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국산 쌀 13만 2304t에 5% 관세 부과
WTO 체제 국가 간 협상으로 할당량 배분
쌀 수입 할당량·관세 조정은 다자협상 벌여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상호관세 발표 행사에서 국가별 상호관세 표를 들고 설명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서울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국가별 상호 관세를 발표하며 실제 현실과 거리가 있는 주장들을 반복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산 쌀에 513%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한국의 미국산 쌀 수입을 둘러싼 현황을 팩트체크 형식으로 알아봤다.

◇韓, 미국산 쌀 13만 2304t에 대해 5% 관세 부과


한국은 미국산 쌀 수입 시 13만 2304톤(t)에 대해서는 5%의 관세를 부과하고, 이 물량을 초과하는 경우 513%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국내 민감 품목인 쌀에 대해서는 저율관세할당물량(TRQ)을 정해두고 낮은 관세를 부과하되, TRQ 물량을 벗어나면 513%의 관세를 부과한다. 사실상 정해진 양 만큼만 수입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은 이처럼 주요 5개국에 국가별 할당량을 정해놓았다. 한국의 수입산 쌀 의무 수입 물량은 40만 8700t이다. 이 물량 내에서 미국과 중국 등 주요 5대 쌀 수출국에 38만 8700t을 배분하고 있다. 국가별 쿼터는 △중국 15만 7195t △미국 13만 2304t △베트남 5만 5112t △태국 2만 8494t △호주 1만 5595t 순이다.

◇할당량·관세 조정 위해서는 다자협상 필요


국가별 수입 할당량과 관세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협상에 참여한 국가들 간의 다자 협상이 필요하다. 한국은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면서 농산물을 관세화했지만, 쌀에 대해서는 두 차례(1995~2004년, 2005~2014년) 관세를 유예하고 TRQ 물량에 대해 5% 저율 관세로 수입을 허용했다. 2014년 유예기간이 종료되면서 5개국과 5년 간의 협상을 통해 다시 원안대로 협상이 종료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미국이 513%의 관세를 문제 삼는다면 사실상 한국 뿐만 아니라 관련된 모든 국가들을 상대로 문제 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산 쌀 외 다른 곡류는 무관세


한국은 미국산 밀, 옥수수, 대두 등 다른 곡류를 상당량 무관세로 수입하고 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농산물의 관세가 0%이기 때문이다.

특히 호주와 미국은 한국의 밀 수입량 1·2위 국가다. 관세청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호주산 밀 수입량은 235만 t, 미국산 밀은 120만 t을 기록했다. 2023년 미국산 옥수수 수입량은 190만 t에 달한다.

한국이 수입하는 미국산 쌀의 주 생산지는 캘리포니아다. 다만 2022년에는 미국 내 쌀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할당 물량에 미달하는 양을 한국에 수출하기도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발표된 내용에 기반해 미국의 입장이 정확하게 뭔지 파악하는 게 우선”이라며 “국내 산업에 피해가 가지 않게, 검역의 경우에는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우선시해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750 ‘파면’ 윤석열, 승복도 사과도 없었다···김건희와 관저 떠날 시기 불투명 랭크뉴스 2025.04.04
43749 [尹파면] 尹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너무나 안타깝고 죄송" 랭크뉴스 2025.04.04
43748 ‘끄집어내라’ 곽종근 증언 인정…“나라에 봉사한 군인들이 시민과 대치하게 해”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4
43747 "기각될끼라" 외친 대구 서문시장 한숨…동성로선 환호 터졌다 랭크뉴스 2025.04.04
43746 [尹파면] 이번에도 '장미대선'…선거일 6월 3일 유력 랭크뉴스 2025.04.04
43745 ‘집권당 지위 상실’ 국민의힘 ‘침통’… 일각선 “찬탄파와 같이 못 앉겠다” 랭크뉴스 2025.04.04
43744 韓대행, 선거 관리 착수…늦어도 14일에는 대선일 지정해야 랭크뉴스 2025.04.04
43743 대통령 파면에 샴페인 터트린 시민들…윤 지지자들은 울며 귀가[윤석열 파면] 랭크뉴스 2025.04.04
43742 尹 “기대 부응 못해 안타깝고 죄송... 국민 위해 늘 기도” 랭크뉴스 2025.04.04
43741 '자연인 윤석열' 연금·현충원 안장 등 예우 박탈…경호는 유지 랭크뉴스 2025.04.04
43740 [尹파면] 전광훈 측 "부당한 결정…시민불복종 투쟁 전개" 랭크뉴스 2025.04.04
43739 [속보]윤석열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안타깝고 죄송”…끝까지 지지자만 봤다 랭크뉴스 2025.04.04
43738 [尹파면] 비상계엄 둘러싼 의혹 대부분 사실로…尹측 헌재서 '완패' 랭크뉴스 2025.04.04
43737 [속보] 윤 전 대통령 “기대에 부응 못해 너무나 안타깝고 죄송” 메시지 공개 랭크뉴스 2025.04.04
43736 尹관저 인근 한강진역 정상운행…안국역은 여전히 폐쇄 랭크뉴스 2025.04.04
43735 [영상] 윤석열 전원일치 파면…헌재 “주권자 대한국민 신임 중대히 배반” 랭크뉴스 2025.04.04
43734 윤석열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안타깝고 죄송”…끝까지 지지자만 봤다 랭크뉴스 2025.04.04
43733 [속보] 尹, 파면 후 첫 메시지 "기대에 부응 못해 죄송" 랭크뉴스 2025.04.04
43732 [속보]韓대행, 선거 관리 착수…늦어도 14일에는 대선일 지정해야 랭크뉴스 2025.04.04
43731 [尹파면] 4개월간 '고심에 고심' 헌재…결국 대통령 파면으로 결론(종합)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