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폴란드 정부서 추가 조건 요구
현지 생산 방식으로 합의 임박

[서울경제]

9조 원에 달하는 K2 흑표 전차의 폴란드 2차 수출 계약이 차질을 빚으면서 4월을 넘어 빨라야 5월쯤 체결될 것으로 3일 전해졌다.

정부 관계자는 “K2 전차 폴란드 2차 수출 계약이 예상했던 4월 체결은 물리적으로 어려워졌다”며 “폴란드에서 현지 생산 관련 몇 가지 새로운 조건 협상을 요청해 현대로템 경영진이 현지에 날아가 다시 협상 중으로 빨라야 5월 초 전후 정도로 체결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이용배 현대로템 사장이 현재 폴란드를 방문해 현지 국영 방산 그룹 PGZ와 추가 협상을 진행 중에 있다.

K2 전차 폴란드 2차 수출 계약 규모는 당초 예상대로 2022년 8월에 체결된 1차 계약 때와 마찬가지로 180대로, 금액으로는 60억 달러대(약 8조 7000억 원)로 알려졌다.

당초 2차 수출 계약은 지난해 성사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폴란드 내부 사정과 12·3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지연됐다.

방산업계 한 관계자는 “폴란드 정부가 추가 조건을 요구해 K2 전차 폴란드 2차 수출 계약이 예상됐던 4월은 힘들고 이르면 5월쯤 체결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폴란드 현지 사정에 맞게 개량된 폴란드형 K2 전차 ‘K2PL’ 대수를 줄이고 폴란드 수출 버전인 K2 전차 ‘K2GF(일명 Gap Filler·갭필러)’ 물량을 늘려 계약 규모를 70억 달러에서 60억 달러 규모로 조정하는 계약을 최종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

폴란드는 2차 계약으로 K2 전차 180대를 '직접 구입·현지 생산' 병행 방식으로 구매하는 방안을 추진해왔다. 그런데 현지 생산을 담당할 폴란드 공기업과 폴란드 정부 사이에 납품 가격 및 납기를 놓고 이견이 있어 계약 체결이 늦어지다가 최근 양측이 거의 합의에 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과정에서 폴란드형 K2 전차 ‘K2PL’ 대수를 줄이고 현대로템이 직접 생산해서 납품하는 폴란드 수출 버전인 K2 전차 ‘K2GF’ 물량이 크게 늘어나게 됐다.

아울러 폴란드 측은 2차 계약이 체결될 때 한국 국방부 장관이 자국을 방문해 관련 행사에 참석하기를 희망했지만, 비상계엄 사태로 국방부가 김선호 차관의 장관 대행 체제로 운영되면서 폴란드 측의 요구에 부응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우리 정부는 이번 계약의 조속한 체결을 위해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지난 3월 5일 폴란드를 찾아 라도스와프 시코르스키 폴란드 외교부 장관과 회담을 갖고 K2 전차 2차 이행계약이 조속히 체결되도록 가능한 모든 지원을 하기로 합의했다. 조 장관의 폴란드 방문에는 방위사업청 대표단도 동행했다.

폴란드와의 초대형 무기 수출 관련 기본계약은 2022년 7월에 체결됐다.

같은 해 8월 총 124억 달러(약 18조 원) 규모의 1차 계약 서명이 우선 이뤄졌다. 1차 계약에는 K2 전차 180대, K-9 자주포 212문, FA-50 경공격기 48대 등의 공급 계획이 담겼다.

이후 2023년 12월부터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9 자주포 152문을 시작으로 2차 계약 차원의 개별 계약이 순차적으로 진행돼 왔다. 이번에 2차 수출 계약 중 가장 규모가 클 것으로 기대되는 K2 전차 수출 계약이 최종 성사되면 폴란드와의 방산 협력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316 콧줄 꽂고 누워 있기 싫어, 유언장을 쓴다 [.txt] 랭크뉴스 2025.04.05
44315 尹, 관저서 나경원 만나…“어려운 시기에 역할 고맙다” 랭크뉴스 2025.04.05
44314 지칠 때 오세요…산골짜기 망경산사 랭크뉴스 2025.04.05
44313 다시 광화문으로 "파면은 끝 아닌 시작‥내란 세력 처벌해야" 랭크뉴스 2025.04.05
44312 서울경찰 ‘을호비상’ 해제…‘경계강화’로 하향 조정 랭크뉴스 2025.04.05
44311 48명 살해한 러 '체스판 살인마' "추가 11건 자백 준비" 랭크뉴스 2025.04.05
44310 탄핵 뒤 첫 광화문 집회 시민들 “윤 파면 기쁘지만, 끝이 아닌 시작” 한목소리 랭크뉴스 2025.04.05
44309 외신이 지적한 향후 과제는 '통합'… "대통령 떠났지만 더 큰 분열 남았다" 랭크뉴스 2025.04.05
44308 “대통령 파면하는 게 민주주의냐” 김문수, 대선 출마 시사 랭크뉴스 2025.04.05
44307 "트럼프 불신하는 독일, 뉴욕 보관 중인 1200t 금괴 인출 검토" 랭크뉴스 2025.04.05
44306 대통령 탄핵 뒤 첫 광화문 집회…시민들 “끝이 아닌 시작” 한목소리 랭크뉴스 2025.04.05
44305 골리앗 이긴 다윗...성심당, '빵'으로 CJ 눌렀다 랭크뉴스 2025.04.05
44304 尹 파면 후 첫 여론조사… 68.6% "선거 국면에서 자숙해야" [리서치뷰] 랭크뉴스 2025.04.05
44303 “민주주의 승리” “사기 탄핵”…윤 파면 후 주말 집회 랭크뉴스 2025.04.05
44302 퇴거 안 한 윤석열, 관저에서 나경원과 차담…무슨 얘기 나눴나? 랭크뉴스 2025.04.05
44301 "트럼프, 완전히 미쳤다"... '노벨경제학상' 크루그먼의 맹비난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05
44300 서울경찰 ‘을호비상’ 해제 ‘경계강화’로 하향 랭크뉴스 2025.04.05
44299 尹 파면 후 첫 조사… 10명 중 7명 “대선서 자숙하라” 랭크뉴스 2025.04.05
44298 윤석열 흔적 지워라...대통령실 홈페이지도 멈췄다 랭크뉴스 2025.04.05
44297 '파면 소회' 차고 넘칠텐데‥문 대행이 남긴 '두 문장' 랭크뉴스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