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4?2 부산시교육감 재선거에 출마한 김석준 후보가 2일 밤 부산진구 서면에 마련된 선거사무실에서 당선이 확실시 되자 지지자로부터 꽃다발을 받아들고 환호하고 있다. 송봉근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첫 선거로 주목 받은 4·2 재·보궐선거에서 야권이 약진했다.

부산시교육감 재선거에선 일찍이 후보 단일화에 성공한 진보 진영의 김석준 전 부산시교육감이 앞섰다. 5곳에서 치러진 기초자치단체장 선거는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등 야권이 4곳, 국민의힘이 1곳에서 각각 선두를 달렸다. 해당 지역에서 원래 4곳이 여당, 1곳이 야당 시장·군수·구청장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4대 1’ 구도가 ‘1대 4’로 역전된 셈이다. 조기 대선을 치를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여권으로선 빨간불이 들어온 것이다.

2일 오후 11시 40분 현재 부산시교육감 재선거에서 진보 성향의 김석준 후보(53.63%)는 보수 성향의 정승윤 후보(38.02%)와 최윤홍 후보(8.34%)를 크게 앞서 당선이 유력하다. 진보 진영은 부산시교육감을 지낸 김 후보로 단일화가 됐지만, 보수 진영은 단일화에 실패해 두 명의 후보가 나섰다.

구로구청장 재보궐 선거에 출마한 장인홍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20일 오전 서울 구로구청 앞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뉴스1
부산시교육감 선거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반을 놓고 공방을 벌인 선거였다. 정 후보는 검사 출신으로 윤 대통령 대선 캠프를 거쳐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다. 정 후보 선거 운동 출정식엔 ‘반탄’(탄핵 반대) 집회를 주도하고 있는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와 부산 세계로교회 손현보 목사가 참여했다. 반면 2014~2022년 교육감을 지낸 김 후보는 정 후보가 ‘반탄’ 세력의 지지를 받는다고 비판해왔다.

기초단체장 선거에선 민주당이 3곳에서 승리가 유력하다. 구로구청장 보궐선거에선 장인홍 민주당 후보가 59.91%로 압도적으로 앞섰다. 국민의힘은 지난해 10월 국민의힘 소속 문헌일 전 구청장이 주식 백지신탁을 거부하고 사퇴해 이번 선거의 원인을 제공한 데 책임을 지고 후보를 내지 않았다. 자유통일당 이강산 후보는 27.38%로 2위를 기록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의 국회 탄핵소추 대리인단으로 활동하다 출마해 논란이 됐던 서상범 조국혁신당 후보는 7.60%로 3위를 달렸다.

아산시장 재선거에선 오세현 민주당 후보가 61.96%로 당선이 유력하고, 전만권 국민의힘 후보는 35.60%로 그 다음이었다. 전직 시장·부시장 대결로 관심을 끈 거제시장 재선거에선 전직 시장인 변광용 민주당 후보가 60.50%로 앞서고 있다. 전직 부시장인 박환기 국민의힘 후보는 34.03%로 뒤를 따르고 있다.

4·2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된 정철원 조국혁신당 담양군수 후보가 2일 오후 전남 담양군 담양읍 선거사무소에서 지지자들과 함께 기쁨을 나누고 있다. 사진 정철원 후보 캠프
민주당과 혁신당의 ‘야권 한 지붕 싸움’으로 주목받은 담양군수 재선거는 정철원 혁신당 후보가 51.82%로 당선을 확정했다. 정 당선인은 담양에서만 정치를 해온 ‘풀뿌리 정치인’을 내세워 승리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행정관 출신 이재종 민주당 후보는 48.17%를 기록했다. 지난달 22일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재·보선 지역 중 유일하게 담양을 찾아 이 후보 지지를 요청했지만 역부족이었다.

국민의힘은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유일하게 김천시장 재선거에서만 승리했다. 배낙호 국민의힘 후보는 49.95%로 당선이 유력하다. 무소속 이창재 후보가 27.28%, 민주당 황태성 후보가 19%로 뒤를 이었다.

이번 재·보궐선거 투표율은 26.27%로 집계됐다. 지난달 28~29일 투표율 7.94%를 기록한 사전투표를 모두 합한 수치다. 지난해 10·16 재·보선 투표율(24.62%)보다 1.65%포인트 높다. 담양군수 선거가 61.8%로 가장 높았고, 거제시장 47.3%, 김천시장 46.4%, 아산시장 39.1%, 구로구청장 25.9%, 부산시교육감 22.8% 순이었다.

윤성민 기자 [email protected]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00 [속보] 미국, 1시1분부터 60여개 국가에 상호관세 부과 시작‥한국 25% 랭크뉴스 2025.04.09
45999 美상호관세 발효…세계경제 위기고조 속 美, 동맹우선 협상 착수 랭크뉴스 2025.04.09
45998 국민의힘 “5월 3일 대선 후보 선출” 랭크뉴스 2025.04.09
45997 "이 말을 하는 순간 사퇴"‥'의사봉' 넘기고 대선으로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09
45996 “나만 불행할 수 없어” 초등생 살해 교사, 남편과 통화서 범행 암시 랭크뉴스 2025.04.09
45995 '온라인 직구족'도 비상…화장품부터 의류까지 트럼프發 쇼크[글로벌 왓] 랭크뉴스 2025.04.09
45994 "尹파면 축하" 전광판 건 치킨집…"빨갱치킨" 별점테러에 결국 랭크뉴스 2025.04.09
45993 안철수 "이재명, 사퇴보다 은퇴해야‥김문수 확장성 걱정 많아" 랭크뉴스 2025.04.09
45992 가정폭력 딛고 쓴 성공스토리‥우주인 조니 김 "도킹 성공" [World Now] 랭크뉴스 2025.04.09
45991 [르포] "점심값만 겨우 벌어"…공급과잉에 길어진 택시 대기줄 랭크뉴스 2025.04.09
45990 여성단체 "장제원 수사결과 발표해야…죽음으로 묻혀선 안돼" 랭크뉴스 2025.04.09
45989 인천~파리 왕복 70만원…파격 가격으로 국내 항공사 타는 법 랭크뉴스 2025.04.09
45988 이재명 “새로운 일 시작” 대표직 사퇴·김문수 “이재명, 확실히 바로잡겠다” 출사표 랭크뉴스 2025.04.09
45987 우원식 "대선·개헌 동시 투표 사실상 어려워져"…사흘만에 제안 철회 랭크뉴스 2025.04.09
45986 [단독] 韓, 재판관 지명 제동 걸리나…효력정지가처분 헌재 접수 랭크뉴스 2025.04.09
45985 우의장, 대선·개헌 동시투표론 사흘만 철회…"대선 후 논의"(종합) 랭크뉴스 2025.04.09
45984 100년 전 일제가 수탈한 쌀 날랐던 그 길에서 '벚꽃 라이딩' [요즘 여행] 랭크뉴스 2025.04.09
45983 4시간 잠복 후 배달음식 받을 때 침입... '옛 연인 살해' 30대, 징역 25년 랭크뉴스 2025.04.09
45982 서울시민 10명 중 9명꼴로 ‘정년연장’ 동의…노인연령은 70.2세 랭크뉴스 2025.04.09
45981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지명 금지…민주당 주도 법사위 통과 랭크뉴스 2025.04.09