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칭타오항으로 입항하는 컨테이너선. AFP연합뉴스
중국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발표에 단호하게 반대한다면서 국익 보호를 위해 반격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후 2차례 추가관세를 부과했을 때도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높이는 등 보복조치를 내놨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3일 담화를 내고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는 국제무역규칙에 부합하지 않고 관련국의 정당하고 합법적인 권익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전형적인 일방적 괴롭힘”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대변인은 “미국은 주관적·일방적 평가를 바탕으로 상호관세를 도출했다”면서 “많은 무역 상대국이 강한 불만과 명확한 반대를 표명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중국은 미국에 일방적 관세 조치를 즉각 철회하고 무역 상대국과 평등한 대화를 통해 이견을 적절하게 해소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대변인은 또 “역사가 증명하듯이 관세 인상은 미국 자체의 문제를 해결한 적이 없고 미국 자신의 이익을 해칠 뿐 아니라 글로벌 경제 발전과 공급망 안정을 위협한다”며 “무역전쟁에는 승자가 없고 보호무역에는 퇴로가 없다”고 강조했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도 지난 1일 러시아 관영언론과 인터뷰에서 “중국은 강권과 패권을 용납한 적이 없다. 미국이 계속 압력을 가하고 위협한다면 반드시 단호하게 반격할 것”이라며 미국에 대한 보복 조치를 예고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무역 상대국들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발표하면서 중국에 대해 34%의 세율을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기존 관세 20%를 더하면 중국산 제품에는 총 54%의 관세가 적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발 800달러(약 117만원) 이하의 소액 소포에 대한 면세 혜택도 다음 달 2일부터 없앤다고 밝혔다. 중국산 초저가 상품으로 미국 소비자들을 공략해온 중국 전자상거래업체 테무와 쉬인 등이 직격탄을 맞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