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NH투자증권의 투자가 뒤늦게 논란이 되고 있다.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에서 영풍 및 사모펀드 MBK 연합과 손을 잡은 것을 놓고, MBK가 투자한 홈플러스의 법정관리 사태의 피해자인 농민과 연결시켜 비판하는 논리가 등장한 것이다.

두개의 사안은 별개다. 하지만 이를 연결시켜 비판함으로써 NH의 도덕성에 흠집을 내고, MBK를 고립시키기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아울러 자본시장에 대한 무지가 깔려 있는 비판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사건은 지난해 9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NH투자증권은 영풍그룹과 MBK의 고려아연 공개매수를 주관하며 1조1100억 규모의 자금을 빌려줬다. 정치권에서는 "NH투자증권이 투기자본과 결탁해 고려아연 경영권 탈취를 돕는다"는 비판이 나왔다.

그때까지만 해도 MBK가 '토종 사모펀드'의 대표주자 소리를 들을 때였고, 고려아연 경영진의 경영실책도 만만치 않아 크게 논란이 되지 않았다. 대형 딜에 대형 증권사가 참여한 것은 자연스런 일이었다. NH투자증권은 이 자금을 빌려주고 높은 수익을 챙기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비판에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왔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IB 비즈니스는 네트워크와 타이밍이 생명인데, 이런 이유로 투자를 못하고 저런 이유로 투자를 못하다 보면 나중에 왜 그것밖에 이익을 내지 못하냐고 욕먹는 게 이 바닥의 생리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홈플러스의 법정관리였다. 홈플러스가 법정관리에 들어간 것은 MBK의 무책임한 경영방식 때문이라는 게 중론이다. “회생을 위한 최대한의 노력은 기울이지 않고, 살점만 도려내 먹고 나머지는 버리는 전형적인 약탈형 사모펀드의 모습을 보였다”는 비판도 가해졌다. 여기에 최근 김병주 회장이 투자자 서한에서 "언론에 약간의 잡음을 일으켰다"고 밝혀 더욱 큰 원성을 샀다.

이는 MBK의 행태에 대한 비판이면 충분한 일이었다. 하지만 일부에선 홈플러스의 납품 대금 정산 지연으로 일선 농협, 영농조합, 유가공조합 등 농축산업계 전반에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며 NH투자증권을 끌어들였다. 일부에서 “농업인을 위한 금융”을 표방하는 NH투자증권이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선 MBK의 차입매수를 지원한 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금융권은 이 같은 주장을 자본시장 구조에 대한 몰이해로 보고 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고려아연 건에 자금을 댔다고 NH를 비난하는 건, 예전에 다른 회사에 대출해줬다는 이유로 지금의 피해까지 책임지라는 말과 같다”며 “이런 논리라면 어느 금융사도 정상적인 자금 공급을 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금융사의 수익 구조는 단순하다. 기업에 자금을 빌려주거나 거래를 주선하고, 그 대가로 수수료나 이자를 받는다. NH뿐 아니라, 고려아연 인수 자금에 참여한 메리츠·한국투자증권, 주관사로 나선 미래에셋·KB증권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수익을 올리고 있다.

문제는 이 구조적 역할을 무시한 채, 감정적 책임론이 자본시장의 근간을 흔들고 있다는 점이다.

“농민 돈으로 사모펀드를 돕는다”는 주장도 구조를 단순화한 비약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NH투자증권은 범농협 금융그룹의 일원으로, 영업 수익의 일부를 실제 농업·농촌 지원에 환원하고 있다. 2024년 기준으로 약 2400억원이 농촌 지원 활동에 쓰였으며, ESG 기반의 지속가능한 투자 확대도 병행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고려아연과 홈플러스, NH와 MBK는 겉으론 연결돼 보일 수 있지만, 실제 거래 구조나 맥락은 전혀 다르다”면서 “성격이 다른 딜을 하나로 묶어 책임을 묻는 시선은 자본시장의 기본 질서를 무시한 비판을 위한 비판에 가깝다”고 말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62 "직원 6명 관뒀는데…" 헌재 앞 상인들 '좌표찍기'까지 당한다 랭크뉴스 2025.04.04
48461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 파면' 전국서 손글씨 '주문' 릴레이 랭크뉴스 2025.04.04
48460 상호 관세 폭탄에 미국 증시도 역대급 폭락 랭크뉴스 2025.04.04
48459 [금융포커스] 은행원 옥순·광수 나온다… 국민·하나·우리 뭉쳐 ‘나는 솔로’ 기획 랭크뉴스 2025.04.04
48458 “호수 위 달그림자” “계엄령은 계몽령” 헌재 달군 말말말 랭크뉴스 2025.04.04
48457 뉴욕증시, 美상호관세 충격 ‘패닉 셀’…나스닥 6% 폭락 랭크뉴스 2025.04.04
48456 저가 커피 브랜드도 인상했는데… 가격 역주행하는 이 커피는? 랭크뉴스 2025.04.04
48455 ‘돈벌이’ 나선 정치 유튜버들…3달간 후원금 살펴보니 랭크뉴스 2025.04.04
48454 [르포] 트라우마가 된 ‘그날’… “가만 있어도 땅 흔들리는 느낌” 랭크뉴스 2025.04.04
48453 [尹탄핵심판 LIVE] '운명의 날'…오늘 오전 11시 윤석열 탄핵 선고 랭크뉴스 2025.04.04
48452 김빛내리, 세계 최초로 mRNA 백신 핵심물질 찾았다 [팩플] 랭크뉴스 2025.04.04
48451 "美서 아이폰 333만원 될 수도"…트럼프 관세폭탄 최악 전망 랭크뉴스 2025.04.04
48450 상호관세, 팬데믹급 충격이었다…뉴욕증시 시총 3.1조 달러 증발[데일리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5.04.04
48449 정성호 "8대0 인용, 진보·보수 아닌 법치주의 수호 문제" [스팟인터뷰] 랭크뉴스 2025.04.04
48448 최악은 피했지만 관세 25% 떠안은 자동차업계...1차 부품사 700곳은 '생사기로' 랭크뉴스 2025.04.04
48447 파면이냐 복귀냐…오늘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랭크뉴스 2025.04.04
48446 뉴욕증시, 美상호관세 충격에 '패닉'…5년만에 최악의 날(종합) 랭크뉴스 2025.04.04
48445 [속보] 트럼프 "반도체·의약품 관세 곧 시작…주식 하락 예상했다" 랭크뉴스 2025.04.04
48444 美, 수입차에 25% 관세… 車업계 “개소세 감면 연장해야” 랭크뉴스 2025.04.04
48443 나경원 "4대4 기각, 野 의회독재 보면 尹파면할 정도 아니다" [스팟인터뷰]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