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반도체는 대만·중국과 같은 상황
베트남 등 가전·스마트폰 생산지 상호 관세도 고심
지역별 인건비·물류비 등 시나리오 검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라는 행사를 열고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한국에 대해서는 25% 상호관세를 산정했다. 워싱턴=AP 뉴시스


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별 상호 관세를 발표하자 한국 전자 제조업체들은 제품 생산지별 이해 득실을 계산하느라 바빴다
. 국내뿐만 아니라 베트남, 태국, 멕시코 등에 생산 거점이 밀집한 가전, 스마트폰 등 일부 품목에서는 우리 기업들이 타격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정부가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뺀 반도체 산업은 한숨 돌렸다. 2024년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가 보스턴컨설팅그룹(BCG)과 낸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미국의 글로벌 반도체 생산 점유율은 10%, 한국 기업의 주력 제품인 D램 점유율은 3%에 그쳤다. 이런 상황에서
대만, 중국, 한국에 같은 수준의 관세가 붙으면 미국 내 반도체 가격만 상승할 것으로 예상
된다. 마이크론사가 반도체법으로 보조금을 받고 올해부터 아이다호에서 D램 추가 생산 시설을 가동할 계획이지만 SIA는 이 법이 계획대로 시행되면 2032년 미국의 글로벌 D램 점유율이 9%에 달할 거라고 봤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
유럽연합(EU) 등이 상호관세 조치에 미국을 향해 맞대응을 예고해 이 지역에서 마이크론의 물량이 감소할 것을 감안하면 큰 변화는 없을 것
"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관세 쇼크'에 전자 업계 '초긴장'

1일 부산항 신선대, 감만, 신감만 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 있다. 연합뉴스


문제는
상호관세의 직격탄을 맞게 된 가전, TV,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관련 업체
다. 곧바로
한국산 제품은 25% 관세를 떠안게 됐는데 우리 기업들이 인건비가 싼 베트남(상호관세 46%), 태국(36%), 중국(34%) 등으로 생산 시설 상당수를 옮긴 상태에서 이들 국가에 한국보다 더 큰 상호관세가 붙었다
.

삼성전자는
멕시코, 베트남 등에서 TV와 모니터, 네트워크 장비, 배터리 등을 만들고
특히
베트남에서 글로벌 스마트폰 생산량의 절반을 책임
진다.
LG전자는 베트남, 태국, 중국,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가는 수출 제품을 만들고
있다.

우리 기업들은 당분간 미국의 재고 판매로 대응하면서 △국가별 인건비 △현지 생산시설의 자동화 정도 △물류비 △경쟁사의 생산거점 지역 등을 따져 본 뒤 생산 설비를 옮길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경제지표 플랫폼 트레이딩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제조업 인건비는 미국이 시간당 28달러(2024년 10월 기준), 베트남과 태국이 월평균 각각 328.5달러(2024년 1분기), 422달러(2024년 3분기)로 미국이 약 13~17배 높다
. 애초
25% 관세부과가 예고됐다가 이번 상호관세 대상 국가에서 제외된 멕시코, 캐나다에 대한 미국의 태도 역시 변수
다.

조주완 LG전자 대표는 최근 "미국 테네시 공장에 냉장고, 오븐 등을 생산할 수 있도록 가건물을 올리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한국, 태국, 베트남에 (상호관세 적용 등) 문제가 생기면 (이 나라에서 생산한 미국 수출 물량을) 미국에서 생산하는 방안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문혁수 LG이노텍 대표는 1월 초 "미국 생산 비용이 워낙 높아 25% 관세를 매겨도 멕시코 생산비가 더 싸다"며 "멕시코 생산 시설에서 계속 경쟁력을 만드는 게 지금 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688 [尹탄핵] '중대한 위헌' 판단 근거는…"협치로 해결않고 국가긴급권 남용"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87 [단독]기재부·외교부 등 정부 부처, 尹 손절…SNS '언팔'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86 '尹 파면' 중국 실시간 검색어 1위...'차기 대선 주자' 주목한 NYT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85 韓 권한대행 “차기 대선, 중요한 국민 통합 계기… 투명한 관리 필요”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84 [尹파면] "尹 주장 믿기 어렵다"…헌재 곽종근·홍장원 믿은 이유는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83 14일까지 대선 날짜 정해야…유력한 선거일은 '6월 3일'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82 헌재, 국회·야당도 꾸짖었다…"8인 전원일치 타협의 결과인 듯"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81 [속보] 대통령실, 고위 참모 전원 사의 표명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80 전한길 “참 당황스럽다”…책상 ‘쾅’ 내리치고 기도하더니 한숨 ‘푹’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79 ‘480억 횡령·배임’ 백현동 개발업자 1심서 징역 2년·집유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78 [속보] 우원식 "어느 한쪽 아닌 민주주의 승리... 정치권 분열 행위 중단하자"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77 [속보] 정진석 비서실장 등 대통령실 고위 참모진 일괄 사의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76 “이보다 더 완벽할 순 없다” “명문”…헌재 선고 요지 칭찬 릴레이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75 “이 XXX!” 윤 지지자들 격분…경찰버스 파손·눈물바다 [현장영상]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74 [속보] 민주, 최상목 탄핵안 법사위로… 본회의 표결 안 한다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73 “사진 내렸다” 軍, 각 부대 걸려 있던 尹사진 철거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72 [속보] ‘480억 횡령·배임’ 백현동 개발업자 1심서 집유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71 우원식 의장 “헌재 결정, 어느 한쪽의 승리 아냐…헌법과 민주주의의 승리”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70 [속보]野, 최상목 탄핵안 오늘 표결 안해…법사위로 회부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69 국민의힘, 6일 의총 열고 ‘조기 대선’ 대응 논의키로 new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