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강동구에서 또 소규모 땅꺼짐
'대규모 싱크홀' 발생 지점과 약 850m 거리
운수노동자 "즉각 안전지도 공개하라"
2일 서울 강동구 길동의 한 도로에서 폭 20㎝, 깊이 50㎝ 규모 땅꺼짐 현상이 발생해 관계자들이 해당 지점을 통제하고 있다. 연합뉴스(독자 제공)


대형 싱크홀(땅꺼짐) 사고로 인명사고가 발생한 서울 강동구에서 땅꺼짐 현상이 재발했다.

2일 오후 5시 7분쯤 서울 강동구 길동 한 교차로에서 폭 20㎝, 깊이 50㎝ 크기의 땅이 내려앉았다. 지난달 생긴 대형 싱크홀로부터 불과 직선거리로 850m 떨어진 곳이다. 소규모 함몰로 인명 피해는 없었다. 강동구청은 발생 원인 조사 및 복구 작업에 나섰다.

소규모 땅꺼짐은 이날 오후 3시 28분께 부산 사하구 괴정동의 한 도로에서도 생겼다. 깊이 50㎝, 가로 1m, 세로 50㎝ 크기로 인명 피해는 없었다. 사하구청 및 부산상수도사업본부는 복구공사를 진행했다.

지난달 24일 서울 강동구 대명초 인근 사거리에서는 지름 20m의 아스팔트 도로와 지반이 갑자기 함몰되며 깊이 20m의 큰 구멍이 생겼다. 왕복 6차로 중 4개 차로와 인도까지 무너진 대형 싱크홀에 주행 중이던 오토바이 운전자 박모(34)씨가 추락했다가 17시간 만에 숨진 채 발견됐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조합원과 참석자들이 2일 서울 시청 앞에서 서울시 싱크홀 안전지도 공개 요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싱크홀 공포'에 운수노동자들은 '지반침하 안전지도' 공개를 요구하고 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정보공개센터 등은 2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생명과 안전을 위해 지반침하 안전지도를 공개하라”고 서울시에 요구했다. 또 서울시에 지도 정보공개도 청구했다.

박정훈 공공운수노조 부위원장은 "서울시 지반침하 안전지도에 사고 지역은 지하철 9호선 연장 공사로 인해 특별 점검에 포함된 곳으로 침하 위험이 가장 큰 5등급으로 표시됐다고 한다"며 "공사 현장붕괴 우려가 있다는 민원까지 있었지만 안전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고 청구 취지를 설명했다. 이들은 감사원에 공익 감사도 청구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해당지도에 대해 "탐사 효율을 위해 내부 관리용으로 제작된 지도로 공개가 불필요한 오해와 불안을 조성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10 파월 “관세로 물가상승·성장둔화 가능성 커져”…트럼프는 “파월, 금리 내려라” 랭크뉴스 2025.04.05
44009 계엄 선포·포고령·국회 방해 등 5대 쟁점 모두 “위헌성 중대” 랭크뉴스 2025.04.05
44008 트럼프 "틱톡금지법 시행 75일 추가 유예…中과 협력 희망" 랭크뉴스 2025.04.05
44007 한국에 16년 살면서 가정까지 꾸린 외국인, '귀화 불허'…이유는? 랭크뉴스 2025.04.05
44006 6월 3일 ‘장미 대선’ 유력…60일 초단기 레이스 시작됐다 랭크뉴스 2025.04.05
44005 트럼프 "정치 말고 금리 내려라"…파월 "관세로 인플레·침체 우려" 랭크뉴스 2025.04.05
44004 계엄→탄핵→구속→석방→파면…정의, 험난한 길 완주했다 랭크뉴스 2025.04.05
44003 美·中 무역전쟁 격화에 빅테크 주가 이틀째 급락…테슬라 9%↓ 랭크뉴스 2025.04.05
44002 WSJ "관세정책, 대부분 침체로 이어져…드물지만 한국은 성공" 랭크뉴스 2025.04.05
44001 파월 "트럼프 관세, 예상보다 높아…인플레 영향 더 지속될 수도" 랭크뉴스 2025.04.05
44000 "귀찮으니까 '이것' 하수구에 버려야지"…한 시민이 부른 '황당 사고'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05
43999 “출하량 확대” 예고한 양극재, 수출 반등… 美 관세는 변수 랭크뉴스 2025.04.05
43998 美연준 의장 "관세, 인플레 높이고 성장세 낮출 것…영향 커져"(종합) 랭크뉴스 2025.04.05
43997 특권 사라진 尹… 연금 못 받고 경호도 최소화 랭크뉴스 2025.04.05
43996 외신 "한국 민주주의 이정표" 긴급 보도‥미국에선 "한국 판사 빌려달라" 랭크뉴스 2025.04.05
43995 정부, ‘트럼프 25% 관세’ 타격 가전·디스플레이·배터리 대책 논의 랭크뉴스 2025.04.05
43994 중국, 미국산 수입품에 34% 추가 보복관세 랭크뉴스 2025.04.05
43993 “금리 내려라” “못 내린다”…파월, 트럼프와 정면충돌 랭크뉴스 2025.04.05
43992 “윤석열이 파면되이 와 이래 좋노∼” 대구·경북 시민들 축제 랭크뉴스 2025.04.05
43991 [사설] 다시 세운 민주주의... 국가 정상화 첫걸음으로 랭크뉴스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