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2일을 '해방의 날'이라고 주장하며 전 세계를 대상으로 상호 관세를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가장 큰 무역 조치인데요.

미국에 8번째로 큰 무역 적자를 안긴 우리나라 역시 관세 폭격을 피할 수 없었습니다.

워싱턴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김지숙 특파원, 먼저 발표 내용부터 정리해 볼까요?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이 조금 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라는 이름의 행사를 열고 상호 관세를 직접 발표했습니다.

이 행사엔 백악관과 내각 주요 인사들도 대거 참석했는데요.

트럼프는 몇 주간의 고심 끝에 국가별로 다른 관세를 매기는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국가별 관세율은 중국 34% 유럽연합 20% ,베트남 46%, 타이완 32% ,일본 24%, 인도 26% 등입니다.

또, 기본적으로는 10% 관세를 물리고 최악의 국가에는 추가 관세를 부과할 거라고 밝혔습니다.

이 관세 조치는 별도의 유예기가 없이 즉시 시행됩니다.

다만, 상호 관세율은 일종의 상한선인 걸로 전해졌습니다.

앞서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의원들이 참석하는 회의에서 상호 관세율은 일종의 상한선이라며 추후 협상 과정에서 낮아질 수 있다고 보고한 걸로 전해졌습니다.

오늘 조치는 향후 협상 테이블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말 직접 들어보시죠.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요약하자면, 만성적인 무역 적자는 더 이상 단순한 경제 문제만이 아닙니다. 이는 우리의 안보와 삶의 방식 자체를 위협하는 국가 비상사태입니다. 이는 우리나라에 매우 중대한 위협이며, 이러한 이유로 미국은 다른 나라에 상호 관세를 부과할 것입니다."]

[앵커]

제일 중요한 건 우리나라가 받을 타격인데요.

우리나라에 대한 관세율은 얼마로 정해졌나요?

[기자]

25%로 정해졌습니다.

34%의 중국보다는 보다는 낮지만 20%의 유럽연합, 24%의 일본 보다는 높습니다.

당초 현지 언론의 예측보다도 크게 높은 수준인데요.

자동차와 철강, 반도체 등 주력 수출 산업의 대미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이번 상호 관세로 상당한 타격을 받을 걸로 예상됩니다.

경쟁국에 비해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당장 관세 불확실성으로 인한 수출 감소와 글로벌 경기 위축 우려가 커지는 상황입니다.

특히 현지 시각 3일부터 자동차에 25% 관세가 부과됩니다.

상호 관세까지 합산해 적용할 경우 관세율은 더욱 높아질 수 있습니다.

지난달부터 관세가 부과되고 있는 철강과 알루미늄 역시 상황이 안 좋긴 마찬가집니다.

이미 올해 1분기 자동차와 철강 모두 전년에 비해 수출이 감소했습니다.

여기에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 부과도 예고돼 있어 대응 방안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박은진 최정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294 초등생 딸 친구 추행도 모자라…나체사진까지 찍은 몹쓸 아빠 랭크뉴스 2025.04.10
46293 중국에 104% 관세 부과, 막 내리는 자유무역‥"모두가 두려워한다" 랭크뉴스 2025.04.10
46292 "2천4백 원 횡령 해고 정당"‥버스기사에 '서릿발' 판결 랭크뉴스 2025.04.10
46291 "30초 동안 침 '8번' 삼킬 수 있나요?"…혹시 못 한다면 '이 암' 일 수도 랭크뉴스 2025.04.10
46290 ‘20만원도 괜찮나요’ 기초수급자 어르신의 산불 기부 [아살세] 랭크뉴스 2025.04.10
46289 尹부부, 11일 한남동 관저 떠난다…“경호팀 구성 완료” 랭크뉴스 2025.04.10
46288 후덜덜한 스펙의 ‘엄친아’… 우주비행사 조니 김 사연 화제 랭크뉴스 2025.04.10
46287 "촌놈들" 美 부통령 비하 발언에 中 발끈…"시장 혼란 경악할 만" 랭크뉴스 2025.04.10
46286 6일간 23명에 당했다…'실종' 19세 소녀 성폭행 사건 전말 랭크뉴스 2025.04.10
46285 유럽 증시, 미·중 무역전쟁 격화에 3∼4%대 하락 마감(종합) 랭크뉴스 2025.04.10
46284 네이비실·의사·우주인…한국계 조니 김, 우주정거장 입성 랭크뉴스 2025.04.10
46283 함상훈, 과거 ‘2400원 횡령 버스기사 해고’ 판결 논란 랭크뉴스 2025.04.10
46282 국힘 내달 3일 대선후보 선출… 경선룰 신경전 랭크뉴스 2025.04.10
46281 "여기 사람이 죽었어요, 칼 들었어 칼"…다급한 112 신고 전화, 알고 보니 랭크뉴스 2025.04.10
46280 독일 '좌우 대연정' 합의…다음달 초 새 내각 출범할 듯 랭크뉴스 2025.04.10
46279 재밌지만 찜찜한 ‘지브리’ 열풍…저작권 등 문제 없나? 랭크뉴스 2025.04.10
46278 찰스 3세, 이탈리아 의회서 이탈리아어 곁들인 연설로 박수 랭크뉴스 2025.04.10
46277 우원식, ‘대선 동시투표 개헌론’ 사흘 만에 철회 랭크뉴스 2025.04.10
46276 토허제 확대 시행에…서울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 3년 만에 최고 랭크뉴스 2025.04.10
46275 6일간 23명에 당했다…'실종' 19세 소녀 성폭행 사건 충격 랭크뉴스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