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반도체는 대만·중국과 같은 상황
베트남 등 가전·스마트폰 생산지 상호 관세도 고심
지역별 인건비·물류비 등 시나리오 검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라는 행사를 열고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한국에 대해서는 25% 상호관세를 산정했다. 워싱턴=AP 뉴시스


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별 상호 관세를 발표하자 한국 전자 제조업체들은 제품 생산지별 이해 득실을 계산하느라 바빴다
. 국내뿐만 아니라 베트남, 태국, 멕시코 등에 생산 거점이 밀집한 가전, 스마트폰 등 일부 품목에서는 우리 기업들이 타격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정부가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뺀 반도체 산업은 한숨 돌렸다. 2024년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가 보스턴컨설팅그룹(BCG)과 낸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미국의 글로벌 반도체 생산 점유율은 10%, 한국 기업의 주력 제품인 D램 점유율은 3%에 그쳤다. 이런 상황에서
대만, 중국, 한국에 같은 수준의 관세가 붙으면 미국 내 반도체 가격만 상승할 것으로 예상
된다. 마이크론사가 반도체법으로 보조금을 받고 올해부터 아이다호에서 D램 추가 생산 시설을 가동할 계획이지만 SIA는 이 법이 계획대로 시행되면 2032년 미국의 글로벌 D램 점유율이 9%에 달할 거라고 봤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
유럽연합(EU) 등이 상호관세 조치에 미국을 향해 맞대응을 예고해 이 지역에서 마이크론의 물량이 감소할 것을 감안하면 큰 변화는 없을 것
"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관세 쇼크'에 전자 업계 '초긴장'

1일 부산항 신선대, 감만, 신감만 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 있다. 연합뉴스


문제는
상호관세의 직격탄을 맞게 된 가전, TV,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관련 업체
다. 곧바로
한국산 제품은 25% 관세를 떠안게 됐는데 우리 기업들이 인건비가 싼 베트남(상호관세 46%), 태국(36%), 중국(34%) 등으로 생산 시설 상당수를 옮긴 상태에서 이들 국가에 한국보다 더 큰 상호관세가 붙었다
.

삼성전자는
멕시코, 베트남 등에서 TV와 모니터, 네트워크 장비, 배터리 등을 만들고
특히
베트남에서 글로벌 스마트폰 생산량의 절반을 책임
진다.
LG전자는 베트남, 태국, 중국,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가는 수출 제품을 만들고
있다.

우리 기업들은 당분간 미국의 재고 판매로 대응하면서 △국가별 인건비 △현지 생산시설의 자동화 정도 △물류비 △경쟁사의 생산거점 지역 등을 따져 본 뒤 생산 설비를 옮길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경제지표 플랫폼 트레이딩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제조업 인건비는 미국이 시간당 28달러(2024년 10월 기준), 베트남과 태국이 월평균 각각 328.5달러(2024년 1분기), 422달러(2024년 3분기)로 미국이 약 13~17배 높다
. 애초
25% 관세부과가 예고됐다가 이번 상호관세 대상 국가에서 제외된 멕시코, 캐나다에 대한 미국의 태도 역시 변수
다.

조주완 LG전자 대표는 최근 "미국 테네시 공장에 냉장고, 오븐 등을 생산할 수 있도록 가건물을 올리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한국, 태국, 베트남에 (상호관세 적용 등) 문제가 생기면 (이 나라에서 생산한 미국 수출 물량을) 미국에서 생산하는 방안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문혁수 LG이노텍 대표는 1월 초 "미국 생산 비용이 워낙 높아 25% 관세를 매겨도 멕시코 생산비가 더 싸다"며 "멕시코 생산 시설에서 계속 경쟁력을 만드는 게 지금 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634 "최악만 막아라"…60일 대행 체제 '미션 임파서블 외교' 시작됐다 랭크뉴스 2025.04.06
44633 “파면 반대” 윤 지지자, 광화문 광장서 자해 소동 랭크뉴스 2025.04.06
44632 윤석열 안 나오고 뭐 하나…“문재인 전 대통령은 하루 전 내쫓더니” 랭크뉴스 2025.04.06
44631 막 오른 9000억원대 특수작전용 중형 헬기 사업…대한항공 vs KAI 수주 경쟁[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4.06
44630 [속보] 대구 산불 진화헬기 추락…“조종사 1명 사망” 랭크뉴스 2025.04.06
44629 '국민 후보'로 조기 대선 돌파... 2021년 오세훈·박형준 승리했다 랭크뉴스 2025.04.06
44628 [속보] 대구 산불 진화헬기 추락…조종사 1명 사망 랭크뉴스 2025.04.06
44627 [속보] 대구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 "조종사 1명 사망한 듯" 랭크뉴스 2025.04.06
44626 국회 “13일까지 외부인 출입 제한… 尹 파면 후 의원 신변보호” 랭크뉴스 2025.04.06
44625 전광훈 “국민저항권으로 윤석열 되찾자”···‘탄핵 승복’에 분열하는 극우 랭크뉴스 2025.04.06
44624 [속보] 대구 북구 산불 현장서 헬기 추락…70대 조종사 숨져 랭크뉴스 2025.04.06
44623 '尹 탄핵 찬성' 김상욱 조리돌림... 친윤 의원들 "너 나가" 랭크뉴스 2025.04.06
44622 [尹 파면 후 첫 설문] “정권 교체” 56%…보수 텃밭 PK도 우세 랭크뉴스 2025.04.06
44621 혁신당, 민주당에 ‘통합 경선’ 다시 제안… “압도적 정권교체해야” 랭크뉴스 2025.04.06
44620 트럼프 관세 발표 후 ‘주가상승’한 펭귄 밈···왜? 랭크뉴스 2025.04.06
44619 토허제 확대 지정 2주…서초·용산구 아파트 거래 신고 ‘0건’ 랭크뉴스 2025.04.06
44618 트럼프 ‘관세폭탄’에 펭귄들 항의 밈 폭발…“테슬라 불지르고 미국 나가” 랭크뉴스 2025.04.06
44617 민주 지도부·친명 "내란종식 우선"…우의장 개헌 제안 반대기류 랭크뉴스 2025.04.06
44616 대구 북구서 산불 진화헬기 1대 추락…조종사 1명 사망 랭크뉴스 2025.04.06
44615 [속보] 대구 북구 산불 현장서 진화 헬기 추락…조종사 사망 랭크뉴스 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