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이 폭스뉴스와 인터뷰하는 모습. 폭스뉴스 갈무리
“보복하지 말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2일(현지시각) 상호관세 발표 뒤 무역 상대국들에 경고했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이날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각각 “모든 국가에 대한 내 조언은 보복하지 말하는 것”이라며 “앉아서 받아들이고 어떻게 상황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보자”고 말했다. 그는 “만약 보복 조처를 한다면 상황은 악화할 것이지만 보복하지 않으면 이게 최고점”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날 시엔엔과 인터뷰에서도 같은 발언을 이어갔다. 그는 “앉아서 심호흡하고 즉시 반격하지 말라”며 “상황이 어디로 가는지 보자. 보복하는 게 상황을 악화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시엔엔 기자가 ‘보복하면 무역 전쟁이 된다는 말인지’를 묻자 베센트 장관은 “무역전쟁은 국가에 따라 다르다 (…) 흑자국은 전통적으로 항상 어떤 종류의 무역 (분쟁) 확대에도 패배해왔다 (…) 난 그것에 반대 조언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부과한 상호관세를 순순히 받아들이면 지금 발표한 관세율을 유지하겠지만, 미국에 대한 보복 조처에 나설 경우 기존 발표보다 더 높은 관세 등을 물릴 수 있다는 의미다.
실제 백악관이 이날 발표한 상호관세 규제 문건을 보면 “이러한 조처에 대해 무역 파트너가 미국 수출품에 대한 수입 관세 또는 기타 조처를 통해 미국에 대한 보복을 취할 경우, 나(트럼프)는 이 명령에 따라 부과된 의무의 범위를 늘리거나 확장해 이 조처의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추가로 ‘조화로운 미국 관세표’(HTSUS)를 수정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앞서 중국과 캐나다, 유럽연합은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에 보복 관세를 발표했다. 중국은 미 농식품에 10~15%의 관세를 부과하고 주요 광물에 대한 수출 통제를 시작했다. 캐나다도 210억달러어치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1차 보복 관세를 발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