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①윤 대통령은 전에도 말을 바꿨다
②그는 계엄이 정당했다는 입장을 거두지 않았다
③쿠데타는 한 번에 그친 사례가 드물다

편집자주

36.5℃는 한국일보 중견 기자들이 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게, 사람의 온기로 써 내려가는 세상 이야기입니다.
지난해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반국가 세력을 척결하겠다며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탄핵심판 선고를 앞둔 윤석열 대통령은 “2차 계엄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러니 믿고 복귀시켜 달라는 뜻이다. 하지만 믿기 어렵다. 다음 세 가지 이유 때문이다.

①윤 대통령은 전에도 말을 바꿨다.
절박할 때와 아닐 때 말이 달라졌다. 비상계엄 해제 사흘 뒤인 작년 12월 7일, 국회 1차 탄핵소추 표결을 앞두고 윤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를 통해 "저의 임기를 포함해 앞으로 정국 안정 방안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여당은 표결 불참으로 탄핵을 막아줬지만 이후 윤 대통령 태도는 180도 달라졌다. 당 지도부가 제시한 2, 3월 하야 방안을 걷어찼다. 전후 사정을 잘 아는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저서에서 "대통령은 처음부터 조기 퇴진할 생각이 없었거나, 아니면 며칠 만에 생각을 바꾼 것"이라고 평했다. 윤 대통령은 지금 절박하다. 하지만 복귀 후에도 같은 마음일까.

1차 계엄도 그 전에는 잡아뗐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작년 9월 장관 후보자였을 때 "계엄을 하면 어떤 국민이 용납하겠냐"며 성을 냈고, 정혜전 대통령실 대변인도 "저희 머릿속에는 계엄이 없다"고 펄쩍 뛰었다. 그러나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 등은 적어도 작년 3월부터 계엄을 논의했다고 검찰은 판단했다.

지난해 12월 4일 새벽 국회 본청에 진입한 군 병력이 국민의힘 당대표실 쪽에서 본회의장으로 진입하려 하자, 국회 직원들이 소화기를 뿌리며 진입을 막고 있다. 연합뉴스


②그는 계엄이 정당했다는 입장을 거두지 않았다.
헌재 최후 진술에서도 "비상계엄은 범죄가 아니고 국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합법적 권한 행사"라고 했다. 계엄 발동 이유로는 '거대 야당의 반국가적 패악'과 '국민 계몽'을 꼽았다. 대통령 복귀 이후 야당이 갑자기 고분고분해지지는 않을 것이다. '계몽되지 않은' 시민들의 대통령 퇴진 시위도 이어질 것이다. 그러면 윤 대통령 기준 계엄 발동의 요건은 갖춰지는 셈이다. 유권자는 그의 인내심이 한계를 넘지 않기만을 초조하게 지켜보는 수밖에 없다.

③군을 동원해 집권 세력의 권력을 강화하거나 빼앗는 친위 쿠데타 또는 쿠데타는 한 번에 그친 사례가 드물다.
극도의 정국 불안을 초래하고 집권 세력의 민주적 정통성을 떨어뜨려 또 다른 쿠데타를 부르기 때문이다. 실제 미국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 대학 클라인센터 집계에 따르면 1945년부터 2024년까지 쿠데타(모의, 시도 포함)가 있었던 나라 140곳 중 쿠데타가 한 번만 벌어진 곳은 15%(21곳)에 불과했다. 잦은 쿠데타의 결말은 참혹하다. 볼리비아, 수단, 아이티,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등 쿠데타가 잦았던 나라의 명단만 봐도 알 수 있다.

2차 계엄은 없다는 권력자의 선의에 기대기에 인간은 변덕스럽고 위험 부담은 너무 크다. 추가 계엄의 여지는 시스템으로 틀어막아야 한다. 그래서 공직자 탄핵이란 제도가 있는 것이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826 권영세 "탄핵 막지 못해 책임 느껴‥내 거취 포함해 논의해달라" 랭크뉴스 2025.04.04
43825 이승환 "나도 살고 나라도 산 날"…JK김동욱 "韓, 더 빨리 망할 듯" 랭크뉴스 2025.04.04
43824 尹 파면에 전한길, 바닥 내리치며 ‘침통’… JK김동욱도 “대한민국 붕괴 빨라져” 랭크뉴스 2025.04.04
43823 이준석 “국힘, 국가 위기에 우왕좌왕… 이재명은 구시대 정치인” 랭크뉴스 2025.04.04
43822 태극기 두르고 “우리에겐 트럼프가”…윤석열 파면에 지지자들 곡소리 랭크뉴스 2025.04.04
43821 ‘국민께 죄송합니다’…국민의힘 전국 현수막 교체 랭크뉴스 2025.04.04
43820 尹 파면으로 내란죄 재판 속도낼 듯… 유죄 인정되면 사형·무기징역 랭크뉴스 2025.04.04
43819 과태료 맞고도 버틴 '尹파면' 현수막…그 자리 걸린 새 현수막 보니 랭크뉴스 2025.04.04
43818 조국 "개소리 더는 안 듣게 돼…尹, 전두환처럼 심판 받아야" 랭크뉴스 2025.04.04
43817 주택시장 조기 대선까지 다시 숨고르기…“시장 관망세 이어질 것” 랭크뉴스 2025.04.04
43816 '죽비처럼' 파면한 헌재 결정문‥22분 내내 '尹 질타'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04
43815 [속보] 헌재 주변 지하철 안국역 폐쇄 종료‥우회 버스도 정상운영 랭크뉴스 2025.04.04
43814 尹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죄송···국민 위해 늘 기도할 것" 랭크뉴스 2025.04.04
43813 “이제 여기로 몰려오나”…‘파면’ 윤석열 사저 아크로비스타 주민들 ‘한숨’ 랭크뉴스 2025.04.04
43812 '경고성 계엄' 주장 자충수…"질서유지 목적 아닌 것 알수있어"(종합) 랭크뉴스 2025.04.04
43811 [속보] 헌재 인근 안국역, 24시간 만에 지하철 운행 재개… 車도 다시 통행 랭크뉴스 2025.04.04
43810 [속보] 경찰, 18시부터 '갑호비상' 해제‥지하철 안국역 정상운행 랭크뉴스 2025.04.04
43809 [단독] 김기현 "우린 폐족", 나경원 "尹 지키러 나간 것 아냐"... 친윤 중진들 태세전환 랭크뉴스 2025.04.04
43808 1000만 투자자 살린다더니… 자본시장에 상처 내고 떠나게 된 尹 랭크뉴스 2025.04.04
43807 홍장원 “조선 때도 나라 지킨 건 의병들…이런 나라, 자부심 가질 만”[인터뷰]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