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부산·경남, 충청서 민주당 등 야권 승
국민의힘, ‘보수 텃밭’ 김천만 사수
혁신당은 담양군수…지자체장 첫 배출
4·2 재보궐선거가 치러진 2일 서울 구로구 구로제4동 주민센터에서 한 시민이 투표함에 투표용지를 넣고 있다. 한수빈 기자


4·2 재보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 후보들이 대거 당선됐다. 보수 성향이 강한 부산과 경남뿐 아니라 민심의 가늠자로 불리는 충청권에서도 야권 후보가 국민의힘 후보를 큰 표 차이로 앞섰다. 오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현 정부에 비판적인 민심이 드러났다는 평가가 나온다.

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부산시교육감 재선거에서는 진보 성향의 김석준 후보가 보수 성향의 친윤석열(친윤)계 후보인 정승윤 후보를 큰 표 차이로 누르고 당선됐다.

김 당선인은 전날 치러진 부산시교육감 재선거에서 51.13%를 득표했다. 정승윤 후보(40.19%)와는 11%포인트 차이가 났다.

검사 출신인 정 후보는 윤 대통령 대선 캠프를 거쳐 현 정부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낸 대표적인 친윤계 인사다. 정 후보는 윤 대통령 지지 시위를 한 탄핵 반대론자이기도 하다. 보수 성향이 강한 부산에서 탄핵 반대 진영의 결집을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탄핵 찬성을 주장한 김 후보에게 큰 표차로 밀린 것이다. 윤 대통령 탄핵에 대한 긍정 여론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보수세가 강한 경남 거제시장 재선거에서도 민주당 후보가 당선됐다. 변광용 민주당 후보는 56.75%를 득표해 박환기 국민의힘 후보(38.12%)를 큰 표 차이로 앞섰다. 변 후보는 2018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는 처음 거제시장에 당선됐다.

각종 선거 때마다 민심의 가늠자로 불리는 충청권에서도 민주당 후보가 당선됐다. 충남 아산시장 재선거에서 오세현 민주당 후보는 57.52%를 득표해 당선됐다. 전만권 국민의힘 후보는 39.92% 득표에 그쳤다.

야당끼리 맞붙은 곳에서도 이변이 있었다. 조국혁신당이 전통적으로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전남 담양에서 치러진 담양군수 재선거에서 첫 기초자치단체장을 배출했다. 혁신당 소속 정철원 당선인은 51.82% 득표율로 문재인 정부 청와대 행정관 출신인 이재종 민주당 후보(48.17%)를 누르고 담양군수가 됐다. 정 당선인은 무소속으로 담양군의회 의원에 세 번이나 당선될 만큼 지역에서 잔뼈가 굵은 인물이다.

혁신당은 호남에서 첫 자치단체장을 배출하는 의미있는 성과를 거뒀다. 윤재관 혁신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전남 담양군의 발전을 위해 일할 기회를 주신 군민에게 고개 숙여 감사드린다”며 “정 당선인이 무거운 책임을 느끼고 지방자치 현장에서 실력으로 보답할 수 있도록 혁신당이 함께 뛰고 또 뛰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으로서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이번 선거에서 유일하게 직접 방문해 지지 유세를 벌인 곳에서 패한 셈이 됐다. 당시 이 대표는 “이번 (담양) 선거는 민주당에게 내란 사태를 극복하고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가라고 신호를 주는 것”이라고 지지를 호소했다.

서울 구로구청장 재선거에서는 장인홍 민주당 후보가 56.03%로 당선됐다. 국민의힘은 구로구청장 선거에 후보를 내지 않았다. 극우 성향의 이강산 자유통일당 후보가 32.03%를 득표한 것이 눈에 띈다. 보수 성향 유권자들이 보수 유일 후보임을 강조한 그에게 표를 몰아준 것으로 보인다. 서상범 혁신당 후보는 7.36% 득표에 그쳤다.

국민의힘은 5곳에서 치러진 자치단체장 재선거에서 경북 김천 1곳에서만 승리했다. 배낙호 국민의힘 후보가 51.86%를 득표해 김천시장에 당선됐다. 황태성 민주당 후보는 17.46%를 득표했다.

이번 재보궐 선거는 국회의원이나 광역단체장 선거가 없는 작은 선거였다. 탄핵 정국으로 여야 모두 활발하게 선거 운동을 하지 않았다. 최종 투표율은 26.27%였다. 전체 유권자 462만908명 중 121만3772명이 투표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71 헌재가 부른 ‘유일한 증인’…조성현 발언 어떻게 판단할까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04
48470 미 주가 폭락, 5년 만에 최악 하루…트럼프 “호황 누릴 것” 랭크뉴스 2025.04.04
48469 불법 계엄 마침표... 민주주의와 법치 회복의 날 돼야 랭크뉴스 2025.04.04
48468 72년 혈맹서 '최악 침해국' 된 한국…美 FTA국 최고 세율 [view] 랭크뉴스 2025.04.04
48467 트럼프, 자동차 관세 발효되자마자 "반도체 관세 아주 곧 시작" 랭크뉴스 2025.04.04
48466 여야 희망사항을 예측처럼 주장했다…지라시만 남은 세 달 랭크뉴스 2025.04.04
48465 美, 한국 상호관세율 25% 확정… 트럼프 발표대로 행정명령 수정 랭크뉴스 2025.04.04
48464 선고 당일 긴장감 최고조…전국 경찰 ‘갑호비상’ 발령 랭크뉴스 2025.04.04
48463 헌재, 오전 11시 윤석열 탄핵심판 선고…9시30분 마지막 평의 랭크뉴스 2025.04.04
48462 "직원 6명 관뒀는데…" 헌재 앞 상인들 '좌표찍기'까지 당한다 랭크뉴스 2025.04.04
48461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 파면' 전국서 손글씨 '주문' 릴레이 랭크뉴스 2025.04.04
48460 상호 관세 폭탄에 미국 증시도 역대급 폭락 랭크뉴스 2025.04.04
48459 [금융포커스] 은행원 옥순·광수 나온다… 국민·하나·우리 뭉쳐 ‘나는 솔로’ 기획 랭크뉴스 2025.04.04
48458 “호수 위 달그림자” “계엄령은 계몽령” 헌재 달군 말말말 랭크뉴스 2025.04.04
48457 뉴욕증시, 美상호관세 충격 ‘패닉 셀’…나스닥 6% 폭락 랭크뉴스 2025.04.04
48456 저가 커피 브랜드도 인상했는데… 가격 역주행하는 이 커피는? 랭크뉴스 2025.04.04
48455 ‘돈벌이’ 나선 정치 유튜버들…3달간 후원금 살펴보니 랭크뉴스 2025.04.04
48454 [르포] 트라우마가 된 ‘그날’… “가만 있어도 땅 흔들리는 느낌” 랭크뉴스 2025.04.04
48453 [尹탄핵심판 LIVE] '운명의 날'…오늘 오전 11시 윤석열 탄핵 선고 랭크뉴스 2025.04.04
48452 김빛내리, 세계 최초로 mRNA 백신 핵심물질 찾았다 [팩플]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