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빗썸, '코인 상장 청탁 구속' 이상준 전 대표에게 총 47억 줬다
두나무 송치형, 배당 포함 1천100억원 넘게 받아


빗썸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 =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지난해 실적 호조에 수십억원의 상여금을 지급하는 등 '돈 잔치'를 벌였다.

빗썸은 특정 코인을 상장시켜주겠다며 금품을 받은 혐의로 구속된 이상준 전 빗썸홀딩스 대표에게도 20억원의 상여금을 포함해 약 47억원을 지급했다.

3일 빗썸 사업보고서 공시에 따르면 이 전 대표는 지난해 빗썸에서 상여금 20억원, 퇴직소득 22억3천700만원, 급여 4억6천600만원 등 47억400만원을 받았다.

이 전 대표는 지난해 12월 26일 열린 1심에서 배임수재 등 혐의로 징역 2년과 추징금 약 5천만원을 선고받았다.

이 전 대표는 2021년 A코인을 거래소 빗썸에 상장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현금 30억원, 명품 시계, 고급 레스토랑 멤버십 카드 등을 받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1심 재판부는 현금 30억원 수수는 무죄로 판단했으나, 금품 수수는 유죄로 인정했다.

이 전 대표는 2018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빗썸의 최대 주주인 빗썸홀딩스의 대표를 지냈다. 빗썸에서는 2018년 1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사내이사를 맡았다가 사내이사 임기 만료 후에는 사장으로 자문업무를 수행했고, 구속 당일 퇴사 처리됐다.

빗썸은 이 전 대표가 거래소 성장을 이끈 공로를 인정해 상여금을 지급했다는 입장이다.

빗썸 관계자는 "거래소의 제도권 진입, 전통 금융권을 벤치마킹한 서비스 경쟁력 강화, 고객 자산 보호 역량 제고 등 기틀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를 기반으로 한 재무성과와 경영 목표 달성도, 성장전략 제시 등 기여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빗썸은 실소유주로 알려진 이정훈 전 빗썸홀딩스·빗썸 이사회 의장에게도 상여금 10억원을 줬다.

빗썸에 따르면 이 전 의장은 현재 빗썸홀딩스 사내이사이자, 빗썸에서 서비스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빗썸 관계자는 "작년부터 서비스연구소 소장을 맡아 신규서비스 발굴, 기존 서비스 개선안을 제시하고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업비트
[연합뉴스 자료사진]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는 배당과 상여 등으로 거액을 지급했다.

두나무 최대주주인 송치형 의장은 지난해 임금과 배당으로 1천100억원 넘게 받았다.

송 의장은 보수로 62억244만원(급여 29억644만원·상여 32억9천600만원), 배당으로 약 1천42억원을 받았다.

두나무는 지난해 배당을 주당 1만1천709원(중간배당 2천932원·결산 배당 8천777원)으로 전년 2천937원에서 4배 가까이로 늘렸다.

송 의장은 두나무 주식 889만6천400주(25.53%)를 보유하고 있다.

두나무 2대주주(지분 13.11%)인 김형년 부회장은 약 577억원을 받았다.

이는 보수 42억1천480만원(급여 21억5천880만원·상여 20억5천600만원)과 배당 약 535억원을 합한 금액이다.

이석우 대표는 21억6천346만원(급여 8억2천530만원·상여 약 13억1천801만원·기타 근로소득 2천16만원)을 받았다.

업비트와 빗썸의 직원 임금도 큰 폭으로 늘었다.

두나무의 지난해 직원 1인 평균 급여액은 1억9천907만원으로 2억원에 육박했다. 전년(1억1천633만원)보다 71.1% 뛰었다.

빗썸의 직원 평균 급여는 2023년 9천900만원에서 지난해 1억1천600만원으로 늘었다.

이는 주요 은행 직원 평균 급여(약 1억1천만원)와 비슷해 보이지만, 평균 근속 연수가 은행은 15년이 안팎인 반면 가상자산 거래소는 2∼3년에 불과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는 훨씬 높은 것으로 보인다.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지난해 투자 심리 회복으로 실적이 크게 개선됐다.

두나무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조1천863억원으로 전년(6천409억원)보다 85.1% 급증했다.

지난해 순이익은 9천838억원으로, 전년(8천50억원)보다 22.2% 늘었다.

빗썸은 지난해 1천307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면서 전년 148억원 손실에서 흑자로 전환했다.

당기순이익 역시 1천618억원을 기록해 전년(243억원)의 6.7배 수준으로 급증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54 ‘이완규 재판관’ 막겠다는 민주당···권한쟁의·헌법소원·가처분 실효성 따져보니 랭크뉴스 2025.04.10
46353 트럼프, 중국 제외 상호관세 90일간 유예…한국 기본관세 10%만 적용, 중국엔 125% 랭크뉴스 2025.04.10
46352 “상호 관세 90일 유예” 발표에 뉴욕 주가 폭등…불안감 ‘여전’ 랭크뉴스 2025.04.10
46351 트럼프, 상호관세 90일 유예 이유는…"사람들이 겁먹고 불안해해서" 랭크뉴스 2025.04.10
46350 [속보]트럼프, 한국 방위비 분담 언급 "무역 협상서 패키지로" 랭크뉴스 2025.04.10
46349 美 상호관세 유예에 나스닥 12% 폭등…애플 15%·테슬라 22%↑ 랭크뉴스 2025.04.10
46348 [단독] 5411억→1300억, 폭싹 주저앉은 기초학력 예산 “교육격차 어쩌려고…” 랭크뉴스 2025.04.10
46347 "중국에 125% 관세‥나머지 국가 90일 유예" 랭크뉴스 2025.04.10
46346 [단독] 트럼프 "대선 나갈건가"…한덕수에 직접 물었다 랭크뉴스 2025.04.10
46345 트럼프, 한국 방위비 분담 거론 “무역 협상서 패키지로” 랭크뉴스 2025.04.10
46344 트럼프 “상호 관세 90일 유예…중국 관세는 125%로 상향” 랭크뉴스 2025.04.10
46343 뉴욕증시, 트럼프 상호관세 90일 유예에 수직상승…나스닥 12%↑(종합) 랭크뉴스 2025.04.10
46342 [사람 살리는 대마]① 뇌전증·파킨슨병에 치료 효과…7년 후 158조 시장 예상 랭크뉴스 2025.04.10
46341 美뉴욕증시, 관세 유예에 기록적 급반등…나스닥 12% 폭등 랭크뉴스 2025.04.10
46340 美고립·금융 불안에 트럼프 노선 조정…‘中집중·10% 보편 관세’로 랭크뉴스 2025.04.10
46339 트럼프에 초고율 관세 맞은 중국…한국에는 돌풍일까 훈풍일까 랭크뉴스 2025.04.10
46338 '밑바닥' 퇴직연금 수익률 높인다…'기금형' 도입 논의 본격화 랭크뉴스 2025.04.10
46337 [단독]윤 파면됐어도…인천국제공항보안 사장에 국힘 출신 ‘낙하산 인사’ 추진 랭크뉴스 2025.04.10
46336 트럼프, 한국 방위비 분담 거론하며 "무역 협상서 패키지로" 랭크뉴스 2025.04.10
46335 [속보] 트럼프 "한국서도 방위비 보전 못 받아‥무역협상 일부 될 수도" 랭크뉴스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