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재판관들의 견해가 5대 3으로 엇갈린 상황에서 마 후보자의 합류를 기다렸으나 문형배·이미선 재판관의 퇴임일이 다가오면서 더는 기다릴 수 없다고 판단해 선고일을 지정했다는 해석이다.

장 교수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탄핵심판에서 재판관들의 의견이 팽팽히 엇갈린 점을 지적하며 "그 정도의 시각 차이가 열흘 사이 확 뒤집어지는 건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또 "한 총리의 경우도 위헌·위법은 있는데 중대성을 인정 못 한다는 게 다수 의견이었다"며 "위헌·위법이 명백해도 중대하지 않으면 파면하기엔 곤란하다고 되는 것"이라고 봤다.

헌법연구관 출신 신봉기 경북대 로스쿨 교수도 "비상계엄 선포가 법을 벗어난 건 분명히 맞다"면서도 "탄핵까지 할 정도로 중대하지 않고 비상계엄 목적도 경고 수준이고, 폭동이 없었고 재판부 구성도 팽팽하기 때문에 기각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보수 성향의 재판관 3인이 먼저 기각 의견을 밝히고 그 영향으로 나머지 재판관 1인이 추가로 기각 의견을 냈다면 4대 4로 기각 결정이 선고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대통령 탄핵 선고 D-2, 문 닫힌 심판정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2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의 문이 닫혀 있다. 2025.4.2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657 [2보] 헌재, 재판관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 랭크뉴스 2025.04.04
43656 [속보] 尹대통령 파면…헌재 전원일치 결정 랭크뉴스 2025.04.04
43655 윤갑근 "거대야당·종북좌파 때문에 비상대권 발동" 랭크뉴스 2025.04.04
43654 [속보] 헌재 "부정선거 의혹만으로 위기상황 발생했다 볼 수 없다" [尹탄핵심판 LIVE] 랭크뉴스 2025.04.04
43653 [속보] 헌재 “비상계엄 당시 계엄선포 심의 이뤄졌다 보기 어려워” 랭크뉴스 2025.04.04
43652 [속보] 헌재, 여인형·홍장원 “정치인 체포 목적” 사실로 인정 랭크뉴스 2025.04.04
43651 [속보] 헌재 "12·3 비상계엄, 헌법·계엄법상 선포 요건 위반" 랭크뉴스 2025.04.04
43650 [속보] 헌재 "비상계엄 선포 실체적 요건 위반" 랭크뉴스 2025.04.04
43649 [속보] 헌재 “당시 국회 상황, 국가긴급권 행사 정당화할 수 없어” 랭크뉴스 2025.04.04
43648 [속보] 헌재 "계엄선포는 사법심사 대상…헌법·법률 위반 심사 가능" 랭크뉴스 2025.04.04
43647 정청래 "윤석열, 헌법에 따라 8:0 만장일치로 파면돼야" 랭크뉴스 2025.04.04
43646 [속보] 헌법재판관 대심판정 입장…윤석열 탄핵심판 선고 시작 랭크뉴스 2025.04.04
43645 '8대 0' 단언한 野... "선고 불출석하는 尹, 파면 예감한 것" 랭크뉴스 2025.04.04
43644 밤새워 기다린 ‘윤석열 파면의 날’, 아침을 거리에서 맞이하는 사람들[현장 화보] 랭크뉴스 2025.04.04
43643 ‘선고 임박’ 헌재 인근 초긴장…방독면·저주인형까지 등장 랭크뉴스 2025.04.04
43642 尹측 윤갑근 "계엄은 대통령 헌법상 권한…현명한 판단 기대" 랭크뉴스 2025.04.04
43641 [속보] 군사법원,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 보석 허가 랭크뉴스 2025.04.04
43640 [속보]헌재 온 국민의힘 의원들 “100% 탄핵 기각을 확신한다” 랭크뉴스 2025.04.04
43639 '선고 임박' 헌재 인근…방독면·헬멧·저주인형까지 등장 랭크뉴스 2025.04.04
43638 "지금부터 선고를 시작하겠다"…곧 尹 정치적 운명 갈린다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